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 | '''[[Forsaken(Roblox)|{{{#!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 | }}} | 
| {{{#!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등장인물 | ||
| 생존자 (스킨) · 살인마 (스킨) · NPC · 대사 및 상호작용 | |||
| 게임 관련 정보 | |||
| 감정 표현 · 아이템 · 맵 · 미션 · 업적 업데이트 로그 · 세계관 · OST · 논란 및 사건 사고 | }}}}}}}}}}}} | 
1. 개요2. 목록
2.1. 상점에서 구매
2.1.1. Whimsical (덜떨어짐)2.1.2. Original (오리지널)2.1.3. Cultist (이교도)2.1.4. p00lkidd (풀키드)2.1.5. sch00lkidd (스쿨키드)2.1.6. Dapper (춤꾼)2.1.7. Cool3r (더 멋진)2.1.8. Weirdly Strict (이상하게 엄격한)2.1.9. p4j4m4k1dd (ㅍrㅈrㅁrㅋ1드)2.1.10. Cosplayer (코스플레이어)2.1.11. K00lkidd (콜키드)2.1.12. Bluudud (블루듀드)2.1.13. N1GH7M4R33 (악몽)2.1.14. Cupcakes (컵케이크)2.1.15. pr3typriincess (2쁜 공듀)2.1.16. Color and Electricity (색채전기)2.1.17. Savior (구원자)2.1.18. Masked Man (가면의 남자)2.1.19. One More Time (원 모어 타임)2.1.20. DIVADAYO (디바다요)2.1.21. Mafioso (마피오소)
2.2. 도전과제 한정2.2.1. Milestone I (1단계)2.2.2. Milestone II (2단계)2.2.3. Milestone III (3단계)2.2.4. Milestone IV (4단계)
2.3. 삭제, 폐기된 스킨1. 개요
c00lkidd의 스킨을 정리한 문서.2. 목록
2.1. 상점에서 구매
2.1.1. Whimsical (덜떨어짐)
|  | |
| <nopad> | |
| "해피 해피 해피~~~ :3 :D" "happy happy haaapppyy :3 :D" | |
| 450$ | |
| 변경 요소 | 외형 / 스킬 이펙트 | 
쿨키드가 프로펠러 모자로 알려진 모자를 쓴다. 이 스킨의 쿨키드로 E 스킬 적중 시 파이어브랜드가 아닌 롤리팝을 쓴다.
여담으로 이동 속도가 빨라질수록 모자의 프로펠러가 빠르게 돌아간다. 다만 쿨키드는 이동 속도 버프를 받을 수 있는 수단이 없다 보니 큰 의미는 없다.
2.1.2. Original (오리지널)
|  | |
| <nopad> | |
| "딱 아빠가 알던 쿨키드야." "Just like papa used to see him." | |
| 500$ | |
| 변경 요소 | 외형 / 스킬 이펙트 | 
2014년 당시의 쿨키드 아바타이다. R스킬로 소환하는 피자 배달부들도 본체와 같은 외형을 띈다.
설명문으로 추정컨데 쿨키드가 포세이큰 세계로 오기 전에는 이 모습이였던 걸로 보인다.
2.1.3. Cultist (이교도)
|  | |
| <nopad> | |
| "팀 c00lkidd에 입교하세요!" "join team c00lkidd!" | |
| 500$ | |
| 변경 요소 | 외형/스킬 이펙트 | 
후드와 바지를 입는다.
한때 쿨키드의 마일스톤 I 스킨이 이걸로 계획됐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마일스톤 IV의 렌더링에 이교도 쿨키드 스킨이 있다.
슬래셔 업데이트로 외형과 피자 배달부의 외형이 변경 되었다. 추가로 파이어브랜드가 창으로 바뀐다.
렌더링 오른쪽을 잘 보면 007n7이 있다.
2.1.4. p00lkidd (풀키드)
|  | |
| <nopad> | |
| "걔가 가장 치사한 뱅크샷을 넣었어." "He's got the nastiest bank shot in all of the realm." | |
| 500$ | |
| 변경 요소 | 외형 / 스킬 이펙트[1] | 
살갖이 하얀색이 되며, 패딩 조끼와 페도라를 착용한다.
투 타임 리워크 업데이트로 인해 잠시동안 패딩을 벗는 버그가 발생한 적 있다. 이후 패치로 조용히 고쳐졌다.
2.1.5. sch00lkidd (스쿨키드)
|  | |
| <nopad> | |
| "공식적으론 'L4mekidd' 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그는 'sch00lkidd' 라고 불리는 걸 조금 더 선호한다. 하지만 좀비킹은 아직도 그를 'l@mekidd' 라고 부른다... 어 맞아 얘 왕따당했다." "Formerly known as 'L4mekidd', he prefers the term 'sch00lkidd'. But Zombie King still calls him 'l@mekidd'. Yeah he gets bullied." | |
| 500$ | |
| 변경 요소 | 외형 | 
팔과 머리의 살갖이 회색이 되며, 책가방을 매고 머리에는 교과서들을 이고 있다.
