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02:55:10

환세취호전 온라인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42947,#919194><tablebgcolor=#fff,#010101><tablecolor=#042947,#e0e0e0><nopad>
파일:넥슨 아이콘.svg 넥슨게임
||
{{{#!wiki style="margin: 0 -10px -3px; min-height: 26px; text-align:center; font-size:0.9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배틀로얄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7em"
파일:슈퍼바이브.jp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RPG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7em"
파일:IJKx25132105570.png 파일:블루 아카이브 앱 아이콘.png 파일:v4.webp 파일:Vi4C25142729223.png 파일:Bvaj25132321112.png 파일:HIT2.jpg
파일:바람의 나라 모바일 아이콘.jpg 파일:프라시아.jpg 파일:iczZ25143058078.png 파일:RHW725141318563.png 파일:kvpk10175613852.jpg 파일:PegT17074349233.png
파일:g2VZ25131640536.png 파일:0Ciz25132438260.png 파일:6ROO25133219743.png 파일:5jlh25134800509.png 파일:데이브 더 다이버 아이콘.jp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액션 RPG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7em"
파일:CfsK25114803469.png 파일:CYS715115226120.jpg파일:SMic01111946130.png 파일:Jqct27121535289.jpg 파일:진삼국무쌍M.png 파일:퍼스트 버서커 카잔.png
진·삼국무쌍 M
파일:zGMB25114934628.png 파일:tfd_icon.png
}}}}}}}}}
[ AOS/MOBA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6.6%><nopad>파일:otn225132906905.png ||<width=10000><-5><|2> ||
[ 슈팅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6.6%><nopad>파일:MfDx25133042023.png ||<width=16.6%><nopad>파일:PF9Z25141624118.png ||<width=16.6%><nopad>파일:THE FINALS Icon.png ||<width=10000><-2><|2> ||
[ 캐주얼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6.6%><nopad>파일:pshJ17170441562.png ||<width=16.6%><nopad>파일:nzo928144011728.png ||<width=16.6%><nopad>파일:카러플 앱 아이콘.png ||<width=16.6%><nopad>파일:maplestoryworlds.jpg ||<width=16.6%><nopad>파일:ㄴㅅㅌㅇ.jpg ||<width=16.6%><nopad>파일:Kartrider Drift icon.png ||
[ 스포츠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6.6%><nopad>파일:477r25113653533.png ||<width=16.6%><nopad>파일:icon WeKangin.webp ||<width=16.6%><nopad>파일:NUPf14211009783.png ||<width=10000><-3><|2> ||
[ PVP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6.6%><nopad>파일:fkUS21145238222.png ||<width=16.6%><nopad>파일:낙원(게임).png ||<width=10000><-3><|2> ||
[ 전략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6.6%><nopad>파일:고질라 디펜스 포스.webp ||<width=10000><-5><|2> ||
}}}종료 서비스 ||

파일:Supercat_CI_White_transparency.png
문서가 있는 SUPERCAT 출시 게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9em"
현재 서비스중인 게임
돌 키우기 · 펑크랜드 · 바람의나라: 연넥슨 유통
서비스 종료/개발 중단
로스트 건즈 · 포켓마피아 · 환세취호전 온라인넥슨 유통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20202,#010101>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app icon.png환세취호전 온라인
幻世酔虎伝
}}}
파일:FhCI1TXUUAYOmqi.jpg
<colbgcolor=#000000><colcolor=#cccccc> 개발 SUPERCAT
유통 넥슨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Android | iOS
ESD Nexon Launcher | Google Play | App Store
장르 캐주얼 RPG
출시일 CB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11월 21일[1] ~ 2024년 11월 24일[2]
개발 중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1월 7일
게임 엔진 유니티 엔진
심의 등급 미결정
관련 사이트 파일:넥슨 아이콘.svg파일:넥슨 아이콘 다크.svg 파일:넥슨 커뮤니티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등장인물4. 시스템
4.1. 캐릭터4.2. 능력치4.3. 기술4.4. 영입4.5. 수호령4.6. 콘텐츠4.7. 문파4.8. 월드맵4.9. 기타
5. 평가6. 기타 이야기거리7. 관련 이미지

[clearfix]

1. 개요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Logo.png



환세취호전의 메인으로, 환세 시리즈의 세계관 통합을 테마로 한 모바일 게임이다.

