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서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4><width=10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rowbgcolor=#083354> {{{#!wiki style="font-size: .85em" {{{#fff '''단독 저서'''}}}}}} ||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そして生活はつづく]][br]{{{-2 {{{#gray 그리고 생활은 계속된다}}}}}}[br]{{{-1 (2009)}}}}}} ||<-2><width=50%>[[働く男]][br]{{{-2 {{{#gray 일하는 남자}}}}}}[br]{{{-1 (2013)}}} ||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よみがえる変態]][br]{{{-2 {{{#gray 되살아나는 변태}}}}}}[br]{{{-1 (2014)}}}}}} ||<-2><width=50%>[[생명의 차창에서|いのちの車窓から]][br]{{{-2 {{{#gray 생명의 차창에서}}}}}}[br]{{{-1 (2017)}}} ||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생명의 차창에서 2|いのちの車窓から 2]][br]{{{-2 {{{#gray 생명의 차창에서 2}}}}}}[br]{{{-1 (2024)}}}}}} || || ||<-4><bgcolor=#083354> {{{#!wiki style="font-size: .85em" {{{#fff '''대담집'''}}}}}} ||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星野源 雑談集1[br]{{{-2 {{{#gray 호시노 겐 잡담집 1}}}}}}[br]{{{-1 (2014)}}}}}}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地平線の相談]][br]{{{-2 {{{#gray 지평선의 상담}}}}}}[br]{{{-1 (2015)}}}}}} ||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星野源 音楽の話をしよう[br]{{{-2 {{{#gray 호시노 겐 음악 이야기를 하자}}}}}}[br]{{{-1 (2018)}}}}}} ||<-2><width=50%>{{{#!wiki style="word-break: keep-all" 星野源 ふたりきりで話そう[br]{{{-2 {{{#gray 호시노 겐 단 둘이 이야기하자}}}}}}[br]{{{-1 (2019)}}}}}} || ||<-4><bgcolor=#083354> {{{#!wiki style="font-size: .85em" {{{#fff '''개인 잡지'''}}}}}} || ||<-4><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7px 0px" [[YELLOW MAGAZINE+#YELLOW MAGAZINE|YELLOW MAGAZINE]] (2016 ~ )}}} ||
- [ 주요 출연작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4><width=10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rowbgcolor=#206FAC> {{{-1 {{{#fff '''冠番組 (이름을 건 방송)'''}}}}}} || ||<-2><rowbgcolor=#206FAC><rowcolor=#ffffff> {{{#!wiki style="font-size: .85em" '''라디오'''}}} || {{{#!wiki style="font-size: .85em" '''예능''' }}} || {{{#!wiki style="font-size: .85em" '''교양'''}}} || ||<width=50%><-2> {{{-1 호시노 겐의 레디컬 아워 (2013)}}} ||<width=25%><|2> {{{-1 [[오겐상과 함께]] (비정기 / 2024)}}} ||<width=25%><|2> {{{-1 [[호시노 겐의 음악 공론]] (2022 / 2024)}}} || ||<width=50%><-2> {{{-1 [[호시노 겐의 올 나이트 닛폰|호시노 겐의 올 나잇 닛폰]] (2016 ~)}}} || ||<-4><bgcolor=#000000> '''[[넷플릭스|{{{#e50914 넷플릭스}}}]] {{{#ffffff 호시노 겐 컬렉션}}}''' || ||<-2><rowbgcolor=#000000><rowcolor=#e50914> {{{#!wiki style="font-size: .85em" '''예능'''}}} ||<-2> {{{#!wiki style="font-size: .85em" '''콘서트''' }}} || ||<-2><|2> [[라이트하우스(예능)|라이트하우스]][br](2023) ||<-2> {{{-1 [[호시노 겐/공연 및 행사#s-5.1|DOME TOUR 'POP VIRUS' in TOKYO DOME]]}}} || ||<-2> {{{-1 [[호시노 겐/공연 및 행사#s-5.2|Gen Hoshino Concert Recollections 2015 - 2023]]}}} || ||<-4><rowbgcolor=#a0a0a0> {{{-1 {{{#fff '''주요 출연 작품'''}}}}}} || ||<width=25%><bgcolor=#a0a0a0>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주요 무대'''}}} }}} ||<width=525><-3>{{{-1 PARCO 제작「텍사스-TEXAS-」(2012) '''·''' 大人の新感線 『ラストフラワーズ(라스트 