2.1.6. Dapper (춤꾼)
| Dapper | |
| <nopad> | |
| "다음에 놀러갈 때를 위해 정장을 입었지" "Suited up for the next playdate" | |
| 600$ | |
| 변경 요소 | 외형 | 
쿨키드가 고급진 정장과 모자를 쓴다. 가격에 비해 쿨키드를 그냥 정장 입은 살인마로 만들어버려서 인기가 없다.
2.1.7. Cool3r (더 멋진)
| Cool3r | |
| <nopad> | |
| "아빠가 준 스케이트보드 갖고 노는 중" "Skating with the same board that his dad gave 'em." | |
| 700$ | |
| 변경 요소 | 외형 | 
붉은색 모자와 헤드셋을 쓰고 스케이트를 타고 다니는 쿨키드이다. 여담으로 스킨 사진 뒤에 있는 것은 "아버지" 스킨의 007n7이다.
2.1.8. Weirdly Strict (이상하게 엄격한)
| Weirdly Strict | ||
| <nopad> | ||
| "breadian 나는 당신의 영상를 좋아해요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breadian i love your videos man thank you for doing what u do" | ||
| 700$ | ||
| 변경 요소 | 외형 / 스킬 이펙트 / 효과음[2] | |
로블록스의 다른 게임인 weird strict dad를 패러디한 스킨이다. 쿨키드의 굴곡진 모델링이 다 비치는 것이 특징. 특이사항으로는 본래 쿨키드의 대사가 출력되지 않는다.
타 게임의 캐릭터를 기반으로 만든 것에 비해 인기가 없는 스킨이다.
2.1.9. p4j4m4k1dd (ㅍrㅈrㅁrㅋ1드)
| <nopad> | |
| "괴상한 생물들, 괴물 파티." "Freaky creatures, Monster party." | |
| 700$ | |
| 변경 요소 | 외형 | 
괴물 파자마를 입는다.
-
2.1.10. Cosplayer (코스플레이어)
| Cosplayer | |
| <nopad> | |
| "이 꼬맹이는 자기의 새 친구들이 꽤 쩐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Little guy must've thought that all of his new buddies were pretty c00l" | |
| 900$ | |
| 변경 요소 | 외형 / 대사 | 
| 대사는 이 문서 참고 | 
쿨키드가 슬래셔, 존 도, 1x1x1x1을 흉내내는 스킨이다. 각 캐릭터들이 크레용으로 엉성히 칠해진 봉투를 뒤집어 쓰며, 어떤 캐릭터일지는 랜덤으로 배정된다.
캐릭터에 맞춰 대사도 변경된다.[3] 슬래셔는 대사가 없기에 바람소리만 내고,
2.1.11. K00lkidd (콜키드)
| K00lkidd | |
| <nopad> | |
| "오늘 90%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하세요!" "Buy and drink, 90% off today!" | |
| 900$ | |
| 변경 요소 | 외형 / 스킬 이펙트 | 
이 스킨은 X에서 @Azurewr4thz라는 사람이 아이디어를 내 제안했으며 모델은 @SuperBonker06라는 사람이 제작한 스킨이다.
나이는 9살이고, 화나면 안에 들어있는 음료수 색상이 짙어진다고 한다.
자신이 사람을 죽이고있다는걸 알고 있지만 아버지의 관심을 끌기 위해 계속 죽인다고 한다.
여담으로 대명사가 He나 Him이 아니라 It, Its라고 한다.(...)
R스킬의 피자 배달부도 해당 스킨의 외형과 비슷하게 변하며 Q스킬의 외형도 변한다.
모티브는 쿨에이드.
2.1.12. Bluudud (블루듀드)
| Bluudud | |
| <nopad> | |
| "내가 더 쩔어 나는 파;란색이니까" "IM COOLER BECAUSE IM B;LUE" | |
| <nopad> 
 | |
| 1000$ | |
| 변경 요소 | 외형 / 인트로 / 대사 / 효과음 / 스킬 이펙트 / 추격 테마 / 이모트 | 
| 대사는 이 문서 참고 | 
-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 추격 테마 - MY COOL BLUU TUNE!!! (내 쩌는 블루곡!!!) 
온 몸이 파란색으로 물든 쿨키드와 비슷한 존재. 추격 BGM이 Jerma985의 밈으로 가득하게 바뀐다. 파이어브랜드 대신 롤리팝을 쓴다.
- [ 블루듀드의 정보 펼치기 • 접기 ]
-  * 제작자는 baconstripz125이며 블루듀드의 성우이기도 하다.- 쿨키드보다 2살 많은 12살이다.
- 인터넷 방송인이다. 추격 테마에 Jerma985가 리믹스된 것도 그 이유인듯.[4]
- 어머니가 있으며 이름은 118o8이다.[5]
- 사과 주스와 복숭아 파이를 좋아한다.
- '덜떨어짐' 스킨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E스킬 명중 시 롤리팝을 쓰는 것이 그 이유.
- 최애 Roblox 게임은 'Minions adventure obby despicable forces ultimate'다.
- 자신이 창조한 '블루니스'(Bluunies)를 반려동물로 기르고 있다. 외형은 토끼와 유사하다. 인게임에선 찾아볼 수 없으며, 블루두드의 제작자가 만든 게임인 'blueworld'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본인이 지금 가상 현실 게임을 하고 있다 생각해 자신이 하고 있는 행동을 모른다고 한다.[6][7]
- 최애 파란색은 퇴색된 파란색이다.
