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6 22:10:05

오군영

5군영에서 넘어옴

1. 개요

五軍營

오군영은 조선 후기의 다섯 군영을 말한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선조 시기 설치된 훈련도감후금에 대응하기 위해 인조 시기 설치된 어영청, 총융청, 수어청, 그리고 이후에 수도를 방위하기 위해 영조 때 설치된 금위영을 합쳐 부르는 말이다. 이 중 훈련도감, 어영청, 금위영은 한양도성을, 총융청은 북한산성, 수어청은 남한산성을 방어했다.

5군영의 각 지휘관은 3명의 대장과 2명의 사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종2품의 당상관으로 구성되어 병조의 통제를 받았으며 현재 각 군의 대장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1]

오군영이라 통칭하지만 이들 오군영은 조선 초기의 오위와는 달리 조선 중후기 수도, 수도권을 보위하는 중앙 군영들로써 설치 시대가 제각기 달랐다. 물론 오군영의 목적은 대체로 대동소이했기에 훈련도감, 어영청, 금위영의 삼군영 같이 합동적으로 군사작전을 펼치는 역사가 많았다.

2. 개설

조선 전기의 오위는 이미 유명무실해진 지 오래였다. 따라서 임진왜란 중 일본군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된 훈련도감을 시작으로 후에 어영청, 총융청, 수어청, 금위영이 설치되면서 최종적인 오군영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오군영 중에서도 실제 중앙군의 핵심은 훈련도감·어영청·금위영이었으며 이들 삼군문(三軍門)은 후일 서인, 특히 노론, 세도정치기 정권유지에 병력 통제 및 재정 확보[2]에 있어 중요한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나머지 총융청·수어청은 수도 외곽의 방어를 전담하는 군영이었다.[3] 이 중 훈련도감은 5000명의 상비군 중심이었고, 어영청과 금위영은 속오군이 번갈아 가며 서울로 올라와 임무를 수행하는 번상군 중심. 총융청과 수어청은 속오군 중심이었다.
형식상 병조판서가 삼군문의 제조로서 오군영의 군령권을 가지고 있었으나, 각 군영의 장과 병조판서 간에는 서열관계가 명확하지 않았다. 영조 대의 병조판서 구선행은 수어사를 제외한 4군영의 장을 역임하였으며 병조판서가 된 뒤 금위대장으로 돌아간 사례도 있었다.

3. 편제

3.1. 훈련도감(한양도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훈련도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어영청(한양도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어영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총융청(북한산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총융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수어청(남한산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어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금위영(한양도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금위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용호영(금군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금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호위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위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개편(친군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친군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관련 문서


[1] 오늘날의 해군참모총장 격인 삼도수군통제사합동참모의장 격인 도원수 자리까지 합치면 현재 대한민국 국군의 대장 TO 7자리와 얼추 비슷하다. 다만 도원수의 경우 전시에만 운용되는 임시직이었으며 육군참모총장이 육군 대장 TO인 지상작전사령관제2작전사령관에 대한 군정권을 가지는 것과 다르게 각 군영 간에는 군사정변반란 방지를 위해 수평적인 관계가 원칙이라서 육군본부 격인 훈련도감이 어영청이나 총융청을 통제하지는 않았다.[2] 어떻게 군대가 재정적 기반이 되는가 싶지만, 조선시대 군영들은 비용 충당을 목적으로 자체적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가능했다. 가령 훈련도감은 통화 주조권을 가지고 있었다. 이외에도...쉽게 말해 군비 착복을 통해 비자금 만들기 매우 딱 좋았다.[3] 총융청과 수어청은 경기도 일대 속오군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사실상 지방군화되었으며, 상시병력은 천여 명에 불과하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