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은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음반"
아직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거나 출시되지 않은
아직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거나 출시되지 않은
호시노 겐의 정규 6집
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공개 전 루머 및 공개 전 당사자에 의해 밝혀진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추후 아뮤즈
의 공식 발표에 따라 실제 모습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도서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4><width=10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rowbgcolor=#083354> {{{#!wiki style="font-size: .85em" {{{#fff '''단독 저서'''}}}}}} ||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そして生活はつづく]][br]{{{-2 {{{#gray 그리고 생활은 계속된다}}}}}}[br]{{{-1 (2009)}}}}}} ||<-2><width=50%>[[働く男]][br]{{{-2 {{{#gray 일하는 남자}}}}}}[br]{{{-1 (2013)}}} ||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よみがえる変態]][br]{{{-2 {{{#gray 되살아나는 변태}}}}}}[br]{{{-1 (2014)}}}}}} ||<-2><width=50%>[[생명의 차창에서|いのちの車窓から]][br]{{{-2 {{{#gray 생명의 차창에서}}}}}}[br]{{{-1 (2017)}}} ||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생명의 차창에서 2|いのちの車窓から 2]][br]{{{-2 {{{#gray 생명의 차창에서 2}}}}}}[br]{{{-1 (2024)}}}}}} || || ||<-4><bgcolor=#083354> {{{#!wiki style="font-size: .85em" {{{#fff '''대담집'''}}}}}} ||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星野源 雑談集1[br]{{{-2 {{{#gray 호시노 겐 잡담집 1}}}}}}[br]{{{-1 (2014)}}}}}}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地平線の相談]][br]{{{-2 {{{#gray 지평선의 상담}}}}}}[br]{{{-1 (2015)}}}}}} ||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星野源 音楽の話をしよう[br]{{{-2 {{{#gray 호시노 겐 음악 이야기를 하자}}}}}}[br]{{{-1 (2018)}}}}}}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星野源 ふたりきりで話そう[br]{{{-2 {{{#gray 호시노 겐 단 둘이 이야기하자}}}}}}[br]{{{-1 (2019)}}}}}} || ||<-4><bgcolor=#083354> {{{#!wiki style="font-size: .85em" {{{#fff '''개인 잡지'''}}}}}} || ||<-4><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7px 0px" [[YELLOW MAGAZINE+#YELLOW MAGAZINE|YELLOW MAGAZINE]] (2016 ~ )}}} ||
- [ 주요 출연작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4><width=10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rowbgcolor=#206FAC> {{{-1 {{{#fff '''冠番組 (이름을 건 방송)'''}}}}}} || ||<-2><rowbgcolor=#206FAC><rowcolor=#ffffff> {{{#!wiki style="font-size: .85em" '''라디오'''}}} || {{{#!wiki style="font-size: .85em" '''예능''' }}} || {{{#!wiki style="font-size: .85em" '''교양'''}}} || ||<width=50%><-2> {{{-1 호시노 겐의 레디컬 아워 (2013)}}} ||<width=25%><|2> {{{-1 [[오겐상과 함께]] (비정기 / 2024)}}} ||<width=25%><|2> {{{-1 [[호시노 겐의 음악 공론]] (2022 / 2024)}}} || ||<width=50%><-2> {{{-1 [[호시노 겐의 올 나이트 닛폰|호시노 겐의 올 나잇 닛폰]] (2016 ~)}}} || ||<-4><bgcolor=#000000> '''[[넷플릭스|{{{#e50914 넷플릭스}}}]] {{{#ffffff 호시노 겐 컬렉션}}}''' || ||<-2><rowbgcolor=#000000><rowcolor=#e50914> {{{#!wiki style="font-size: .85em" '''예능'''}}} ||<-2> {{{#!wiki style="font-size: .85em" '''콘서트''' }}} || ||<-2><|2> [[라이트하우스(예능)|라이트하우스]][br](2023) ||<-2> {{{-1 [[호시노 겐/공연 및 행사#s-5.1|DOME TOUR 'POP VIRUS' in TOKYO DOME]]}}} || ||<-2> {{{-1 [[호시노 겐/공연 및 행사#s-5.2|Gen Hoshino Concert Recollections 2015 - 2023]]}}} || ||<-4><rowbgcolor=#a0a0a0> {{{-1 {{{#fff '''주요 출연 작품'''}}}}}} || ||<width=25%><bgcolor=#a0a0a0>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주요 무대'''}}} }}} ||<width=525><-3>{{{-1 PARCO 제작「텍사스-TEXAS-」(2012) '''·''' 大人の新感線 『ラストフラワーズ(라스트 플라워즈)』(2014)}}} || ||<width=25%><bgcolor=#a0a0a0>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주요 영화 / 애니'''}}} }}} ||<width=525><-3>{{{-1 [[지옥이 뭐가 나빠]](2013) '''·''' [[묻지마 사랑]](2013) '''·'''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애니메이션)|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2017) '''·''' [[미래의 미라이]](2018) '''·''' [[죄의 목소리|罪の声]] (죄의 목소리, 2020)}}} || ||<width=25%><bgcolor=#a0a0a0>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주요 드라마'''}}}}}} ||<width=525><-3>{{{-1 [[코우노도리(드라마)|코우노도리]](2015 / 2017) '''·''' [[사나다마루(드라마)|사나다마루]](2016) '''·''' [[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드라마)|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2016 / 2021) '''·''' [[플라쥬]](2017) '''·''' [[이다텐 ~도쿄 올림픽 이야기~]](2019) '''·''' [[MIU404]](2020)}}} || ||<width=25%><bgcolor=#a0a0a0>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예능 고정 출연'''}}}}}} ||<width=525><-3>{{{-1 LIFE! 〜인생에 바치는 콩트〜 (2012 ~ 2017)}}} || ||<width=25%><bgcolor=#a0a0a0>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인터넷 방송'''}}}}}} ||<width=525><-3>{{{-1 사케노 사카나 (2011 ~ 2014)}}} '''·''' {{{-1 [[호시노 겐/방송 활동#YELLOW MAGAZINE+ 토크 방송|YELLOW MAGAZINE+ 토크 방송]](2023 ~)}}} ||
-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4><width=10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rowbgcolor=#083354> {{{-1 {{{#fff '''관련 문서'''}}}}}} || ||<width=175><colbgcolor=#083354> {{{#!wiki style="font-size: .85em" {{{#fff '''활동'''}}} }}} ||<width=525><-3>[[호시노 겐/음악 활동|음악 활동 내역]] '''·''' [[호시노 겐/디스코그래피|솔로 디스코그래피]] ([[호시노 겐/노래방 수록 목록|한국 노래방 수록곡]] / [[호시노 겐/타이업 및 악곡 참여|타이업 및 악곡 참여]]) ---- [[호시노 겐/공연 및 행사|공연 및 행사]] {{{-1 ([[Gen Hoshino presents MAD HOPE|MAD HOPE]])}}} '''·''' [[호시노 