- 최애 색상은 라벤더 라고 한다.[8]
- 블루듀드는 쿨키드를 알고 있다고 한다. 반대로 쿨키드는 블루듀드를 모른다고 한다.
- 블루듀드와 쿨키드가 서로 싸우면 서로가 동시에 서로의 얼굴을 때려 동시에 쓰러질 것이라고 한다.(...) 이 점을 미루어보아 스탯은 쿨키드와 동일한 듯.
- 007n7 킬 대사의 맥락을 살펴보면 007n7이 누구인지 알고 있는듯 하다. 또한 007n7과 혈연이 아니기에 전용 킬모션을 적용받지 않는다.
- 특이사항으로 전용 감정표현이 있다. 해당 문서 참고. 이름은 '예이이이 와후우우우 위이이이이이'(...)로, 몬스터 매쉬 감정표현의 변형판이다.
- 'tem bluudud'라는 단체에 소속되어 있다. 아마 team c00lkidd처럼 파괴 집단인 듯. 또한 블루두드의 몸통에도 'tem bluudud get inn nowww!!!'(팀 블루두드에 당장 들어오세에요오오오!!!)라는 문구가 있었다.
- 치열이 독특하게 3개다.(...) 또한 색이 꺼먼데 이빨이 마이크라서 심한 오토튠 목소리가 나는 걸 수도.
- 문법이 엉망이라고 한다.
- 엄마의 카드로 클래시 로얄에 2000달러[9]를 질렀다고 한다.
- 9살때 집앞에서 교통사고로 블루월드에 오게되었다고 한다.[10]
 
상기한 변경점들이 많아서 픽률이 높은 편에 속한다. 다만 목소리가 좀 시끄러운 편.
2.1.1 업데이트 이후, 외형이 변경되었다.[11] 2.1.2 업데이트로 잠깐 롤백되었는데, 이유는 해당 외형을 디자인한 개발자의 포세이큰 개발 팀 탈퇴라고. 이후 투타임 리워크 업데이트로 최종 수정되었다.[12]
2.1.13. N1GH7M4R33 (악몽)
| N1GH7M4R33 | |
| <nopad> | |
| "엄마 뒤에 여자애가 있어" "Mama a girl behind you" | |
| 1000$ | |
| 변경 요소 | 외형 / 스킬 이펙트 | 
Forsaken에 많은 영향을 준 The Robloxia: Until Dawn의 쿨키드 모델을 쓰는 스킨이다.[13]
변경점은 적지 않지만, 더 퀄리티가 좋은 Cupcakes와 Bluudud에 비해 잘 안 보이는 편이다. 가격도 꽤 비싼 주제에 전용 추격 테마나 대사, 애니메이션도 없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인 듯.
2.1.14. Cupcakes (컵케이크)
|  | |
| <nopad> | |
| "내가 진짜로 원하는 건 미소 미소 미소오오오오오!" "All I really need's a smile smile smiiiilee!" | |
| 1000$ | |
| 변경 요소 | 외형 / 스킬 이펙트 / 추격 테마 / 1v1 대치 상황 테마 | 
- [ 전용 추격 테마 / 1v1 대치 상황 테마 펼치기 • 접기 ]
- 추격 테마 - 1v1 대치 상황 테마 - SMILE (미소)[14] 
Q스킬 피사체가 케이크로 바뀌며 피자 배달부의 외형이 생존자[15]의 모습으로 바뀐다. 모티브는 핑키 파이의 2차창작.
블루듀드보단 아니지만, 변경점들이 많아서 픽률이 높은 편에 속한다.
추격 BGM이 아기자기하게(...) 변경된다.
LMS 브금이 잠깐 제거되었었다. 추후 특정 스킨의 생존자와의 히든 매치 때 사용될 예정이었다고. 그러나 커뮤니티의 항의가 빗발쳐 복구되었다.
2.1.15. pr3typriincess (2쁜 공듀)
| pr3typriincess | |
| <nopad> | |
| "쟤네들 중 가장 예뻐" "prettiest of them all" | |
| 1001$ | |
| 변경 요소 | 대사 / 외형 / 스킬 이펙트 / 추격 테마 / 이모트 | 
| 대사는 이 문서 참고 | 
-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 추격 테마 - CUT-THROAT TEA PARTY (잔혹한 티파티) 
분홍색의 쿨키드를 닮은 존재. 유일하게 여성 스킨이며, 파이어브랜드 대신 마법봉을 쓴다.
- [ 2쁜 공주의 정보들 펼치기 • 접기 ]
- * 캐릭터의 원작자는 oryni_osome.
2.1.16. Color and Electricity (색채전기)
|  | |
| <nopad> | |
| "너만을 위한, 부드러운 빛이 되고 싶어, 내가 기억하는 그 예쁜 노란빛처럼." "I want to become, the gentle hue, only for you, the pretty yellow I knew" | |
| 1050$ | |
| 변경 요소 | 외형 / 스킬 이펙트 / 추격 테마 | 
-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광과민성 발작 주의)]
- 추격 테마 - #FF9CAE[18] 
무시P의 곡인 색채전기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스킨. 쿨키드의 외형과 추격 테마 모두 색채전기에서 따왔다. 추격 테마의 평이 좋은 편이다.
