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 세계 챔피언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2대 엠마누엘 라스커 | 4대 알렉산더 알레킨 | ||
5대 막스 오이베 | 6대 미하일 보트비닉 | 8대 미하일 탈 | ||
10대 보리스 스파스키 | 11대 바비 피셔 | 12대 아나톨리 카르포프 | ||
13대 가리 카스파로프 | 14대 블라디미르 크램닉 | 15대 비스와나탄 아난드 | 16대 망누스 칼센 | |
17대 딩리런 | 18대 구케시 돔마라주 | }}}}}}}}} |
세계 체스 선수 순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 순위 | 이름 | 레이팅 |
1위 | | 2833 | |
2위 | | 2803 | |
3위 | | 2802 | |
4위 | | 2801 | |
5위 | | 2777 | |
6위 | | 2766 | |
7위 | | 2760 | |
8위 | | 2755 | |
9위 | | 2754 | |
10위 | | 2750 | |
11위 | | 2747 | |
12위 | | 2745 | |
13위 | | 2741 | |
| 2741 | ||
15위 | | 2739 | |
| 2739 | ||
17위 | | 2734 | |
| 2734 | ||
19위 | | 2731 | |
| 2731 | ||
21위 | | 2729 | |
| 2729 | ||
23위 | | 2728 | |
24위 | | 2724 | |
25위 | | 2721 | |
26위 | | 2718 | |
27위 | | 2717 | |
28위 | | 2715 | |
29위 | | 2701 | |
| 2701 | ||
31위 | | 2700 | |
2025년 2월 기준. 비활성화된 선수 제외. |
<colbgcolor=#000><colcolor=#fff> Gukesh D குகேஷ் Dommaraju Gukesh 돔마라주 구케시 | |
출생 | 2006년 5월 29일 ([age(2006-05-29)]세)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타밀나두 주 첸나이 | |
국적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170cm[1], 58kg, B형 |
타이틀 | GM (2019) |
세계 챔피언 | 2024- |
Elo 레이팅 | 2777 (2024년 11월 기준) 2794 (최대 레이팅) |
|
[clearfix]
1. 개요
인도의 체스 그랜드 마스터. 어린 나이부터 두각을 드러내 인도에서는 전 체스 세계 챔피언인 비스와나탄 아난드의 후계자로 꼽고 있다.본명은 돔마라주 구케시지만 FIDE 등록을 Gukesh D로 했기 때문에 대부분 구케시 디라고 부른다.[2]
2024년 만 18세의 나이로 역대 최연소 세계챔피언이 되었다.
2. 선수 경력
- 2015년
- 아시아 학교 체스 선수권 대회 9세 이하 부문 우승
- 2018년
- 세계 청소년 체스 선수권 12세 이하 부문 우승
- 아시아 청소년 체스 선수권 대회 금메달 5개 획득 [3]
- 2021년
- Julius Baer Challengers Chess Tour, Gelfand Challenge 우승
- 2022년
- 현직 세계 체스 챔피언을 이긴 최연소 선수 등극
- 2023년
- WR Masters tournament 2위
- FIDE 레이팅 2750을 넘긴 최연소 선수 등극
- 체스 월드컵 2023 8강 진출 성공으로 비스와나탄 아난드가 36년간 유지해오고 있던 인도 랭킹 1위 타이틀을 가져갔다.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단체전 은메달
- 2024년
- 월드 체스 챔피언십 도전자 결정전 우승
- 제18대 체스 세계 챔피언[5]
2.1. 2024년
4월 도전자 결정전에 2023년 FIDE 서킷 준우승 자격으로 참여했으며, 승점 9점[6] 단독 1등으로 올라가 딩리런을 상대로 최연소 챔피언에 도전한다. 이번 대회 동안 레이팅을 20점 가까이 올려, 레이팅 2763점으로 인도 랭킹 1위이자, 세계 랭킹 6위에 올랐다.8월에 있었던 싱큐필드 컵에서는 피로우자가 레이팅 파밍에 들어간 동안 9라운드 중 9경기를 무승부로 끝냈다. 여담으로 세계 챔피언 딩리런과의 대결 또한 무승부로 끝났다.
