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올림픽 남자 5000m 계주 은메달리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2 | 1994 | 1998 | 2002 | 2006 |
캐나다 | 미국 | 대한민국 | 이탈리아 | 캐나다 | |
마크 래키 | 앤디 게이벌 | 채지훈 | 파비오 카르타 | 에릭 베다르 | |
프레데릭 블랙번 | 랜디 바츠 | 김동성 | 니콜라 로디가리 |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 |
미셸 데이뇨 | 존 코일 | 이준환 | 니콜라 프란체스키나 | 샤를 아믈랭 | |
로랑 데이뇨 | 에릭 플레임 | 이호응 | 미켈레 안토니올리 | 마티외 튀르코트 | |
마우리치오 카르니노 | 조나탕 길메트 | ||||
2010 | 2014 | 2018 | 2022 | 2026 | |
대한민국 | 미국 | 중국 | 대한민국 | | |
이호석 | 에디 알바레즈 | 우다징 | 황대헌 | ||
성시백 | J.R. 셀스키 | 한톈위 | 이준서 | ||
이정수 | 크리스 크레벨링 | 천더취안 | 박장혁 | ||
곽윤기 | 조던 멀론 | 런쯔웨이 | 곽윤기 | ||
김성일 | 쉬홍지 | 김동욱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 |
동계올림픽 남자 5000m 계주 동메달리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2 | 1994 | 1998 | 2002 | 2006 |
일본 | 호주 | 중국 | 중국 | 미국 | |
아카사카 유이치 | 스티븐 브래드버리 | 리자쥔 | 리자쥔 | 알렉스 이지코프스키 | |
이시하라 타츠요시 | 리처드 니질스키 | 펑카이 | 펑카이 | 아폴로 안톤 오노 | |
카와이 토시노부 | 앤드루 머사 | 위안예 | 궈웨이 | 러스티 스미스 | |
카와사키 츠토무 | 키런 핸슨 | 안위룽 | 리예 | J.P 켑카 | |
안위룽 | |||||
2010 | 2014 | 2018 | 2022 | 2026 | |
미국 | 중국 | 캐나다 | 이탈리아 | | |
J.R. 셀스키 | 우다징 | 샤를 아믈랭 | 피에트로 시겔 | ||
아폴로 안톤 오노 | 한톈위 | 사뮈엘 지라르 | 유리 콘포르톨라 | ||
사이먼 조 | 천더취안 | 샤를 쿠르누아예 | 톰마소 도티 | ||
트레비스 제이너 | 시징난 | 파스칼 디옹 | 안드레아 카시넬리 | ||
조던 말론 | 프랑수아 아믈랭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00> 천더취안 陳德全[1], 陈德全[2] | Chén Déquán[3] | |
| |
출생 | 1995년 8월 30일 ([age(1995-08-30)]세) |
랴오닝성 푸순시 | |
국적 |
|
신체 | 176cm, 66kg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
SNS |
1. 개요
중국의 前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며, 중장거리 종목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다.2. 선수 경력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는 부진과 더불어 중국의 또 다른 장거리 강자인 한톈위의 포텐이 터지면서 가려졌으나, 2014-15 시즌 월드컵 시리즈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반면 한톈위는 지난 시즌에 비해 상당히 부진한 성적을 냈다. 둘 다 젊고[4] 향후 몇 년 간, 특히 장거리 부문에서 중국 쇼트트랙을 이끌어 나갈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2015-16 시즌 이후로는 활약이 없거나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5]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출전하여 계주 은메달을 따는데 일조했다.3. 수상 기록
| ||
은메달 | 2018 평창 | 5000m 계주 |
동메달 | 2014 소치 | 5000m 계주 |
| ||
금메달 | 2015 모스크바 | 5000m 계주 |
| ||
은메달 | 2012 멜버른 | 3000m 계주 |
은메달 | 2012 멜버른 | 1000m |
| ||||
월드컵 랭킹 | 우승 | 2위 | 3위 | 포디움 |
1500 m 랭킹 | 0 | 1 | 0 | 1 |
합계 | 0 | 1 | 0 | 1 |
월드컵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1500 m | 0 | 2 | 1 | 3 |
개인전 합계 | 0 | 2 | 1 | 3 |
5000 m 계주 | 2 | 2 | 3 | 7 |
메달합계 | 2 | 4 | 4 | 10 |
랭킹 + 메달 합계 | 2 | 5 | 4 | 11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2011-12 | - | - | - | 34위 |
2012-13 | - | 35위 | 39위 | 24위 |
2013-14 | - | - | - | 30위 |
2014-15 | - | - | 11위 | 2위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7] |
4. 기타
좋아하는 선수는 중국 농구 선수 야오밍이다.[1] 번체자[2] 간체자[3] 병음:Q가 CH 소리가 난다.[4] 1996년 생인 한톈위는 나이를 2년 줄였다는 소문이 있다.[5] 중국 대표팀 코치 리옌이 한톈위를 편애하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6]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7] 랭킹 표기 : 전체 랭킹기록 9개의 80%인 7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