007n7의 우비 스킨과 모티브를 공유한다. 다만 007n7쪽은 원작에서 잡아먹힌 우비 아이가 모티브.
2.1.17. Savior (구원자)
|  | |
| <nopad> | |
| "그 어떤 대가를 치뤄서라도." "No matter the cost" | |
| 1200$ | |
| 변경 요소 | 외형 / 효과음 / 스킬 이펙트 | 
- [ 삭제된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 추격 테마 - I DID IT FOR YOU (너를 위해 그랬어)[19] 
언더테일 AU 중 하나인 Dustbelief의 파피루스를 모티브로 한 스킨이다. 평타를 포함한 모든 스킬에 전용 효과음과 이펙트가 생기고, 달리는 애니메이션이 바뀐다. 높은 완성도와 퀄리티를 가지고 있지만 일부 스킬들의 이펙트가 네온으로 바뀌어 다른 스킨에 비해 비교적 노출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몇몇 스킨들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쿨키드와는 별개의 인물이기 때문에 007n7을 살해했을 때 007n7 전용 킬 모션을 사용하지 않는다.[20]
이상하게도 상점 아이콘에선 단검을 2개 들고 있지만 인게임에선 1개만 들고 있다.
2.1.2 버전에 잠깐 출시되었지만 미완성[21]이라는 이유로 단종되었었다. 이후 4일만에 2.1.3버전에서 재출시되었다.
현재 추격테마 작곡가의 해고로, 추격테마가 잠시 삭제된 상태다.
2.1.18. Masked Man (가면의 남자)
| Masked man | |
| <nopad> | |
| "그 안에는 단 한 조각의 생명도 남아 있지 않다." "Not even a fragment of life remains inside it." | |
| 1200$ | |
| 변경 요소 | 외형 / 효과음 / 스킬 이펙트 / 추격 테마 | 
-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 추격 테마 - COOL ONE (쿨한 자) 
모티브는 MOTHER 3의 등장인물인 가면의 남자. 대사를 말하지 않는 대신 스킬 효과음들이 MOTHER 3의 것들로 바뀌며, 추격 테마는 가면의 남자 전용곡인 Strong One의 리믹스 버전을 사용한다.
Q스킬 투사체는 주황색 구체로, R스킬 배달부는 MOTHER 3에 등장하는 잡몹인 돼지마스크로 변경된다.
2.1.19. One More Time (원 모어 타임)
| One More Time | |
| <nopad> | |
| "알려줘, 너가 뭘 바랬는지. 내게 말해줘, 정말 알고 싶어" "Show me how you want it to be. Tell me, baby, 'cause I need to know now" | |
| 1950$ | |
| 변경 요소 | 외형 / 효과음[22] / 스킬 이펙트 / 스킬 모션 | 
모티브는 A Bizarre Day의 스탠드 중 하나인 원 모어 타임. E스킬의 모션이 드릴 글라이드
기절할 경우 톰의 비명 소리(...)가 재생된다. 해당 스탠드의 모티브가 저 의상을 입은 톰이기 때문.
이펙트도 워낙 화려해서 시야 확보가 어렵고 노출도도 매우 높다 보니 추격전에서 방해 요소가 된다. 거기에 1950$이라는 가격에 비해 변경점이 적다 보니, 사실상 특유의 이펙트와 톰 비명 소리 말곤 메리트가 없는 스킨. 이 때문인지 비슷한 가격대의 스킨들에 비해 잘 보이지 않는 스킨이다.
2.1.20. DIVADAYO (디바다요)
| DIVADAYO | |
| <nopad> | |
| "미쿠다요오오오" "Mikudayooo" | |
| 1500$ | |
| 변경 요소 | 외형 / 스킬 이펙트 / 대사 / 추격 테마 | 
- [ 전용 추격 테마 / 펼치기 • 접기 ]
- 추격 테마 - MIRACLE CATASTROPHE (미라클 카타스트로피)[23] 
또다른 Project Blue 콜라보 스킨. 만약 GMT+9/KST 시간대 기준 2025년 7월 21일 월요일 오후 10시까지 해당 게임에 접속 하였다면 공짜로 지급된다. #
2025년 8월31일 일요일에 도전과제 한정이였던 스킨이 상점에 출시 되었다.
대사 중에 욕설, 패드립이 섞여있다.
과거에는 1x 디바와 같은 테마를 사용했었다.
2.1.21. Mafioso (마피오소)
|  | |
| <nopad> | |
| "소넬리노 가문과 절대 엮이지 마라." "Never mess with the Sonnellinos." | |
| 2,777$ | |
| 변경 요소 | 외형 / 대사 / 효과음 / 스킬 이펙트 / 추격 테마 / 인트로 / 아웃트로 / 이모트 / 킬모션 / 모션 | 
| 대사는 이 문서 참고 | 
-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 ||<bgcolor=#000><tablebordercolor=black>  ||추격 테마 - DEBITO DI SONNO (수면 부채) 
가격은 2,777$로 쿨키드의 스킨 중 최고가이지만, 준수한 외형, 대사, 효과음, 스킬 이펙트를 가지고 있어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인기 있는 스킨이어서 공섭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또한 추격 테마가 재즈풍의 테마인 'DEBITO DI SONNO'[24]로 바뀌는데, 해당 스킨과 매우 잘 어울린다.
