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4:43:58

2024 MBC 가요대제전: WANNABE

2024 MBC 가요대제전에서 넘어옴

MBC 가요대제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역사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2015년 2017년 2020년 }}}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단독 문서가 개설된 역사만 기록합니다.
함께 보기 틀:가요대축제 | 틀:가요대전
}}}}}}}}} ||

2024년 지상파 3사 연말 시상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000> 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연기대상 파일:2024 KBS 연기대상 로고.png
(녹화)
파일:2024 MBC 연기대상 로고.png
(녹화)
파일:2024 SBS 연기대상 로고.png
연예대상 파일:2024 KBS 연예대상 로고.png 파일:2024 MBC 방송연예대상 로고.png
(지연 개최)
파일:2024 SBS 연예대상 로고.png
(지연 개최)
연말 가요제 파일:2024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 in japan 로고.webp 파일:2024 MBC 가요대제전 로고.png
(녹화)
파일:2024 SBS 가요대전: Merry Music 로고.png
파일:2024 KBS 가요대축제 글로벌 페스티벌 로고.png 파일:2024 SBS 트롯대전 로고.png
}}}}}}}}} ||
2024 MBC 가요대제전: WANNABE (2025)
2024 MBC Gayo Daejejeon: Wannabe
<nopad> 파일:2024 MBC 가요대제전 포스터.jpg
<colbgcolor=#7a8cd5><colcolor=#fff> 방송일
1부
2025년 1월 29일
2부
2025년 1월 30일
녹화일 2024년 12월 31일
방송 시간
1부
17:25 ~ 19:40
2부
16:50 ~ 19:05
채널 MBC TV
녹화 장소 MBC 일산 드림센터 D6 스튜디오
MBC 글로벌미디어센터 방송센터 A스튜디오
기획 최행호
연출 윤혜진
AD 이수인, 김익환
작가 김수지, 이혜진, 정수민, 김유리, 임수진, 김유진
진행 윤아, 민호, 도훈
출연자 aespa, ATEEZ, BOYNEXTDOOR, DAY6, ENHYPEN, ITZY, IVE, NCT 127, NCT DREAM, NCT WISH, NewJeans, PLAVE, RIIZE, Stray Kids, 투모로우바이투게더, TWS, ZEROBASEONE, (여자)아이들, 영탁, 이찬원, 태민, CLASS:y, CRAVITY, FANTASY BOYS, izna, KISS OF LIFE, NEXZ, NMIXX, STAYC, 이영지, 존박, 프로미스나인 (총 32팀)
다시보기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선정성, 언어)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기획 의도3. 진행자4. 예고편5. 공연 목록6. 시청률7. 평가8. 여담

[clearfix]

1. 개요

역대 MBC 가요대제전
2023 MBC 가요대제전: 꿈의 기록 2024 MBC 가요대제전: WANNABE 2025 MBC 가요대제전

2025년 설날 연휴에 방송된 MBC 가요대제전. 부제는 WANNABE(워너비).

당초 2024년 12월 31일 밤 8시 40분부터 생방송으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방송 이틀 전에 발생한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의 여파로 국가애도기간이 선포되면서 생방송이 취소되었으며 녹화 방송으로 전환되어 설 특집으로 2025년 1월 29일1월 30일 이틀간 방송되었다.[1][2]

2. 기획 의도

파일:2024 MBC 가요대제전 로고.png
영원한 K-POP 워너비와
파일:2024 MBC 가요대제전 로고.png 공식 홈페이지

3. 진행자

진행자
<nopad>파일:2024 MBC 가요대제전 MC.jpg
민호 윤아 도훈
  • 윤아10년 연속의 기록을 세웠고, 민호는 2년 연속 진행한다. 도훈은 데뷔 후 첫 연말 시상식 진행자로 발탁되었다.[3]
  • 윤아가 이번 가요대제전을 마지막으로 2015년 이후 10년간 맡았던 진행자 자리에서 물러난다고 밝히면서 진행자로서 참여하는 마지막 MBC 가요대제전이 되었다.[4]