플라워즈)』(2014)}}} || ||<width=25%><bgcolor=#a0a0a0>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주요 영화 / 애니'''}}} }}} ||<width=525><-3>{{{-1 [[지옥이 뭐가 나빠]](2013) '''·''' [[묻지마 사랑]](2013) '''·'''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애니메이션)|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2017) '''·''' [[미래의 미라이]](2018) '''·''' [[죄의 목소리|罪の声]] (죄의 목소리, 2020)}}} || ||<width=25%><bgcolor=#a0a0a0>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주요 드라마'''}}}}}} ||<width=525><-3>{{{-1 [[코우노도리(드라마)|코우노도리]](2015 / 2017) '''·''' [[사나다마루(드라마)|사나다마루]](2016) '''·''' [[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드라마)|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2016 / 2021) '''·''' [[플라쥬]](2017) '''·''' [[이다텐 ~도쿄 올림픽 이야기~]](2019) '''·''' [[MIU404]](2020)}}} || ||<width=25%><bgcolor=#a0a0a0>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예능'''}}}}}} ||<width=525><-3>{{{-1 LIFE! 〜인생에 바치는 콩트〜 (2012 ~ 2017)}}} || ||<width=25%><bgcolor=#a0a0a0>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인터넷 방송'''}}}}}} ||<width=525><-3>{{{-1 사케노 사카나 (2011 ~ 2014)}}} '''·''' {{{-1 [[호시노 겐/방송 활동#YELLOW MAGAZINE+ 토크 방송|YELLOW MAGAZINE+ 토크 방송]](2023 ~)}}} ||
-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4><width=10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rowbgcolor=#083354> {{{-1 {{{#fff '''관련 문서'''}}}}}} || ||<width=175><colbgcolor=#083354> {{{#!wiki style="font-size: .85em" {{{#fff '''활동'''}}} }}} ||<width=525><-3>[[호시노 겐/음악 활동|음악 활동 내역]] '''·''' [[호시노 겐/디스코그래피|솔로 디스코그래피]] ([[호시노 겐/노래방 수록 목록|한국 노래방 수록곡]] / [[호시노 겐/타이업 및 악곡 참여|타이업 및 악곡 참여]]) ---- [[호시노 겐/공연 및 행사|공연 및 행사]] '''·''' [[호시노 겐/방송 활동|방송 활동]] ---- [[호시노 겐/수상 경력 및 기록|수상 경력 및 주요 기록]] '''·''' [[호시노 겐/사건 사고|사건 사고]] '''·''' [[호시노 겐/여담|여담]] || ||<width=25%> {{{#!wiki style="font-size: .85em" {{{#fff '''멤버십'''}}}}}} ||<width=525><-3>[[YELLOW MAGAZINE+]] || ||<width=25%> {{{#!wiki style="font-size: .75em" {{{#fff '''문서가 존재하는 부캐'''}}}}}} ||<width=525><-3>[[니세 아키라]], [[오겐상]] || ||<width=25%> {{{#!wiki style="font-size: .85em" {{{#fff '''특징'''}}}}}} ||<width=525><-3>[[호시노 겐/음악 스타일|음악 스타일]] '''·''' [[호시노 겐/창작 활동의 세계관|세계관 및 사상]] '''·''' [[호시노 겐/음악 변천사|음악 변천 과정]] || ||<width=25%> {{{#!wiki style="font-size: .85em" {{{#fff '''관련 항목'''}}}}}} ||<width=525><-3>[[SAKEROCK]] ([[SAKEROCK/디스코그래피|디스코그래피]]) ---- 배우자 [[아라가키 유이]] ||
호시노 겐의 솔로 음반 (발매일순) | ||||
<rowcolor=#000000> 싱글 13집 光の跡/生命体 (2023.12.27.) | → | 디지털 싱글 Eureka (2025.1.28) | → | 정규 6집 (타이틀 미정) (2025.xx.xx) |
Eureka 유레카 | |
| |
싱글 정보 | |
<colbgcolor=#4c6770><colcolor=#ffffff> 작사/작곡 | 호시노 겐 |
편곡 | |
프로듀싱 | |
발매일 | 2025년 1월 28일 |
재생 시간 | 3:31 |
장르 | J-POP, R&B |
레이블 | SPEEDSTAR |
사이트 | |
[clearfix]
1. 개요
TBS 화요 드라마 '마도카 26세, 연수의입니다!'의 주제곡으로 타이업된 호시노 겐의 곡.2. 곡 소개
자신의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노래에 담은 적이 거의 없었으나, 喜劇(희극) 이후로 자신의 경험과 이야기를 넣게 되었으며, 2024년에 여러 사건사고 또한 겪었다보니, 라디오와 인터뷰에서 "제 노래거든요"라고 말하기도 했다.사운드적으로는 콰이어트 스톰[1]을 맨 처음 이미지의 기반으로 잡고 곡 제작에 착수했으며, 호시노 겐 본인이 좋아하는 소울과 네오 소울의 느낌도 가미했다고 한다.