이름인 "Mafioso"는 이탈리아어로 "마피아의 구성원"이라는 의미이다.
블루두드와 마찬가지로 쿨키드와는 별개의 인물이라 007n7 전용 킬 모션을 적용받지 않는다.[25]
이전에는 Dream Game의 마피오소를 가져온 스킨이었지만, 드림 게임 제작자의 요청에 따라 별개의 캐릭터로 리메이크되었다.
찬스의 새로 쓰일 로어에 추가 될 예정이라고 한다. 추격 테마인 'DEBITO DI SONNO'의 설명란에 로어의 일부가 공개됐다. '돈 소넬리노'로 알려진 마피오소는 '소넬리노 일가'의 보스이며, 한 때 찬스가 자주 드나들었던 카지노의 주인이었다. 찬스와 소넬리노 일가의 사이는 좋았으나 찬스가 조작된 게임에서 이긴 후 상품을 가지고 달아났다. 찬스에겐 상품을 돌려주거나, 바다에 수장되는 선택지만 남았다고 한다. [원문]
다른 쿨키드 스킨과는 다르게 피자배달 스킬을 사용할때 피자배달부가 원래 캐릭터랑 비슷하게 나오지 않는다.
2.2. 도전과제 한정
2.2.1. Milestone I (1단계)
| Milestone I | |
| <nopad> | |
| "오오오오 나 악마 뿔이랑 꼬리 생겼어 :D!" "oooo i grew demon horns and tail :D!" | |
| 획득 경로 | c00lkidd 25레벨 달성 | 
| 변경 요소 | 외형 | 
쿨키드 25레벨을 달성하면 지급되는 스킨. 악마 꼬리와 뿔이 추가된다.
2.2.2. Milestone II (2단계)
| Milestone II | |
| <nopad> | |
| "나 망토 얻었으니.. 슈퍼 히어로다! :D" "i got a cape now.. IM A SUPER HERO! :D" | |
| 획득 경로 | c00lkidd 50레벨 달성 | 
| 변경 요소 | 외형 | 
쿨키드 50레벨을 달성하면 지급되는 스킨. 마일스톤 2에서 붉은색 망토가 추가되며, 이 시점부터 쿨키드의 몸에 마치 오류처럼 오라가 생긴다.
2.2.3. Milestone III (3단계)
| Milestone III | |
| <nopad> | |
| "벌레 놈들이 하나하나 쓰러지네. "놀이 시간"도 이젠 끝이야. " "One by one these insects fall. No more "Playtime"." | |
| 획득 경로 | c00lkidd 75레벨 달성 | 
| 변경 요소 | 외형 / 대사 / 스킬 이펙트 / 추격 테마[추가예정] / 킬 모션 | 
쿨키드 75레벨을 달성하면 지급되는 스킨. 양 팔에 붉은 오라가 깃들며, 검은색 링을 단다. E스킬 시전 시 무기 또한 파이어브랜드 대신 채찍을 사용한다.
| 킬 모션 | 
|  | 
|  | 
추격 테마의 추가가 예고되어 있다. 이는 마일스톤 4도 마찬가지.
슬래셔 업데이트로 마일스톤 4와 함께 전용 대사가 추가되었다.
여담으로 대사 속의 쿨키드의 목소리가 몇몇 스킨과 마일스톤 4를 제외한 다른 쿨키드들 보다 살짝 더 성숙한데, 그 이유는 쿨키드는 마일스톤의 숫자가 커질수록 나이를 먹기 때문이다. [32] [33]
2.2.4. Milestone IV (4단계)
| Milestone IV | |
| <nopad> | |
| "하하하하하 지금 절 보세요 아버지... 전 이 세상의 경지고... 저는 신이에요!" "НАНАНАНА Look at me now Father... I'm on top of the world... I AM GOD!" | |
| 획득 경로 | c00lkidd 100레벨 달성 | 
| 변경 요소 | 외형 / 대사 / 스킬 이펙트 / 추격 테마[추가예정] / 킬 모션 | 
쿨키드 100레벨을 달성하면 지급되는 스킨. 쿨키드가 후드를 쓰며, 눈에서 하얀색의 안광이 생기고 뿔과 오라의 크기도 더욱 커졌다.
대사가 매우 공격적으로 변하는 것이 특징인데, 마치 살인을 즐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다만 마일스톤 3와 마찬가지로, 기존 쿨키드에서 외형과 킬 모션만 바뀌었다. 추격 테마는 추가 예정이다.
렌더링에 이교도 스킨의 쿨키드들이 있다.[35]
===# 관리자 전용 스킨 #===
====# Yourself (너 자신) #====
| Yourself | |
| <nopad> | |
| "너지만 만약 네가 엉망이고 뒤틀렸을 경우" "You but if you were messed up and twisted" | |
| 변경 요소 | 외형 / 추격 테마 | 
존 도, 1x1x1x1, 놀리의 '너 자신' 스킨들처럼 자신의 아바타로 변하게 해주는 스킨. 아바타가 바뀌어도 쿨키드의 몸에 있는 글씨는 있다.