2. 역사

  • 2021년 7월 말, 한국의 게임 제작사 SUPERCAT이 환세취호전의 IP 계약을 따내어 모바일 게임으로 제작하겠다는 소식이 나왔다. #
  • 2022년 4월 11일 슈퍼캣 측은 넥슨과 환세취호전의 퍼블리싱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하며, MMORPG로 개발될 것이라고 밝혔다. #
  • PC와 안드로이드를 대상으로 11월 21일 오전 10시부터 24일 저녁 11시 59분까지 CBT가 진행되었다. #

3. 등장인물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Ataho.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Ataho report.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Linshan.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Linshan report.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Smash.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Smash report.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Peggy.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Peggy report.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Saline.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Saline report.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Kento.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Kento report.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White Tiger.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White Tiger report.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Doho.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Doho report.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Ron.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Ron report.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Ryu the first ryu leader.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Ryu the first ryu leader report.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Martin.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Character Martin report.png

4. 시스템

클로즈 베타 테스트만 하고 개발이 취소되는 바람에 시스템 중 문파는 제대로 나오지 못했으며, 스토리도 11장까지만 나오면서 12장부터 나올 예정인 일부 캐릭터는 나오지 못했다.

4.1. 캐릭터

팀을 편성해 플레이어블 캐릭터 한 명, 태그를 통해 교체할 수 있는 스트라이커 캐릭터 두 명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세 명으로 구성된 모험단은 모험단의 레벨에 따라 컨텐츠가 추가로 개방된다.

4.2. 능력치

캐릭터의 능력치는 단, 전투력, 공격력, 방어력, 기술력, 순발력, 운, 생명력, 레벨, 등급 등이 있다. 특히 캐릭터의 능력치에 따라 단이 결정되는데, 사냥터에 정해진 단보다 능력치가 약하면 페널티를 받는다.

캐릭터의 능력치를 올리는 종류는 8가지로 캐릭터의 등급, 레벨, 기술의 등급, 레벨, 장비의 강화, 제련, 단련의 각성, 단련 등이 있다.

4.3. 기술

기술은 기본 기술, 패시브 기술, 액티브 기술이 있고 기본 기술은 일반 공격으로 동일하며, 액티브 기술 중 전력 질주는 보유하지 않은 캐릭터(켄토, 도호)를 제외하면 공통 기술이다. 기술의 등급 순서에 따라 기본기, 필살기, 장기, 달인기, 신기 등으로 기본기를 제외하면 원작과 동일하다.
캐릭터 패시브 기술 액티브 기술
아타호 취호권 폭천축, 호격권, 맹호룬룬권, 취호염무, 비기 맹호광파참
린샹 수경 선렬각, 창룡파, 대폭진, 암각 영상뢰화, 암각 영상승룡파
스마슈 분신 대타격, 쾌진격, 백인일섬, 난도질, 비검 시공단
페기 매혹 윕 토네이도, 오호호호, 마음을 가져와, 로즈 스플래쉬, 여왕님이라 불러
세일린 응급 치료 올려치기, 진상 퇴치, 심장 충격, 링거봉 강타, 대청소
켄토 비룡의 눈 밀어차기, 압축권, 여의주, 비룡권, 천상비룡권
백호 위압 호령, 돌개바람, 견책, 질책, 용오름
도호 두광발산 쌍강권, 대지분쇄, 승강권, 두광분출, 최강의 일격
출혈 철조, 암각 광룡인, 암각 영상승룡각, 환영격
소이 귀갑 보호막 귀산고, 귀갑 폭편, 귀갑 폭문, 귀갑 기공참, 귀갑 원계박리
총통 암흑 투기 로킥, 장궁, 암각 화풍각, 암각구, 암각 승룡
최초류 대장 - -
마틴 - -
- -
커니 - -

4.4. 영입

시작시에는 기본 캐릭터가 아타호, 메인 스토리의 프롤로그에서 린샹, 스마슈가 추가되며, 스토리의 장 클리어마다 플레이할 수 있는 캐릭터가 개방되며, 아타호, 린샹, 스마슈를 제외한 나머지 캐릭터들은 각자 스토리가 있다.
  • 아타호 : 최초 시작
  • 린샹 : <프롤로그 불청객> 영입 콘텐츠 해금 린샹 영입 완료
  • 스마슈 : <프롤로그 불청객> 영입 콘텐츠 해금 스마슈 영입 완료
  • 페기 : <제2장 해변길의 소동> 해변길의 소동 완료
  • 세일린 : <제3장 사흉의 봉인> 산길의 난투극 완료
  • 켄토 : <제4장 비룡, 날아오르다> 요괴꽃의 진실 완료
  • 백호 : <제5장 폭호의 음모> 백호와의 만남 완료
  • 도호 : <제5장 폭호의 음모> 폭호의 진실 완료
  • 론 : <제6장 사흉권의 본거지> 암각권 도장으로 완료
  • 소이 : <제8장 과수원과 망령소동> 소란스러운 과수원 완료
  • 총통 : <제10장 우당탕탕 개발회사> 개발회사에 입사하기 완료
  • 마틴 : <제12장 심해 속으로> 시끄러운 바다 완료
  • 최초류 대장 : <제12장 심해 속으로> 시끄러운 바다 완료
  • 마틴 : <제12장 심해 속으로> 시끄러운 바다 완료
  • 린 : <제12장 심해 속으로> 시끄러운 바다 완료
  • 커니 : <제12장 심해 속으로> 시끄러운 바다 완료

