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top: -8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fff,#1c1d1f>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202020,#DFDFD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 [[오스트리아| | [[노르웨이| | [[스위스| | [[대한민국| | [[이탈리아| | |
| 2012 인스브루크 | 2016 릴레함메르 | 2024 강원 | 2028 돌로미티-발텔리나 | ||
| 역대 하계청소년올림픽 | |||||
| Citius, Altius, Fortius! - Communiter 더 빠르게, 더 높게, 더 힘차게! - 다 함께 | }}}}}}}}} | ||||
| <colbgcolor=#fff><colcolor=#FF5F5F> 제1회 동계청소년올림픽 Die I. Olympische Jugend-Winterspiele I Winter Youth Olympic Games 2012 인스브루크 동계청소년올림픽 Olympische Jugend-Winterspiele 2012 2012 Winter Youth Olympics | |
| <nopad> | |
| 슬로건 | Be part of it (영어) Teil sein ist alles (독일어) |
| 대회 기간 | 2012년 1월 13일 ~ 1월 22일 |
| 개최지 | 인스브루크 |
| 참가 인원 | 63개국 1,059명 |
| 개회 선언 | 하인츠 피셔 오스트리아 대통령 |
| 주경기장 | 베르기젤 스키 점프대 (개회식) 마리아-테레사 스트리트 (폐회식) |
1. 개요
최초의 동계청소년올림픽이자 2010 싱가포르 하계청소년올림픽에 이은 두 번째 청소년올림픽. 오스트리아의 인스브루크에서 개최하게 되었다.당시 청소년올림픽은 대한민국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생소한 대회였으며 같은 해 2012 런던 올림픽이라는 국제 행사가 있었기에 관심이 저조한 대회였다.
2. 유치 과정
오스트리아의 인스브루크와 핀란드의 쿠오피오가 1:1로 유치 경쟁을 하게 되었다. 중국의 하얼빈시, 노르웨이의 릴레함메르도 유치 신청을 냈지만 최종적으로 인스브루크와 쿠오피오만 후보지로 선정되었다.| 1차 투표 결과 | 득표수 |
| 인스브루크 | 84표 |
| 쿠오피오 | 15표 |
| 무효 | 0표 |
인스브루크가 84표를 얻어 압승했다.
3. 메달 순위
2010 싱가포르 하계청소년올림픽처럼 공식적인 메달 집계는 하지 않는다. 이유는 싱가포르 하계올림픽 문서 참고.4. 이모저모
- 대회 로고의 황금색 사다리꼴 모양은 인스브루크의 명소인 황금지붕(Goldenes Dachl)을 형상화한 것이다.
- 2010 싱가포르 하계청소년올림픽처럼 사람들한테 관심이 없어서 당시 개최 10일 전에 와서야 문서가 추가되었다.
5. 메달 집계(비공식)
|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총합 |
| 1 | | 8 | 7 | 2 | 17 |
| 2 | | 7 | 4 | 4 | 15 |
| 3 | | 6 | 4 | 3 | 13 |
| 4 | | 6 | 3 | 2 | 11 |
| 5 | | 5 | 4 | 7 | 16 |
| 6 | | 4 | 1 | 2 | 7 |
| 7 | | 3 | 0 | 5 | 8 |
| 8 | | 2 | 5 | 9 | 16 |
| 9 | 노르웨이 | 2 | 5 | 2 | 9 |
| 10 | | 2 | 3 | 3 | 8 |
5.1. 대한민국의 메달리스트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
| 금메달 | 심석희 금 2 동 1 | 여자 500m |
| 금메달 | 여자 1000m | |
| 동메달 | 3000m 혼성 계주 | |
| 금메달 | 임효준 금 1 은 1 | 남자 1000m |
| 은메달 | 남자 500m | |
| 금메달 | 윤수민 금 1 은 1 | 남자 500m |
| 은메달 | 남자 1000m | |
| 금메달 | 박정현 금 1 | 3000m 혼성 계주 |
| 합계 | 금 4 은 2 [1] | |
| 스피드 스케이팅 | ||
| 금메달 | 장미 금 2 | 여자 500m |
| 금메달 | 여자 1500m | |
| 은메달 | 장수지 은 1 동 1 | 여자 매스스타트 |
| 동메달 | 여자 3000m | |
| 동메달 | 노혁준 동 1 | 남자 3000m |
| 합계 | 금 2 은 1 동 2 | |
[1] 다국적 혼성 계주는 메달에 미포함이며 포함 시 금 5개, 은 2개, 동 1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