추격 테마 또한 다른 '너 자신' 스킨들과 공유한다.
또한 사진이 구버전 '너 자신' 존 도의 일러스트인데 예시로 쓴게 아니라 실제로 저 사진이다.
===# 업데이트 예정 스킨 #===
====# Purpleguy (퍼플가이) #====
| Purpleguy | |
| <nopad> | |
| "난 쿨키드도 블루두드도 아니다..." "I am neither C00lKidd nor Bluudude..." | |
| ?$ | |
| 변경 요소 | 외형 | 
모티브는 오지터. 설명과 외형에 따르면 쿨키드와 블루두드가 퓨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대사라인은 완성됬다고 한다.
====# sc4rle5kidd (스깔렛ㅋ1드) #====
| sc4rle5kidd | |
| <nopad> | |
|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And then there were none." | |
| 1465$ | |
| 변경 요소 | 외형 / 스킬 이펙트 | 
동방 프로젝트의 플랑드르 스칼렛을 모티브로 한 스킨. 스칼렛의 의상을 입고 입가에 송곳니가 튀어나와 있다.
상당히 높은 가격에 비해 전용 추격 테마나 전용 애니메이션도 없고 피자 배달부의 외형마저 변하지 않았는데, 아직 미완성이었기 때문이다.[37]
결국 상술한 이유로 판매 중단 되었다. 추후 다시 출시할 예정이라고. 구매했던 유저들은 한때 사용이 가능했으나, 얼마 못가 완전 삭제되었다.
====# Job Application (구직 신청서) #====
모티브는 2025년 짤인 Job Application. 스킨을 끼면 쿨키드의 피부가 흰색으로 바뀌고, 구직 신청서와 비슷한 문구가 표시된다. 이 스킨은 5월 27일 무대에서 처음으로 출시되었다. 실업자들을 겁주기 위해서 '구직 신청서 갑툭튀'라는 짤에서 가져온 것으로 추정되며, 이 스킨은 노약자들을 위한 스킨이 아니기 때문에 삭제되었...었으나 현재 개발이 다시 되는 중으로 보인다.
2.3. 삭제, 폐기된 스킨
====# Mafioso (마피오소) #====
|  | |
| <nopad> | |
| "여기에서 우리 타겟을 찾을 줄은 몰랐는걸." "I didn't really expect to find one of our targets here." | |
| 1750$ | |
| 변경 요소 | 외형 / 대사 / 효과음 / 스킬 이펙트 / 추격 테마 / 인트로[38] | 
| 대사는 이 문서 참고 | 
-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 추격 테마 - DEBITO DI SONNO (수면 부채) 
로블록스의 Dream Game에 있는 마피오소의 모습을 딴 스킨이다. 준수한 외형, 대사, 효과음, 스킬 이펙트를 가지고 있어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인기 있는 스킨이다. 또한 추격 테마가 재즈풍의 테마인 'DEBITO DI SONNO'[39]로 바뀌는데, 해당 스킨과 매우 잘 어울린다.[40]
특이사항으로 Q, E스킬로 생존자 처치 시 생존자의 머리 위에 'Debth Verified'(빚 확인됨)라고 적혀있는 표지판이 꽂힌다.[41][42] 다만 화상 디버프로 생존자가 사망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블루두드와 마찬가지로 쿨키드와는 별개의 인물이라 007n7 전용 킬 모션을 적용받지 않는다.
드림 게임 제작자의 요청에 따라 리메이크가 되면서, 리메이크 이전의 이 스킨은 삭제되었다.
====# Phonk Kidd (퐁크 키드) #====
음악 장르중 하나인 Phonk를 들으면서 아드레날린이 솟구친다느니 하는 요즘 잼민이들을 패러디한 것 같다. 외형에 트롤페이스들이 덕지덕지 붙어있는것도 잼민이들이 phonk 에딧에 트롤페이스를 덕지덕지 붙여서 그렇다. 마침 쿨키드가 10살이기도 하고.
====# 10 Hour Burst Man (10 Hour Burst 맨) #====
모티브는 item asylum의 보스인 10hourburstman2.
====# Bluudud Anim Test (블루두드 애니 테스트) #====
이름 그대로 애니메이션 테스트용 스킨. 각종 모션들이 좀 더 부드러워지거나 역동적으로 수정되었다. 후에 이 모션들이 사용될 지는 불명.
====# SickKidd (아픈아이) #====
병에 걸린 컨셉의 쿨키드. 보이스라인이 죄다 힘 빠진 톤이며, 기침을 하는가 하면 갑자기 어디가 아프다며 골골대기도 한다.[43]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if external != "o"
[[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uuid=610f3aea-27af-4f44-afd7-a813ddd9f5aa|r84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uuid=610f3aea-27af-4f44-afd7-a813ddd9f5aa#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from=849|이전 역사 보러 가기]]}}}#!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if external != "o"
[[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uuid=610f3aea-27af-4f44-afd7-a813ddd9f5aa|r84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uuid=610f3aea-27af-4f44-afd7-a813ddd9f5aa#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from=849|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Peeler (필러) #====
| Peeler | |
| <nopad> | |
| "???" | |
| 변경 요소 | 외형 / 대사 / 스킬 이펙트 / 추격 테마 / 킬 모션 / 전용 애니메이션 | 
공식적으로 폐기가 결정 나면서 필러 스킨에 모든 정보가 풀렸다.