4.5. 수호령

등급은 R, S, A, B, C으로 타입은 공격형, 방어형, 지원형, 능력치는 보유 효과, 동행 효과 등이 있다. 수호령을 동행하면 수호령에 따라 캐릭터에 효과가 적용되고 수호령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수호령 등급 타입
미르 A 공격형
암흑 미르 A 공격형
미르 A 공격형
불의 정령 C 공격형
물의 정령 C 공격형
대지의 정령 C 방어형
바람의 정령 C 지원형

4.6. 콘텐츠

  • 퀘스트
게임의 스토리에 해당하는 컨텐츠로 메인 퀘스트, 서브 퀘스트, 가이드 퀘스트가 있다.
  • 도전
캐릭터를 성장시키기 위한 재료를 얻는 개인용 던전이며, 수련장으로 기차 부수기, 장애물 달리기, 토벌 던전으로 요새 소라게, 폭주 돼지, 포도 슬라임, 스컬킹 등이 있다.
  • 협동
레이드인 대왕 원숭이, 폭호가 있고 레이드마다 보통, 어려움의 난이도가 있다.
  • 경쟁
필드 보스 무서운 돌사자, 미믹, 레드 드래곤, PvP인 천하제일 무투대회가 있다. 필드 보스는 여러 유저들이 필드 보스를 토벌하면 피해를 입은 기여도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는 것이며, 천하제일 무투대회는 유저들끼리 겨루는 PvP로 천하제일 대난투와 천하제일 토너먼트가 있다.

천하제일 대난투는 다대다 PvP. 신청자 중 100명을 무작위로 선발되어 서바이벌 방식으로 치러 최후의 1인이 되어야 우승할 수 있다. 천하제일 토너먼트는 일대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금지 캐릭터나 경기의 승패 예상에 대한 투표도 있다. 개최 전에 투표를 통해 금지 캐릭터를 설정할 수 있는데, 최다 투표수를 받은 캐릭터는 토너먼트에서 사용할 수 없다. 각 경기에 대한 승리 예상 투표를 16강부터 결승까지 진행해 예측에 성공한 투표 수에 따라 추가 보상을 얻을 수 있다.
  • 재미
먹기 대회, 마시기 대회, 동작 수련 등의 3종류의 미니게임과 원작 플레이가 있으며, 미니게임은 혼자 할 수도 있고 다른 모험가들과 대결해 순위에 따라 보상을 얻을 수 있다.

먹기 대회는 만두가 담긴 접시, 마시기 대회는 술이 담긴 잔을 마시는데 양이 많은 순서부터 적은 순서로 키보드를 연타하는 방식이며, 동작 훈련은 물통을 양옆에 짊어지고 균형을 잡아 장애물을 넘고 균형을 유지하며 앞으로 전진하는 것으로 진행 방식이 원작과 동일하다. 매일 18시부터 18시 30분까지 보상을 추가로 주는 집중 플레이 시간이 있다.

원작 플레이는 원작 환세취호전, 환세희담, 영입에 사이드 스토리가 없는 린샹 외전, 스마슈 외전 등이 있다.

