響 울릴 향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音, 1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2획 | ||||
고등학교 | |||||||
響[1] | |||||||
일본어 음독 | キョウ | ||||||
일본어 훈독 | ひび-く, とよ-む | ||||||
响 | |||||||
표준 중국어 | xiǎ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響은 '울릴 향'이라는 한자로, '울리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울리다 |
음 | 향 | |
중국어 | 표준어 | xiǎng |
광동어 | hoeng2 | |
객가어 | hióng | |
민남어 | hiáng, hióng | |
오어 | shian2 | |
일본어 | 음독 | キョウ |
훈독 | ひび-く, とよ-む | |
베트남어 | hướng, hưởng |
유니코드에는 U+97FF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ㄒㄧㄤ로 입력한다. 창힐수입법으로는 VLYTA(女中卜廿日)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音(소리 음)과 소리를 나타내는 鄕(시골 향)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사실 한국에서의 響의 표기는 鄕부분이 鄉로 바뀐 것이 맞지만, 유니코드에서는 이 모양을 지원하지 않는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가류 쿄야(牙琉 響也)
- 나츠메 쿄헤이(夏目 響平)
- 박향림(朴響林)
- 사토 히비키(佐藤 響被)
- 야마무라 히비쿠(山村響)
- 오토나시 쿄코(音無 響子)
- 지로 쿄카(耳郎 響香)
- 카소다니 쿄코(幽谷 響子)
- 쿄우가이(響凱)
- 쿄토 카이(響渡 櫂)
- 쿠겐인 히비키(九弦院 響)
- 쿠치키 코우가(朽木 響河)
- 키리기리 쿄코(霧切 響子)
- 타치바나 히비키(立花 響)
- 테즈카 쿄헤이(手塚 響平)
- 호조 히비키(北条 響)
- 히고로모 히비키(緋衣 響)
- 히비키 세이고(響木 正剛)
3.4. 창작물
3.5. 기타
4. 이체자
𩐢 | 𩐿 | 㗽 |
5. 유의자
- 轟(울릴 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