폐기된 이유는 스킨 제작자 Niixx가 NDA 논란으로 불편함을 느껴 삭제되었다.
스킨의 퀄리티가 높아, 폐기된게 아쉽다는 사람들이 많다.
애니메이션
추격 테마[44]
[1] E스킬로 적중 시 검이 바뀐다.[2] 피자 배달부 적중하거나 E스킬로 벽에 충돌했을 시[3] 단 일부 대사들은 그대로 남아 있다.[4] 대사에도 도네이션과 관련된 대사가 몇 있다.[5] 쿨키드의 아버지인 007n7의 이름에서 숫자는 1씩 더하고, 영어는 그 다음 철자를 사용한 안티테제다. 마침 성별도 반대된다.[6] 이건 마치 쿨키드가 자기가 사람들과 술래잡기를 하고 있다고 착각하는 것과 매우 비슷하다.[7] 또한 그래서 블루듀드가 자신의 어머니인 118o8을 죽이면 드디어 게임으로 엄마를 이겼다며 신나하고 다음 판에 보자고 말한다.[8] 이유는 어머니가 가장 좋아하는 색깔이기 때문이라고 한다.[9] 한화 278만원[10] 118o8의 전체 렌더링을 보면 차에 치여 머리 일부분이 터진 듯한(...) 블루두드가 보인다. 또한 이때는 어린 시절이라 그런지 과거 쿨키드처럼 기본 머리의 모습이었다.[11] 블루두드의 인트로의 배경에 나오는 그림에서, 블루두드는 동그란 머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12] 외형 변경 전까지는 몸이 파란색으로 바뀐 쿨키드였다. 한 마디로 쿨키드의 몸이 빨간색에서 파란색으로 바뀐 것이 전부였다는 말.[13] 기존 게임의 이름을 따와 스킨 이름으로 지을려고 했지만 해당 게임의 사건으로 인해 지금의 이름을 쓰게 되었다. 모델은 같으나, 원작은 푸른색 스카프를 착용하지만 '악몽' 스킨의 쿨키드의 스카프 색은 갈색이다..[14] 1v1 대치 상황 테마에 흘러나오는 노래는 Cupcakes HD의 삽입곡인 'Ready to Die'.[15] ![파일:짬뽕당한생존자4명ㅠㅠ.webp]() 왼쪽 순으로 셰들레츠키, 찬스, 빌더맨, 엘리엇. 이 스킨의 피자 배달부들은 얼굴이 가려진 생존자들로 바뀌는데, 생존자들의 얼굴을 가린 것이 007n7이 coolgui를 사용할 때 나오는 화면과 매우 유사하게 생겼다.[16] 모티브가 重音territory ~ずっとテトのターン로 추정되나, 해당 영상의 일부분 중 하나로 보인다. 이 영상에서도 이쁜 공주가 허리를 반복적으로 흔들기 때문.[17] 원래 226w6은 예쁜 공주를 통해 세상에 평화와 사랑을 퍼뜨리려는 의도를 가지고 만들려고 했었다.[18] 제목은 헥스 코드로, 이런 색깔이다.[19] Interstellar Annihilation을 편곡한 것이다.[20] 여담이지만 007n7의 스킨 중 파피루스의 형인 샌즈를 모티브로 한 Comic 스킨을 죽였을 때도 전용 킬 모션을 사용하지 않는다.[21] 전용 대사와 효과음, 추격 테마가 부재했다.[22] 스턴 당하거나 E 스킬로 벽에 충돌했을 시[23] 0:50에 구멍 속 생활 곡의 일부가 들어있다.[24] 이탈리아어로 '수면 부채'이라는 뜻이다.[25] 007n7만 남은 lms 상황시 Plead는 재생된다.[원문] Mafioso, also known as "Don Sonnellino," is head of the Sonnellino mafia family and owner of the casino Chance once frequented. While Chance was once on good terms with the family, this quickly changed one night after Chance won a rigged game, took the special prize, and ran away. Now he finds himself indebted to the Sonnellinos: return the prize, or sleep with the fishes![추가예정] [28] 다만 버그가 있는지 두번째 gif처럼 적용되다가 원 상태로 되돌아오기도 한다. 아직 마일스톤 스킨이 미완성이니 추후에 수정될 듯 하다.[29] 끌어안을 때 뼈가 부러지는 소리가 들린다.[30] 불타기 직전 007n7 또한 쿨키드를 안는다. 이후 c00lgui로 구워지는 동안은 몸부림치다 타죽는다. 이유는 불명이나, 이 때 c00lgui는 쿨키드의 조작 없이 혼자 작동한다. 이로 인해 스펙터가 c00lgui를 작동시킨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31] LMS가 아닌 상황에서는 처형으로 인한 시간을 2.5초 더 주기에 문제가 없지만, LMS에서는 시간 추가가 없어 매우 손해이다.[32] 기본 쿨키드가 10살이니, 14살 ~ 16살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33] 007n7의 마일스톤도 마찬가지. 마일스톤의 숫자가 높아질 수록 점점 나이를 먹는다.[추가예정] [35] team c00lkidd의 팀원들일 수도 있다. 아니면 사람들을 자신과 비슷하게 만들고 팀원으로 만든건진 불명.[36] 대신에 윌리엄 애프튼은 슬래셔 스킨으로 출시했다.[37] 그나마 바뀐점이 있다면 Q스킬 정도가 있다.[38] 여담으로 인트로의 "Sleeping..."은 원작 게임 고증으로 생존자들의 꿈 속이라는 뜻이다.[39] 이탈리아어로 수면 부채라는 뜻[40] 다만 구버전의 추격 브금 또한 상당히 어울린다는 의견도 있어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41]