4.7. 문파

계급은 문주, 정예 문원, 문원 등이 있다.
  • 문파대장전
금요일부터 일요일 20시부터 21시에 매칭을 통해 상대 문파와 대결하는 단체전 PvP. 최대 5대5로 가능하고 3판 2선승제로 진행된다. 문파장이 참가 신청을 할 수 있으며, 문파장의 초대에 응한 문파원들이 참가할 수 있다.
  • 토너먼트
문파원들끼리 서로 대전을 할 수 있는 친선 경기 Pvp. 문파장이 개최할 수 있고 거래소를 통해 구매한 아이템을 우승 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 문파 상점

4.8. 월드맵

  • 죽림
  • 해변길
  • 산길
  • 유적
  • 신의 산
  • 진호혈
  • 숨겨진 죽림
  • 마의 계곡
  • 호랑이 바위
  • 들판
  • 과수원
  • 공동묘지
  • 우르르 광산
  • 거대 정원
  • 구름도시

4.9. 기타

  • 업적
특정한 업적을 달성하면 금전을 받는 것으로 타 게임의 업적과 크게 다른 것은 없으며, 모험단, 캐릭터, 선착순 등이 있다. 모험단은 성장, 콘텐츠, 수집, 도전, 기타로 나뉘어 있으며, 선착순은 매일 주어진 미션을 빠르게 달성해 보상을 받는 것으로 100명 안에 들어야 받을 수 있다.
  • 스킨 소환
다른 MMORPG 온라인와 동일하게 스킨을 뽑는 가챠 시스템으로 CBT 기준으로는 R, S. A등급이다.
  • 체험하기
연습 도장에서 캐릭터 조작을 연습하는 것으로 캐릭터와 기술 등급을 변경해서 체험해볼 수 있다.
  • 제작
캐릭터가 착용하는 무기, 방어구, 팔찌, 투구, 목걸이 등의 장비, 캐릭터의 강화에 필요한 재료, 캐릭터가 특정 효과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화, 레이드에 입장할 수 있는 입장권 등 소모품을 제작할 수 있다.
  • 납품
특정 물건을 납품해서 잡화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납품 주화를 얻을 수 있다.
  • 도감
특정 장비를 등록하면 성장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비 도감, 몬스터를 잡는 특정 조건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몬스터 도감이 있으며, 몬스터 도감에는 도감 뿐만 아니라 능력치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격 연구, 방어 연구, 지원 연구 등이 있다.
  • 정화
정화 재료를 이용해 특정 지역을 정화하면 단계가 올라가는데 단계에 따라 능력치에 관련된 효과를 받는다.
  • 성능 교체, 장비 전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캐릭터끼리 서로의 레벨과 단련을 교환하는 성능 교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비 중에서 자신이 옮기고 싶은 다른 장비에 능력치를 옮길 수 있는 장비 전이가 있다.
  • 잡화점
캐릭터 레벨, 장비 강화, 소모품 등의 상품을 살 수 있다.

5. 평가

지스타 버전은 카피바라 고 같은 남녀노소 누구한테나 어필하려고 만드는 최신 양산형 게임들과 비교해보면 뭐가 문제인지 바로 알 수 있는데, 이 게임의 그래픽이나 컨셉 아트 자체는 꽤나 괜찮은데도 지저분한 UI와 스킬버튼에 파묻혀 원작의 게임성이든 넥슨 모바일 게임이든 어느 쪽의 장점도 없었다는 평이다. 매 시즌마다 IP만 바꿔놓은 양산형 게임을 만들어서 팔아먹는 중국회사들과 비교하더라도 그 방법과 감성이 너무 뒤처진 게임이라는 것이다. '환세취호전'이라는 IP가 낡은 것이 문제가 아니라, 이 게임을 기획하고 구현하는 '개발 방향성'이 낡아빠진 것이 문제라는 지적이다.

CBT부터 공개된 본편 스토리에서 재미있는 파트는 "환세취호전 2"가 출시되었다 라고 봐도 될 정도로 메인 스토리의 연출과 진행이 상당히 괜찮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환세취호전 스토리 파트는 재미있는데, MMORPG 파트가 끼어드는 순간부터 모든 장점이 사라진다. 게임을 직접해보지 않은 유저들이 유튜브 같은 일부 영상만 보면서 혐오감을 피력하는 지저분한 UI 문제, 최신 캐주얼 게임에서는 간소화 되어있지만 MMORPG에서는 아직도 써먹고 있는 무수한 쓰레기 아이템을 인벤토리에서 정리하는 과정을 반복하다보면 순식간에 몰입감이 깨질 정도로 대부분의 캐주얼 게임 발전 역사에서 도태된 낡은 양산형 시스템이 눈에 박히는 수준이다.[3]