호시노 겐이 기타가 아니라 베이스 레코딩을 담당하고 있는 곡 중 하나이다. 이 곡에서는 베이스가 서브 멜로디의 역할도 맡고 있고, 베이시스트에게 부탁하면 자신이 생각한 느낌과 다르게 될 것 같았으며, 자신이 생각한 분위기로 베이스를 칠 수 있는 사람이 생각나지 않아서 그랬다고. 악기 파트 전체에 '느슨하게, 자유롭게' 등등의 순간도 별로 없다고 한다. 2021년 이후로 만든 디지털 싱글 곡들 중 mabanua 프로듀서가 처음으로 공동 편곡으로 참여하지 않은 곡이기도 하다.
라디오에서 보통 악곡의 해설을 꽤 하는 편이지만, 이번 곡은 하지 않았다. 곡을 듣거나 뮤직비디오를 볼 때 리스너 스스로 생각하는 기회를 늘리고 싶었다고 한다.
호시노 겐: 저는 비교적 이 프로그램에서 제 곡의 이야기를 자주 하고 있었다고 생각합니다만, 이번에는 하지 않습니다(웃음). 하지 말까라고 생각하는 것은, 모두가 듣고 여러 가지를 느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생각해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뭔가 항상 제가 '저는 이런 마음으로 만들었어요'라든가 '제가 이런 식으로 마음을 담아요'라고 이야기하는 건 굉장히 쉬워요.
근데 그거는 알기 쉽고 재밌긴 한데 뭔가 그걸 너무 많이 했다고 좀 반성하고 있어서요. (곡을 들을 때) 스스로 생각한다든가, 말을 받는 방법이라든가, 그런 것을 여러 가지 생각하는 거는 저한테 굉장히 즐거운 경험이었으니까요. 어쩌면 그걸 좁히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좀 들어서요. #
근데 그거는 알기 쉽고 재밌긴 한데 뭔가 그걸 너무 많이 했다고 좀 반성하고 있어서요. (곡을 들을 때) 스스로 생각한다든가, 말을 받는 방법이라든가, 그런 것을 여러 가지 생각하는 거는 저한테 굉장히 즐거운 경험이었으니까요. 어쩌면 그걸 좁히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좀 들어서요. #
3. 영상
===# 티저 #===3.1. MV
3.2. 음원
3.3. 콜라보 무비
4. 가사
공식 홈페이지에 영문 가사가 존재하는데, 일본어 가사와는 달리 상당히 직접적인 표현으로 해놓았다. (여기서는 각주로 표현) 息を吹き返した 이키오 후키카에시타 숨을 다시 내쉬었어 私でいる日々が 와타시데 이루 히비가 나로있는 나날들이 動き出していた 우고키다 시데이타 움직이기 시작했어 知らない方に 시라나이 호오니 모르는 방향으로 未知[2]は暗くて 미치와 쿠라쿠테 미지는 어두워서 (길은 어두워서) 人はふざけきって 히토와 후자케킷테 사람은 까불대며 馬鹿げていた 바카게테이타 바보처럼 굴었어[3] 向かうほどに 무카우호도니 마주할수록 呆れた 希望は 아키레타 키보오와 질려갔어 희망은 要らないまま 이라나이 마마 필요 없는 채로 窓から日が差して滲む 마도카라 히가 사시테 니지무 창문에 햇빛이 들어와 번지고 季節が風と踊り纏い詩を歌う 키세츠가 카제토 오도리 마도이 우타오 우타우 계절이 바람과 함께 춤추며 시를 노래해 くだらないだろ 쿠다라나이다로 시시한 것이겠지만[4] 妙に綺麗で 泥臭い 묘오니 키레에데 도로쿠사이 묘하게 아름답고 정제되지 않은 わからない中で 와카라나이 나카데 알 수 없음의 속에서 悲しみに勝った 카나시미니 캇타 슬픔을 이겼어 息をするそれだけで 이키오 스루 소레다케데 숨을 쉬는 그 자체가 その証拠なんだった 소노 쇼오 코나닷타 그 증거란 말야 織りなす様に 오리나 스요오니 옷감을 짜듯이[5] 歩いて 止まって 아루이테 토맛테 걸으면서, 멈추고, 失くして 取り戻して 나쿠시테 토리모도시테 잃어버려, 되찾고, それだけだ 소레다케다 그럴 뿐이야 舞う[6] ほどに 마우호도니 춤을 출 수록 もらった寂しいは 모랏타 사비시이와 받은 외로움들은 分け合えるから 와케아에루카라 나눌 수 있으니까 明ける夜空ここで話そう 아케루 요조라 코코데 하나소오 밝아진 밤하늘 여기서 이야기 해보자 "今"は過去と未来の先にあるんだ 이마와 카코토 미라이노 사키니 아루다 지금은 과거와 미래의 앞서서 존재해[7] 君はうまくいくだろう 키미와 우마쿠 이쿠다로오 "너는 잘 해내고 말 거야" 無責任な言葉でも 무세키닌나 코토바데모 무책임한 말일지라도 わからないもので 와카라나이 모노데 알 수 없는 거니까[8] 窓から日が差して滲む 마도카라 히가 사시테 니지무 창문에 햇빛이 들어와 번지고 季節が風と踊り纏い詩を歌う 키세츠가 카제토 오도리 마도이 우타오 우타우 계절이 바람과 함께 춤추며 시를 노래해 くだらないだろ 쿠다라나이다로 시시한 것이겠지만 妙に綺麗で 泥臭い 묘오니 키레에데 도로쿠사이 묘하게 아름답고 정제되지 않은 わからない中で 와카라나이 나카데 알 수 없음의 속에서 |
