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8 07:55:06

2022년 페루 시위

파일:페루 국기.svg 2022-23년 페루 사태
전국적 시위 발생, 여론 악화 친위 쿠데타 시도 아야쿠초 대학살 훌리아카 대학살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30><tablebgcolor=#030> 파일:생선뼈.png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인문적 요인 <colbgcolor=#ffffff,#1f2023>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 · 미국-중국 무역 전쟁 · 물류 대란 · 각국의 수출 규제('식량 보호주의' 확산) · 원자재 가격 인상 · 신냉전
자연적 요인 2022년 남아시아 폭염 · 2022년 서유럽 폭염 · 2021년 북아메리카 서부 폭염 · 2022년 아프리카 가뭄 · 2022년 파키스탄 폭우 사태 ·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 · 2021년 중국 허난성 폭우 사태 · 2021년 독일·베네룩스 폭우 사태 ·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 2020-2021년 대한민국 AI 유행 · 힌남노 · 2023년 1월 유럽 이상 고온 ·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국내 영향 식품 유통 관련 문제 · 윤석열 정부의 지지율 하락세 · 2022년 식용유 대란 · 소확행, 무지출 챌린지가성비 중심의 식품 유행(당당치킨) · 금리 상승에 따른 경제활동의 축소 · 외식물가 역대 최고치 경신(2022년 프랜차이즈 치킨 가격 논란) · 스마트팜 · 김장 가구 감소 · 탄소 중립 캠페인 · 2023년 난방비 대란
세계 영향 2022년 페루 시위 · 기준금리 상승세 및 '킹달러' · 엔저 현상 · 2022년 스리랑카 경제위기 · 프로틴플레이션 · 5월 이란 시위 · 9월 이란 시위 · 이라크 반정부 시위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대체 식품, 대체에너지 연구의 증가(GMO, 식용곤충, 신재생에너지)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 양극화 · 동아프리카 기근 위기 · 인플레이션 감축법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요르단 시위 · 애그플레이션 · 2022년 아이티 위기
}}}}}}}}} ||
2022년 페루 시위
2022 Peruvian protests
Protestas en Perú de 2022
파일:14414fab-c3d8-4fd6-b670-435b26ab1be1.jpg
날짜
(1차)2022년 3월 22일 ~ 4월 18일
(2차)2022년 12월 7일 ~ 현재
장소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전역
원인
LPG 가격 폭등, 정부의 잘못된 정책, 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등으로 인한 물가 상승
대치 세력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정부 페루 시위대
지휘관
페드로 카스티요
한니발 토레스
디나 볼루아르테
디에즈 빌레가스 포함 시위대
인명 피해
불명 시위대 26명 사망
100여명 부상

1. 개요2. 원인3. 경과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2022년 3월 22일부터 격화된 페루의 시위.

2. 원인

파일:페루 시위.webp
페루에서 일어난 시위
당시 페루 대통령이었던 페드로 카스티요의 경제 정책 대실패와 페루 내에서 증가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 및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와 이로 인한 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 등으로 인하여 LPG 가스와 식량 등의 소비자 물가가 26년만에 최상으로 치솟아 잘못된 정책 등의 시행으로 국민에게 피해를 준 페드로 대통령을 퇴임시키고 소비자 물가의 안정을 위해 일어났다. 또 시위가 거세지자 대통령의 리마와 인근 항구도시에 통행금지령[1] 등 평화를 되찾기 위해서라는 말과 달리 일부 무력으로 진압하면서 폭력이 심각해졌다.

3. 경과

6월 1일 기준으로 시민 8명이 정부군의 진압에 사망하였다. 시위대의 사망 소식에도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위는 커죴다. 수도 리마뿐만 아니라 페루 전역에 트럭 시위 등 대규모로 시위가 확산되었고 도심은 물론이고 간선도로 등에서도 시위했기 때문에 페루의 교통이 혼잡해졌다.

4월 1일 페루 후닌주에서 폭동이 일어나 인근 상점, 약국, ATM 기계에서 돈이나 물품을 갈취하는 사태가 일어났다. 4월 3일에는 우앙카요에서 시위가 거세졌다. 4월 4일 페루 전역 가게에서 디에즈 발레가스의 주도 하에 따라 파업이 촉발되었다. 쿠스코시에서는 4월 19일에는 모든 가게가 48시간 동안 전면 파업에 들어가기도 하였고 시위가 거세졌다. 그러자 쿠스코시로 가는 운행 열차가 운행을 중단하는 사건도 일어났다. 마추픽추를 보러 온 관광객들은 웬만하면 전부 쿠스코를 지나가는데 쿠스코가 막히니 꽤나 불편하였을 것이다. 4월 중순 전국 긴급계엄령이 발휘되었고 학교에도 휴교령이 떨어졌다.[2] 5월 3일경 라스밤바스 구리 광산에서 광부들의 시위가 벌어졌는데 이유는 광산 국유화나 세금 인상 논란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7월에서 9월 사이쯤에 몇 번 시위가 더 일어났으나 12월 7일에 본격적으로 다시 시작되었다. 이유는 페드로 카스티요 대통령의 부패 혐의 조사 및 민생 안정 실패, 친중 등의 행보 때문이었다. 결국 쿠데타 모의가 일어났고 이 사건을 계기로 페드로 카스티요 대통령이 체포되었으며 디나 볼루아르테가 대통령직을 수여받았다.

2023년 1월 9일, 훌리아카에서 경찰과 시위대가 충돌하는 과정에서 경찰이 시민들을 학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4. 관련 문서



[1] 페루 정부는 이날 하루 리마에 비상 사태를 선포하여 시위를 진압하려는 판단을 내렸다.[2] 다만 이는 시위를 더욱 거세지게 하였고 계엄령도 오래가지는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