4. 예고편

1차 예고편 윤아 마지막 MC 소감 2차 예고편

5. 공연 목록

||<tablealign=center><tablewidth=64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7a8cd5><rowbgcolor=#7a8cd5><rowcolor=#fff><width=8%> 순서 ||<width=36%> 출연자 || 타이틀 ||<width=12%> 보기 ||
1부
<colcolor=#000,#e5e5e5><colbgcolor=#f5f5f5,#2d2f34> 1 태산 X 장하오 X 신유 X 도훈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원곡: DAY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NewJeans Attentio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여자)아이들 LATAT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IVE ELEVE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izna IZN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KISS OF LIFE Igloo (Hunter v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NEXZ Next Zeneratio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NCT WISH WISH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TWS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NCT WISH Kissing You
원곡: 소녀시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TWS
도훈, 영재
안녕이란 말 대신
원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ZEROBASEONE Mr.Mr.
원곡: 소녀시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BOYNEXTDOOR 불장난
원곡: 블랙핑크
14 BOYNEXTDOOR X ZEROBASEONE No.1
원곡: 보아
15 FANTASY BOYS 분명 그녀가 나를 보고 웃잖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CLASS:y Psycho and Beautiful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CRAVITY Now or Never (Piano Concerto V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PLAVE Pump Up The Volum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atch Me Woo!
19 존박 BLUFF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 존박 X Beauty and the Beast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 영탁 슈퍼슈퍼 (SuperSup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 이찬원 하늘 여행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 STAYC GPT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 NMIXX 별별별 (See that?) (Band V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5 프로미스나인 Supersonic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6 마크 X 이영지 프락치 (Fraktsiy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mall girl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7 전소연 POWER
원곡: G-DRAGO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8 유나 X 카리나 X 설윤 Pocket Locket
원곡: 알라이나 카스티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9 NewJeans Right Now (Jazz ver.) + Dance Break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How Sweet + Hurt
30 지구오락실 케미즈
(이은지, 미미, 이영지, 안유진)
Fire + 내가 제일 잘 나가
원곡: 2NE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부
1 RIIZE 으르렁 (Growl)
원곡: EXO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단짝즈
(, 재이, 레이, 리즈)
Rock U
원곡: 카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젤리지
(지젤, 쥴리, 예지)
Toxic
원곡: 브리트니 스피어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ZEROBASEONE YURA YURA (Korean V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OOD SO BAD
5 BOYNEXTDOOR 부모님 관람불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Nice Guy
6 RIIZE Intro + Impossibl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oom Boom Bass
7 ENHYPEN Intro + Brought The Heat Back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No Doubt
8 IVE Intro + Accendio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해야 (HEYA)
9 ATEEZ The Last Supper + Ice On My Teeth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aespa Intro + Supernov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hiplash
11 ITZY UNTOUCHABL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OLD (New Dance Break ver.)
12 도영 시리도록 눈부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태민 X 니키 NI-KI Solo Dance Break + Guilt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 태민 Sexy In The Ai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5] DAY6 HAPP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elcome to the Show
16 도영 X 윈터 스물다섯, 스물하나
원곡: 자우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투모로우바이투게더 Deja Vu (Anemoia Remi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rowing Pain
18 (여자)아이들 Super Lad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Neverland
19 Stray Kids Chk Chk Boom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alkin On Water
20 NCT DREAM Flying Kis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hen I’m With You (My First of Last ver.)
21 NCT 127 Intro + No Clu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삐그덕 (Walk)

6. 시청률

||<tablealign=center><tablewidth=64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7a8cd5><rowbgcolor=#7a8cd5><rowcolor=#fff><width=12.5%> 날짜 ||<width=12.5%> 회차 ||<width=15%> 시간 ||<width=17.5%> 전국 ||<width=17.5%> 수도권 ||
<colbgcolor=#f5f5f5,#2d2f34> 2025. 1. 29. 1부 17:25 ~ 19:40 1.8% %
2025. 1. 30. 2부 16:50 ~ 19:05 1.4% %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범례] 최저 시청률최고 시청률
  • 1, 2부가 각각 1.8%, 1.4%를 기록하면서 역대 MBC 연말 가요제 최저 시청률을 기록했다. 동시간대에 KBS 2TV가 고령층 대상 프로그램인 〈설 특집 트롯대잔치 -THE COLOR-〉[6]를 편성하기도 했고, 클립 영상으로 원하는 팀의 무대만 감상할 수 있는 시대에 아이돌 팬덤의 주축인 10대와 20대에게는 본방송 시청의 이점이 크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7. 평가

