杓 북두자루 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木,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미배정 | 2급 | ||||||
- | |||||||
일본어 음독 | シャク, ヒョウ | ||||||
일본어 훈독 | しゃく-う, ひしゃく | ||||||
- | |||||||
표준 중국어 | biā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杓는 '북두자루 표'라는 한자로, '북두칠성의 자루 부분'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는 U+675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DFI(木心戈)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과 음을 나타내는 勺(구기 작)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사람 이름에 '표'라는 글자가 들어가면 대부분 이 한자다. 특히 남양 홍씨 당홍계 34세손 항렬자가 '杓'기 때문에, 홍씨인 사람 중에서 이름이 杓로 끝나는 사람이 많다. 특히 정치인(볼드)이 매우 많다.- 권순표(權純杓)
- 손동표(孫東杓)
- 이영표(李榮杓)
- 정은표(鄭殷杓)
- 차인표(車仁杓)
- 홍건표(洪建杓)
- 홍광표(洪珖杓)
- 홍낙표(洪洛杓)
- 홍남표(洪南杓)
- 홍문표(洪文杓)
- 홍범표(洪範杓)
- 홍상표(洪相杓)
- 홍성표(洪晟杓)
- 홍영표(洪永杓)
- 홍용표(洪容杓)
- 홍익표(洪翼杓)
- 홍일표(洪日杓)
- 홍장표(洪章杓)
- 홍재표(洪再杓)
- 홍정표(洪正杓)
- 홍준표(洪準杓)
- 홍학표(洪學杓)
- 홍희표(洪熙杓)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3.7. 중국어
3.8. 기타
4. 이체자
- 𣏐[⿰木夕](U+233D0) - 오른쪽의 勺이 夕(저녁 석)으로 와전된 것이다.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䂆(창 격/혁)
- 𡖑[⿰多勺](구울 구)
- 虳(쥐 굴)
- 彴(별똥 박, 외나무다리 작)
- 𤿉[⿰皮勺](살갗터질 박)[1]
- 𠮭[⿰口勺](역정낼 박)
- 趵(차는소리 박)
- 畃(사귈 순)
- 約/𠣩[⿰束勺](맺을 약)
- 礿(봄제사 약)[2]
- 𩚈[⿰𩙿勺](줄일 약)
- 䋤(흰비단 약)
- 扚(곁매칠 작, 손금 약, 빨리칠 조, 끌어당길 적)
- 灼(불사를 작)
- 汋(샘솟을 작, 익힐 약)
- 酌(술부을/잔질할 작)
- 仢(외나무다리 작, 별똥 박)
- 𧘑[⿰衤勺](적삼 작)
- 妁(중매 작)
- 犳(표범 작)
- 圴(흙자국 작, 고를 균)
- 靮(고삐 적)
- 的/㢩(과녁 적)
- 𥐝[⿰石勺](던질/방아 적)
- 旳(밝을 적)
- 肑(배아랫살 적)
- 馰(별박이 적)
- 玓(빛날 적)
- 䵠(연지찍을 적)
- 𠤉[⿰㡭勺](끊을 절)[3]
- 㣿(근심할 조, 놀랄 작)
- 釣(낚을/낚시 조)
- 魡(낚을 조, 그물에걸리게할 적)
- 𢁕[⿰巾勺](비단띠 조)
- 訋(쥘 조)
- 枃(바디 진)
- 䄪(고개숙인모양 초)
- 𩾡[⿰鳥勺](너새 표)
- 䶂(짐승이름 표, 쥐이름 작)
- 豹(표범 표)
- 𣧀[⿰歹勺](클 홍)[4]
- 䪨(박)
- 𰄛[⿰刀勺]
- 𫧂[⿰告勺]
- 𠣳[⿰卓勺]
- 𭅌[⿰其勺]
- 𱐽[⿰曹勺]
- 𠣷[⿰口勺]
- 𪪊[⿰幺勺]
- 𭘅[⿰工勺]
- 𱚣[⿰少勺]
- 𭇕[⿰句勺]
- 𥩘[⿰立勺]
- 𪾠[⿰目勺]
- 𬏀[⿰田勺]
- 𦨓[⿰舟勺]
- 𰹋[⿰車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