최근 수정 시각 : 2025-06-19 18:55:42

J.R. 셀스키

<colbgcolor=#ffffff><colcolor=#B31942> J.R. 셀스키
J. R. Celski
파일:external/www.trbimg.com/2048x1365.jpg
본명 존 로버트 셀스키
John Robert Celski
출생 1990년 7월 17일 ([age(1990-07-17)]세)
캘리포니아 주 몬터레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3cm, 64kg
학력 유타 대학교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500m, 1000m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평가4. 수상 기록
4.1. 월드컵 성적
5. 기타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아폴로 안톤 오노를 잇는 미국의 前 남자 쇼트트랙 에이스였으며, 폴란드인 아버지와 필리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J.R. 셀스키/선수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J.R. 셀스키/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J.R. 셀스키/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주종목은 1000m지만 이 선수도 전 종목에서 일정한 성적을 낼 수 있는 올라운드 기질이 있다. 지구력이 잘 갖춰져 있는 선수라 한국선수들의 메달 밭인 1500m에서도 강하고 세계선수권에서는 3000m도 곧잘하는 모습을 보였다. 거기다가 500m 스페셜리스트들도 몇 년간 깨지 못한 성시백의 500m 기록을 넘어 39.937초의 신기록을 세운 500m 세계신기록 보유자였다.[1] 또한 아폴로 안톤 오노를 제외하고 러스티 스미스, 존헨리 크루거와 함께 개인 종목에서 미국 선수로 메달을 받은 선수이기도 하다. 이후 이 기록은 우다징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무려 39.584초라는 무시무시한 기록으로 갈아치웠다.[2][3]

인코스 추월이 뛰어나고 자리잡기나 코스를 미리 막는 시야 등 경기운영도 상당히 훌륭한 편이며, 오노보다는 신체적으로 훨씬 더 유연하고 스케이팅 자세도 더 좋다. 다만 기복이 심하고 재능에 비해 아폴로 안톤 오노만큼의 임팩트나 계주에서 해결사 기질이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4. 수상 기록

대회
올림픽 0 1 2
세계선수권 1 4 3
세계 팀선수권 0 0 1
주니어 세계선수권 2 0 2
합계 3 5 8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월드컵 시리즈 수상성적
월드컵 메달 8 7 11 26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은메달 2014 소치 5000m 계주
동메달 2010 밴쿠버 5000m 계주
동메달 2010 밴쿠버 15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 2009 비엔나 5000m 계주
1위 2009 비엔나 3000m S.F.
1위 2014 몬트리올 3000m S.F.
은메달 2009 비엔나 종합
은메달 2010 소피아 5000m 계주
은메달 2014 몬트리올 종합
은메달 2014 몬트리올 500m
동메달 2009 비엔나 1000m
동메달 2009 비엔나 1500m
동메달 2010 소피아 1000m
3위 2010 소피아 3000m S.F.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 팀선수권
동메달 2009 헤이렌베인 단체전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2009 셔브루크 5000m 계주
금메달 2009 셔브루크 500m
동메달 2006 미에르쿠에라치우크 500m
동메달 2009 셔브루크 종합

4.1. 월드컵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수상 기록
월드컵 메달 포디움
500m 1 0 0 1
1000m 0 3 5 8
1500m 2 2 3 7
개인전 합계 3 5 8 16
5000 m 계주 5 2 3 10
메달합계 8 7 11 26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랭킹[4]
시즌 종합 500 m 1000 m 1500 m
2008-09 - - 7위 6위
2011-12 - - 5위 11위
2012-13 - 11위 4위 7위
2013-14 - 13위 7위 7위
2016-17 - - 8위 -
2017-18 - 16위 19위 9위
랭킹 20위까지 표기[5]