  • 라인업
    예년의 MBC 가요대제전이 고연차 아티스트의 비중이 높았던 데 비해 2010년대 중후반처럼 다시 아이돌 위주 라인업 기조로 회귀했는데, 2020년대 이후 점차 아이돌의 대중성이 떨어지는 추세에 고연차 아이돌의 비중도 줄어들면서 시청률뿐만 아니라 화제성도 예년에 비해 하락했다.
  • 콜라보 무대
    전반적으로 화제성이 부진했던 와중에도 여성 아티스트 콜라보 무대들[7]유튜브 조회수 100만 회를 넘기면서 인기 급상승 동영상에 오르는 등 화제성을 얻는 데 성공했다.
  • 방송일
    예년의 MBC 가요대제전이 양력의 마지막 날이라는 상징성 덕분에 항상 일정 이상의 관심을 얻을 수 있었던 반면 설 연휴로 방송이 연기되면서 다른 명절 특집 프로그램과 경쟁하게 된 것도 관심도 하락에 일조했다.

==# 방영 전 정보 #==
  •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이 약 6시간 만에 해제됐으나 MBC 측은 가요대제전을 비롯한 연말 시상식 진행과 관련하여 결정된 바가 없다고 밝히면서도[8] 예고편과 라인업을 공개하는 등 정상 개최될 예정이었다.
  • 방영 이틀 전인 2024년 12월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의 여파로 정부가 2025년 1월 4일까지 국가애도기간으로 선포하면서 사고 당일 방영 예정이었던 MBC 방송연예대상이 희생자 애도 차원에서 취소를 결정한 데 이어 다음 날인 2024년 12월 30일, MBC 연기대상처럼 생방송을 취소하고 녹화 방송으로 변경되었다.[9]
    • 이에 따라 〈'79 MBC 10대 가수 가요제〉[10], 〈'89 MBC 10대 가수 가요제〉[11]에 이어 3번째로 편성이 변경되고 35년 만에 녹화 방송으로 진행되는 MBC 연말 가요제가 되었다.
  • 2024년 12월 6일, 진행자가 공개되었다.[12]
  • 2025년 1월 9일, SPOTV1월 29일1월 30일에 걸쳐 편성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하자[18], MBC 측은 보도자료를 통해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19]
  • 2025년 1월 15일, 이전에 보도된 방송일이 확정되었다.[20]

8. 여담

  • 자사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결성된 아이돌 그룹들에게 꾸준히 방송 출연 기회를 제공해주는 MBC답게 2차 라인업에 〈방과후 설렘〉 데뷔조 CLASS:y, 〈소년판타지〉 데뷔조 FANTASY BOYS가 포함되었다. 다만 같은 MBC 오디션 프로그램인 〈팬픽〉 데뷔조 PICKUS는 6명 중 4명이 오디션에 참가한 상태이기 때문인지 유일하게 불참했다.[22] FANTASY BOYS는 방송 이전에 소울이 탈퇴하여 완전체로 출연했다.
  • 2024년 지상파 연말 가요제 중 유일하게 방송이 연기되었다.[23]
    • 〈'89 MBC 10대 가수 가요제〉와 새해 첫날로 방송이 연기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24]
    • 방송이 한 달 가까이 연기되면서 출연팀 중 일부가 그 사이 컴백하기도 했다. BOYNEXTDOOR는 디지털 싱글, IVEZEROBASEONE은 선공개 싱글을 발표해 음악 방송 활동까지 했고, (여자)아이들민니솔로 데뷔 음반을 발매했다. RIIZENCT WISH는 리메이크 싱글을 발매했다.
  • 결방 전에는 2019년에 이어 5년 만에 롯데월드타워신년 불꽃놀이 행사와 연계하여 현장 야외 공연과 신년 카운트다운 수중계 계획이 예정되어 있었다. 롯데 측도 신년맞이 행사를 전면 취소하고 국가애도기간인 2025년 1월 4일까지 추모의 의미로 타워 야간 조명을 흰색으로만 점등했다.
  • 최초로 이틀에 걸쳐 방송되는 MBC 연말 가요제다.
  • MBC 가요대제전은 다른 연말 가요제와 달리 노래 가사 자막을 송출하곤 하는데, KISS OF LIFE의 Igloo를 제외한 영어 곡들[27]의 가사가 표시되었다.