 왼쪽 순으로 셰들레츠키, 찬스, 빌더맨, 엘리엇. 이 스킨의 피자 배달부들은 얼굴이 가려진 생존자들로 바뀌는데, 생존자들의 얼굴을 가린 것이 007n7이 coolgui를 사용할 때 나오는 화면과 매우 유사하게 생겼다.[16] 모티브가 重音territory ~ずっとテトのターン로 추정되나, 해당 영상의 일부분 중 하나로 보인다. 이 영상에서도 이쁜 공주가 허리를 반복적으로 흔들기 때문.[17] 원래 226w6은 예쁜 공주를 통해 세상에 평화와 사랑을 퍼뜨리려는 의도를 가지고 만들려고 했었다.[18] 제목은 헥스 코드로, 이런 색깔이다.[19] Interstellar Annihilation을 편곡한 것이다.[20] 여담이지만 007n7의 스킨 중 파피루스의 형인 샌즈를 모티브로 한 Comic 스킨을 죽였을 때도 전용 킬 모션을 사용하지 않는다.[21] 전용 대사와 효과음, 추격 테마가 부재했다.[22] 스턴 당하거나 E 스킬로 벽에 충돌했을 시[23] 0:50에 구멍 속 생활 곡의 일부가 들어있다.[24] 이탈리아어로 '수면 부채'이라는 뜻이다.[25] 007n7만 남은 lms 상황시 Plead는 재생된다.[원문] Mafioso, also known as "Don Sonnellino," is head of the Sonnellino mafia family and owner of the casino Chance once frequented. While Chance was once on good terms with the family, this quickly changed one night after Chance won a rigged game, took the special prize, and ran away. Now he finds himself indebted to the Sonnellinos: return the prize, or sleep with the fishes![추가예정] [28] 다만 버그가 있는지 두번째 gif처럼 적용되다가 원 상태로 되돌아오기도 한다. 아직 마일스톤 스킨이 미완성이니 추후에 수정될 듯 하다.[29] 끌어안을 때 뼈가 부러지는 소리가 들린다.[30] 불타기 직전 007n7 또한 쿨키드를 안는다. 이후 c00lgui로 구워지는 동안은 몸부림치다 타죽는다. 이유는 불명이나, 이 때 c00lgui는 쿨키드의 조작 없이 혼자 작동한다. 이로 인해 스펙터가 c00lgui를 작동시킨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31] LMS가 아닌 상황에서는 처형으로 인한 시간을 2.5초 더 주기에 문제가 없지만, LMS에서는 시간 추가가 없어 매우 손해이다.[32] 기본 쿨키드가 10살이니, 14살 ~ 16살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33] 007n7의 마일스톤도 마찬가지. 마일스톤의 숫자가 높아질 수록 점점 나이를 먹는다.[추가예정] [35] team c00lkidd의 팀원들일 수도 있다. 아니면 사람들을 자신과 비슷하게 만들고 팀원으로 만든건진 불명.[36] 대신에 윌리엄 애프튼은 슬래셔 스킨으로 출시했다.[37] 그나마 바뀐점이 있다면 Q스킬 정도가 있다.[38] 여담으로 인트로의 "Sleeping..."은 원작 게임 고증으로 생존자들의 꿈 속이라는 뜻이다.[39] 이탈리아어로 수면 부채라는 뜻[40] 다만 구버전의 추격 브금 또한 상당히 어울린다는 의견도 있어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41] ![파일:debth verified.png]() .[42] 원작 Dream game에 죽으면 빚을 지는 시스템이 있는데, 빚을 졌다면 꽂히는 표지판이다.[43] 이 뉘앙스의 대사는 놀리에게 계승되었다. "우욱, 내 배가 으어-엏-어-억!"이 바로 그것.[44] 추격 테마에서 앵그리버드의 레드의 울음 소리와 오렌지의 웃음 소리나 다른 과일의 비명 소리 등이 들린다.
.[42] 원작 Dream game에 죽으면 빚을 지는 시스템이 있는데, 빚을 졌다면 꽂히는 표지판이다.[43] 이 뉘앙스의 대사는 놀리에게 계승되었다. "우욱, 내 배가 으어-엏-어-억!"이 바로 그것.[44] 추격 테마에서 앵그리버드의 레드의 울음 소리와 오렌지의 웃음 소리나 다른 과일의 비명 소리 등이 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