5. 여담
- 2021년 꾸미는 사랑에는 이유가 있어 이후로 오랜만에 담당한 드라마 타이업 곡이다. 이번에도 TBS 화요 드라마이다.저의 26살을 생각하면, 주인공 마도카처럼 무작정 모르는 것 투성이였습니다. 당시 아직 솔로 데뷔 전이라 발표할 예정도 없이 만들어 놓았던 노래에는 사사건건 '모르겠다(わからない)'라는 가사를 썼던 기억이 있습니다. 애초에, 지금까지 "알았다!"(わかった, Eureka)라는 일이 있었던가. 오랜만의 드라마 주제가입니다. 어떤 노래인지 꼭 악곡을 듣고 확인해 주세요. #
- 1월 28일 오후 6시부터, Stationhead에서 리스닝 파티의 개최가 결정되었다. 신곡 Eureka를 포함해 사전에 청취자로부터 모집한 곡들로 구성된다고 한다. #
- 뮤직비디오의 구성이 이전 뮤직비디오들과는 상당히 다른 편이다. 뮤직비디오 속 등장하는 인물의 연극적인 설정[9]이 틀에 맞춰서 정해지지 않은 것처럼 보이게 연출했으며, 호시노 겐이 입을 열어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곡을 만드는 그의 실제 스튜디오 장면도 들어가있다.
6. 참여 뮤지션 및 스태프
Produced by Gen HoshinoLyrics, Music & Arrangement:Gen Hoshino
Vocal, Chorus, Bass, Synthesizer, Programming:Gen Hoshino
Drums, Shaker:Shun Ishiwaka
Piano, Electric Piano:Hirotaka Sakurada
Electric Guitar:Ryosuke Nagaoka
Chorus Arrangement:Gen Hoshino
Recorded by Shojiro Watanabe, Shu Saida, Gen Hoshino
Mixed by Shojiro Watanabe
Mastered by Takahiro Uchida
[1] 재즈의 영향을 받은, 부드럽고 낭만적이며 로맨틱한 스타일로 연주되는 R&B 장르이다. 스모키 로빈슨의 1975년 앨범 "A Quiet Storm"의 타이틀 곡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2] 未知(미지)와 道(길)은 일본어로 '미치'로 읽힌다. 즉, 동음 관계인데, 영문 번역에서 '길'과 '미지' 둘 다 채택하고 있다.[3] '사람들 스스로 자기자신을 우스워 보이게 만든다' 또는 '사람들 스스로 자기자신을 속인다' 등등 (Make a fool of themselves)[4] 이 세상의 모든 것들이 미쳤다는 걸 알지만 (I know everything in this world is crazy)[5] '이쪽으로 갔다가 저쪽으로 갔다가'하는 모습을 직조기로 옷감을 짤 때의 모습으로 비유했을 가능성이 높다. (Back and forth)[6] 踊り(오도리)의 춤과 다른 뉘앙스를 담고 있는데, 踊り는 뛰면서 추는 춤에 가깝다면, 舞う는 땅을 그리듯이 선회하는 뜻을 담고 있다.[7] 현재는 '과거'와 '미래'를 담고 있어 (The "present" carries the past and future)[8] 그것들은 왠지 모르게 나를 격려해줘 (They somehow encourage me)[9] '호시노 겐'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바탕으로 새로 생성된 화자(話者). 이 화자 또한 호시노 겐 본인이 연출할 때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