9월 체스 올림피아드에서 인도 팀의 1번 보드로 출전해 파비아노 카루아나, 웨이이[7], 파르함 마그수들루 등 강력한 그랜드마스터들을 꺾으며 8승 2무를 기록했다. 퍼포먼스 레이팅 3056에 레이팅을 30점 올리는 압도적인 폼을 과시하며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지난 올림피아드에 이어 2번 연속으로 올림피아드에서 1번 보드 퍼포먼스 레이팅 1위를 기록했다.
11월에 열린 2024 세계체스연맹 월드 챔피언십에서 딩리런을 상대로 3승 9무 2패하여 18대 세계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이로서 역대 최연소 챔피언이 탄생하였다.
2.2. 2025년
2025년 1월, 세계 챔피언 자격으로 타타 스틸 마스터즈 부문에 참가하였다. 챔피언십에서 보여준 좋은 폼대로 줄곧 1위를 유지하며 유력 우승후보에 올랐지만, 13라운드에서 대회 하위권이었던 아르준 에리가이시로부터 실리를 버리고 승부를 택하는, 실수에 가까운 선택을 했고 결국 상대의 역공을 견디지 못하고 패배했다. 이후 프라그나난다와 공동 1위를 기록하며 타이브레이크에 진출하게 된다. 최종 우승자를 가리는 타이브레이크 3경기(경기 링크)에서 2024 월드 챔피언십 14경기와 비슷하게, 완전히 무승부인 폰+나이트 엔딩에서 승부를 보고자 반복을 거부하고 기회를 엿보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본인이 51...Nd3??이라는 초대형 블런더를 두어 승리를 헌납하고 말았다. 여러모로 그의 승부사스러운 기질이 좋지 못한 결과를 부른 대회.3. 기풍
오프닝 지식은 그리 깊지 않으나, 뛰어난 미들게임 테크닉으로 이를 커버한다. 불균형이 많은 게임을 들어가는 것을 선호하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수를 두는 편이다. 다른 슈퍼 gm들도 고려하지 않을 수까지 정확하게 계산한다. 이를 통해 상대와 난전을 벌이며 유리한 엔딩으로 들어가도록 게임을 설계하며, 상대의 실수가 나오면 정확하게 응징한다.단점으로는 시간 관리에 약하다는 점이 있다. 특유의 독창적인 기풍으로 인해 이기는 체스를 하는 경우가 많으나, 동시에 시간 관리로 인해 지는 경우도 다른 그랜드마스터들에 비해 잦다. 다만 나이가 아직 어리기 때문에 충분히 개선할 여지가 있다.
2024년 도전자 결정전과 월드챔피언십에서 뛰어난 오프닝 준비로 이러한 비판을 잠재웠다.
4. 기타
- 인도 선수인 만큼 비스와나탄 아난드와 자주 엮이는 편이다. 아난드도 첸나이 근교 출신이라 동향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아난드에게 직접 코칭을 받은 적도 있으며, 다른 선수들보다 아난드를 꺾었을 때 이슈가 더 크게 난 편.
- 2024년 체스 세계 챔피언 등극과 이후 체스 올림피아드에서의 우수한 성적을 바탕으로 이듬해 인도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체육훈장을 수훈받았다.#
[1] 5피트 7인치[2] 원래 타밀어 화자들은 공식적으로도 성과 부칭이 아닌 이름만을 사용한다. 프라그나난다와 비슷한 케이스로, 돔마라주가 성이고 구케시가 이름이다.[3] U-12 개인 래피드, U-12 개인 블리츠, U-12 팀 래피드, U-12 팀 블리츠, U-12 개인 클래식[4] 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어린 나이에 그랜드마스터에 등극한 것으로, 역대 최연소 그랜드마스터인 세르게이 카리야킨보다 17일 늦은 기록.[5] 역대 최연소 체스 챔피언이다.[6] 승점 8.5점의 히카루 나카무라, 파비아노 카루아나, 이안 네폼니아치를 모두 제치고 승점 9점으로 타이브레이크 없이 도전자 자리에 올랐다.[7] 중국팀 2번 보드. 1번 보드인 딩리런이 출전했다면 미리 보는 월드 챔피언십이 될 예정이었지만 불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