겐/방송 활동|방송 활동]] || ||<width=25%> {{{#!wiki style="font-size: .85em" {{{#fff '''멤버십'''}}}}}} ||<width=525><-3>[[YELLOW MAGAZINE+]] || ||<width=25%> {{{#!wiki style="font-size: .75em" {{{#fff '''문서가 존재하는 부캐'''}}}}}} ||<width=525><-3>[[니세 아키라]], [[오겐상]] || ||<width=25%> {{{#!wiki style="font-size: .85em" {{{#fff '''기타'''}}}}}} ||<width=525><-3>[[호시노 겐/수상 경력 및 기록|수상 경력 및 주요 기록]] '''·''' [[호시노 겐/사건 사고|사건 사고]] '''·''' [[호시노 겐/여담|여담]] ---- [[호시노 겐/음악 스타일|음악 스타일]] ([[호시노 겐/음악 변천사|변천 과정]]) ||
호시노 겐의 솔로 음반 (발매일순) | ||||
<rowcolor=#000000> 디지털 싱글 Eureka (2025.01.28.) | → | 정규 6집 Gen (2025.05.14) | → | 미정 |
6th Album Gen | |
| |
<colbgcolor=#878787><colcolor=#e3e3e3> 아티스트 | 호시노 겐 |
프로듀서 | 호시노 겐 (총괄, 메인) |
발매일 | 2025년 5월 14일 |
수록곡 | -곡 |
재생 시간 | nn:nn |
장르 | J-POP, R&B |
레이블 | SPEEDSTAR |
타이틀곡 | |
사이트 | |
1. 개요
2025년 5월 14일에 발매되는 호시노 겐의 정규 6집 음반이다.2018년의 정규 5집 Pop Virus 직후, '일본의 국민적 팝 아이콘'으로서의 호시노 겐과 이별을 선언한 호시노 겐이, 자신의 변화와 새로운 재시작을 표방하는 정규 앨범.
2. 앨범 소개
3. 프로모션
||<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1c1d1f><bgcolor=#878787><color=#e3e3e3> 프로모션 ||
4. 수록곡
<rowcolor=#e3e3e3> 트랙 | 곡명 | 크레딧 |
01 | - TITLE | 작사 | - |
작곡 | - | ||
편곡 | - | ||
- | Eureka | 작사ㆍ작곡 | 호시노 겐 |
편곡 | 호시노 겐 | ||
- | Star | 작사ㆍ작곡 | - |
편곡 | - |
5. 관련 콘서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n Hoshino presents MAD HOP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n Hoshino presents MAD HOPE#|]][[Gen Hoshino presents MAD HOP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콘텐츠
6.1. work_in_progress
2025년 1월 15일부터 YELLOW MAGAZINE+ 회원 한정으로 일정 주기마다 업데이트 되는 앨범 제작 과정 푸티지(footage) 콘텐츠이다. 일종의 프롤로그 개념인 'work_in_progress_000'이 공식 X에 공개되어있다.||<rowbgcolor=#000><rowcolor=#fff><table bordercolor=#000,#fff><tablewidth=6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width=13%> 날짜 || 제목 ||<width=18%> 링크 ||
7. 여담
- 거의 20년 동안 사용한 작곡 방법이 아닌, 다른 작곡 방법으로 바뀌고 난 이후로 만드는 첫 정규 앨범이다. 그래서 앨범이랑 곡 만드는 게 즐겁지만 막히는 경우가 많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고 한다.
- 자서전을 연상케하는 앨범 아트워크, 호시노 겐의 행보, 악곡의 의미 등으로 인해 네티즌들 사이에서 자전적인 앨범이 될 가능성이 높을 것 같다는 반응이 많다.
7.1. 발매 전
2023년 12월, 13번째 싱글 光の跡/生命体 관련 YELLOW MAGAZINE+ 인터뷰에서 2023년에 새 정규 앨범을 만들고 싶었으나 못했다고 언급했다.2024년 1월,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로 팬들의 생일축하가 고맙다며 "지금 나이는 왠지 즐겁고 재미있게 앨범을 만들기도 하고(희망) 유쾌한 한 해를 보내고 싶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려요"라고 메세지를 남겼다. 그러나 2024년에는 미뤄두었던 생명의 차창에서 2 원고작업 및 책 출판을 먼저 했고, 여러 방송도 담당했기 때문에 정규 발매는 2025년으로 미뤄진 것으로 보인다.
2024년 6월 GQ재팬 인터뷰에서 새 앨범을 구상 중이라는 호시노 겐에게 앞으로의 비전을 물어보는 질문이 나왔다.