[1] 생방송이 진행될 예정이었던 시간대에는 특선영화 〈리바운드〉와 앙코르 특집 다큐 〈우리들의 투티〉가 순서대로 대체 편성되었다.[2] 녹화는 생방송이 진행될 예정이었던 12월 31일에 진행되었다.[3] 올해 쇼! 음악중심에서 두 차례 스페셜 진행자로 나선 바 있다.[4] [문화연예 플러스] 윤아, MBC 가요대제전 10년 여정 마침표[5] 예정대로 진행되었다면 새해 카운트다운 이후 첫 무대가 될 예정이었다.[6] 시청률 6.6%로 동시간대 1위를 기록했다.[7] 젤리지(지젤, 쥴리, 예지), 단짝즈(유나, 카리나, 설윤), 지구오락실 케미즈(이은지, 미미, 이영지, 안유진)[8] 비상계엄 해제에도…MBC 측 “‘연기·연예대상, 가요대제전’ 진행 관련 확인 중”[9] 'MBC 가요대제전' 생방송 취소…"녹화 방송, 애도 분위기 반영"[10] 당시 10월 27일에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하루 전에 발생한 10.26 사건의 여파로 12월 31일로 연기되었고 이후 이 날짜를 MBC 연말 가요제 개최일로 고정했다.[11] 제5공화국 청문회전두환의 국회증언이 심야까지 계속되자 당일 녹화 후 해를 넘겨 1월 1일에 방송되었다.[12] 임윤아·샤이니 민호·투어스 도훈, '2024 MBC 가요대제전' MC 확정![13] 에스파·뉴진스→데이식스·스키즈…'2024 MBC 가요대제전' 초호화 라인업[14] '2024 MBC 가요대제전' 전체 라인업 공개 "크래비티→엔믹스 추가"[15] [공식] 카리나x유나x설윤 '카유설', '가요대제전'서 뭉친다…글로벌 생중계도 확정[16] '가요대제전' 태민X엔하이픈 니키→NCT 마크X이영지, 워너비 조합 크로스![17] '지락실' 이은지·미미·이영지·안유진, '2024 MBC 가요대제전'서 특별 무대[18] [단독]MBC '가요대제전', 설 연휴 공개된다…29일·30일 2회 방송[19] MBC 가요대제전 설연휴 공개? “아직 편성 미정”[20] '2024 MBC 가요대제전' 설 연휴 편성…29·30일 방송 확정[21] 1월 30일은 편성 변경 없이 방송되었다.[22] 2차 라인업 공개 시점에서 유라&코타로&현승PROJECT 7, 남손Starlight Boys에 참가 중이었다.[23] KBS는 12월 14~15일 녹화 이후 19일에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을 방영, 가요대축제는 12월 20일에 생방송으로 진행, SBS는 12월 25일에 하반기 가요대전을 생방송으로 진행, 12월 26일 녹화 이후 28일에 트롯대전을 방영했다.[24] 1989년은 정치적 사건 때문에 양력 새해 첫날, 2024년은 인명사고 때문에 음력 새해 첫날로 연기되었다.[25] 유사한 사례로 2018년Wanna One이 있다.[26] MBC 측이 팬덤의 이런 상황을 배려했는지 프로미스나인 팬석을 무대 바로 앞으로 배정했다.[27] 이영지 - Small girl, 존박 - BLUFF, Beauty and the Beast[28] 다만 X에 유출된 큐시트(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에 따르면 소녀시대다시 만난 세계로 예정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 10년간 진행한 MC 윤아의 마지막 진행을 기념하기 위한 의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