5. 기타

  • 500m 종목에서 역대 최초로 마의 40초를 깬 선수다.[6]
  • 아폴로 오노와는 다르게 경기 매너가 상당히 좋은 편이며 경기가 끝나면 다른 선수들을 서로 격려해 주는 장면이 종종 나온다.[7] 밴쿠버 1500m 결승에서 어부지리로 은메달을 딴 오노는 한국에서 엄청나게 까였을 때 그는 까이지 않았다. 경기 후에 이정수를 축하해주는 장면도 나와서 한국에선 나름 이미지는 좋은 편이다.
  • 안현수를 자신의 우상으로 삼고 있다. 평소에도 SNS나 언론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빅토르 안에 대한 존경심을 자주 표출했었고, 한 인터뷰에서는 질문이란 질문에 모조리 빅토르 안에 관한 이야기로 도배를 한 적도 있었다.
  • 오른쪽 가슴에 태양 무늬의 문신을 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동계올림픽 남자 5000m 계주 은메달리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2 1994 1998 2002 2006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마크 래키 앤디 게이벌 채지훈 파비오 카르타 에릭 베다르
프레데릭 블랙번 랜디 바츠 김동성 니콜라 로디가리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미셸 데이뇨 존 코일 이준환 니콜라 프란체스키나 샤를 아믈랭
로랑 데이뇨 에릭 플레임 이호응 미켈레 안토니올리 마티외 튀르코트
마우리치오 카르니노 조나탕 길메트
2010 2014 2018 2022 202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국기.svg
이호석 에디 알바레즈 우다징 황대헌
성시백 J.R. 셀스키 한톈위 이준서
이정수 크리스 크레벨링 천더취안 박장혁
곽윤기 조던 멀론 런쯔웨이 곽윤기
김성일 쉬홍지 김동욱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동계올림픽 남자 5000m 계주 동메달리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2 1994 1998 2002 200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아카사카 유이치 스티븐 브래드버리 리자쥔 리자쥔 알렉스 이지코프스키
이시하라 타츠요시 리처드 니질스키 펑카이 펑카이 아폴로 안톤 오노
카와이 토시노부 앤드루 머사 위안예 궈웨이 러스티 스미스
카와사키 츠토무 키런 핸슨 안위룽 리예 J.P 켑카
안위룽
2010 2014 2018 2022 2026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국기.svg
J.R. 셀스키 우다징 샤를 아믈랭 피에트로 시겔
아폴로 안톤 오노 한톈위 사뮈엘 지라르 유리 콘포르톨라
사이먼 조 천더취안 샤를 쿠르누아예 톰마소 도티
트레비스 제이너 시징난 파스칼 디옹 안드레아 카시넬리
조던 말론 프랑수아 아믈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동계올림픽 남자 1500m 동메달리스트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002 2006 2010 2014 2018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 파일:중국 국기.svg 리자쥔 파일:미국 국기.svg J.R. 셀스키 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르 안 파일:오륜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2022 2026 2030 2034 2038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1] 일명 '마의 39초대'를 돌파한 최초의 선수이다. 2022-23 시즌 현재까지 39초대를 기록한 선수는 총 14명이다.[2] 같은 경기에 출전해서 은메달을 받은 황대헌은 39.854, 동메달을 받은 임효준은 39.919, 4위인 사뮈엘 지라르도 39.987초로 네 선수 모두 마의 39초대를 기록할 만큼 어마무시한 스퍼트 능력을 보여줬다.[3] 그러나 이 기록 마저도 2018-19 시즌 2차 월드컵에서 우다징이 39.505초로 본인의 기록을 갈아치웠다.[4]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5] 랭킹 표기 : 20위까지 표기 (전체 랭킹기록 18개중에 80%인 14개까지 표기)[6] 여담으로 셀스키에게 운이 따라주기도 했었는데, 블라디미르 그리고리에프를 포함한 앞 두명의 선수가 넘어지는 바람에 3위로 달리던 셀스키가 신기록을 세우게 된 것이다.[7] 물론 오노도 망언을 한 것을 제외한다면 경기 외적으로는 평판이 좋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