호시노 겐: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식의 바깥쪽의 목표로 향해가는 형태는 앞으로 줄어들지도 모릅니다. 커뮤니케이션으로서는 오픈하고 싶다고 생각하면서도, 표현으로서는 갈라파고스화해 간다고 할까요. 제 안에서 발효되어 갈 것 같은 게 될 예감이 있습니다. #
2024년 9월 7일 YELLOW MAGAZINE+ 라이브 방송에서, '너무 바빠서 앨범작업을 잘 못하고 있다, 정규앨범이 나오려면 아직 멀었다'고 말했다.2024년 12월 YELLOW MAGAZINE+ 100문 100답 영상에서, '지난 2년간 계속 앨범 곡을 조금씩 만들고 있었는데, 최근에서야 드디어 완성을 향해서 달려갈 수 있는 타이밍이 왔다고 생각해서 초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4년 12월 3일에 추가된 創造(창조) 뮤직비디오 오디오 코멘터리[1]에서 미발매된 수록곡 중 하나의 떡밥을 내놓았다. # 2021년에 발매한 創造(창조)는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5주년 테마곡인 동시에 마리오를 주제로 한 곡이기도 한데, 이 곡과 같은 시기에 만들었었던 또 다른 미발매 곡은 루이지를 주제로 했으며, 이 앨범에 타이틀이 아닌 수록곡으로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5년 1월 21일자 라디오에서, 라디오 휴가까지 사용해서 계속 바쁘게 작업하고 있는데 아직 앨범 작업이 끝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뒤이어 "누군가에게 봄은 11월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드립을 치기도 했다.
디지털 싱글 Eureka 발매 인터뷰에서 지금까지와는 상당히 다른 정규 앨범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40대가 되고 나서의 재도전, 재시작, 재탄생, 그리고 회복의 곡들이 꽤 있다보니 인터뷰에서 "앨범 안에서 저는 몇 번 되살아나는 걸까요(웃음)"이라고 농담식으로 말하기도 했다.
2월 11일자 라디오에서, '요새 호러 소설 등을 엄청 재밌게 읽고 있기 때문에 무서운 앨범이 될 가능성도 없지 않아 있다'고 농담식으로 언급했다.
2월 20일에 일본 전국 라이브 투어의 이름이 MAD HOPE로 정해짐에 따라 앨범명이 관련 이름일 가능성이 높아졌으나, 본인이 라디오에서 언급하기를 정규 6집의 앨범명은 MAD HOPE가 아니라고 말했다.
3월 3일, ChatGPT를 이용한 티저에서 앨범명은 Gen이고, 발매일은 5월 14일로 결정났는데, 이 소식 직후 진행한 라디오에서 '앨범 작업이 끝났냐'에 대한 청취자 질문의 답은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공개된 앨범 아트워크가 이전과는 다르게 일종의 자서전같은 느낌을 풍기고 있어, 자전적 성격의 앨범이 될 것 같다는 반응 또한 꽤 많다. #
3월 26일자 라디오에서, "이번 앨범에 닌텐도 관련 곡이 들어가는데, 앨범의 닌텐도 스위치 조이콘 색깔은 의도된건가요?"라는 청취자의 질문에 완전히 우연이라고 말했다. 만들고 나서 깨달았다고.
4월 1일 아사히 음료 Wonda CM송인 'Star'가 15초 분량으로 첫 해금되었다. # 자신의 이름과 관련해서 '별(星)' 이미지를 별로 안 좋아했던 호시노 겐이 Star라는 제목으로 곡을 만들었기에 다수의 팬들은 곡을 기대하고 있다. 다만 이 곡이 수록곡인지 아닌지는 미지수. 라디오에서의 발언을 보아하면, 단순히 CM용으로 짧게 만든 것이 아니라 풀버전 곡을 만든 듯 하다.
[1] 동영상의 설정에서 오디오 트랙을 '일본어 설명'으로 바꾸면 들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