21일부터 시작한 CBT 평가는 괜찮은 수준의 자동게임이다. 자동진행에 거부감이 없다면 쾌적한 게임 진행과 적절한 타격감을 보여주어 스토리 진행 단계에서는 괜찮은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최신 캐주얼 게임들과 비교해보면 유저들이 지겨워 하는 부분에 개발 자원을 낭비하는 낡은 MMORPG 방향성 자체는 부정하기가 힘든 편이다. 최신 캐주얼 게임처럼 재미있는 부분만을 압축하는 것이 아니라, 개발사의 전작 바람의 나라:연의 복제판처럼 현세대 플레이어들이 보기에는 캐주얼하지 않은 부분에 개발자원과 게임 유지비용을 많이 투자하는 게임이다.[4]

CBT 기준으로는 모든 캐릭터가 자동공격 밖에 하지 않으니, 그래픽의 차이를 빼면 개성이 없는 단 하나의 캐릭터만 여러명 등장하는 게임이다. 따라서 스킨팔이를 직업 성장으로 대체한 시스템, 리니지라이크의 변신팔이와 비교해보더라도 어떤 의미에선 원작 환세취호전에 해당 요소를 도입한 것은 발전이지만 실제로는 게임성 자체는 리니지라이크보다도 더 얕은 편이다.[5] CBT 버전 이후 정식 오픈까지 MMORRPG식 시간벌이용 컨텐츠 이외에는 게임으로 성립되기에는 아직 부실한 여러 가지 캐릭터들의 전략성 및 속성 특색이라던지, 중국제 양산형 게임들이 시즌마다 내놓는 게임들만큼 시류에 맞는 감성을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다만, 바람의 나라:연을 복제하여 아재들의 지갑을 터는 한탕주의 게임이라는 불신감 혹은 지적이 있어 CBT에서 나온 게임성이 의도한 기획이라고 봐야할 수 있는편.

결국 25년 1월 7일, 기사를 통해서 개발 취소 소식이 들려왔다. 결국 리니지라이크에 대한 팬층의 거부감에 대해서 해결책이 제시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개발사에서 개발중인 바람의 나라2도 있으니 여기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한다.

6. 기타 이야기거리

  • 이 게임이 개발 취소를 선언하며, 과거 Nintendo Switch 플랫폼으로 리메이크 대결 구도가 형성되었던 창세기전 시리즈 IP[6]의 모바일 게임이자 대규모 표절 시비에 휘말린 창세기전 3: 리버스가 다시 한 번 거하게 까이는 계기가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게임 문서 참고.

7. 관련 이미지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01.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02.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03.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04.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05.png
파일:Gensei Suikoden Online 06.pn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정확히는 오전 10시부터다.[2] 정확히는 24일 오후 11시 59분까지다.[3] 가방에 무게 시스템, 캐릭터에 따른 전용장비 없이 무기장비 단일화, 앞의 구조를 통해서 디아블로식 랜덤 파밍 사냥을 구현하려고 해놓은 등등 시간을 죽이기에는 좋은 구성이라서 자동사냥 게임을 좋아한다면 좋아할 수 있다. 하지만 환세취호전 스토리 모드와의 온도차이가 꽤나 심한 편. 캐릭터를 보는건 재미있는데 양산형 게임으로 돌입하는 순간 몰입감이 많이 깨지며 호불호가 갈린다.[4] 넥슨에서 두게임의 유저층이 같다고 분석했기 때문인듯하다. 하지만 넥슨의 클래식 MMORPG 게임(바람의 나라, 메이플 스토리 던전앤파이터 등등)을 하는 유저들이 학업과 직장생활을 병행하면서 다른 넥슨게임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이 하루중에 몇시간이나 될지를 계산해보면, 결국 규모가 작은 게임은 라이트유저들과 저연령층 등을 잡는 틈새 전략이 필요할수도 있다. 실제로 하루 30분씩만 하는 중국제 최신 양산형 캐주얼 게임들이 개발력이나 유지비가 훨씬 저렴하여 잘 망하지 않으면서도 매출은 모바일 MMORPG보다 딱히 밀리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이런 게임성은 과잉투자가 될 수도 있는 부분.[5] 다만 완전히 캐릭터 특색이 없는 것은 아니고 자동사냥으로 약점에 따른 캐릭터 교체가 존재해서 약점 속성마다 하나씩은 캐릭터를 육성해야할 필요가 있고, MMORPG 특색을 강조하느라 파티한테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종종 배치해두었다. MMORPG다운 게임성을 곁들이기 위해서 최근 캐릭터 수집 게임처럼 캐릭터 하나의 특성을 강조하는 전략은 약한 구조라고 볼수도 있다. 그러나 현재 게임의 메타와는 역행하는 성향에 가까운데, 레이드 컨텐츠를 하고 싶은 유저들이 있더라도 자신이 게임을 하는 시간에 다른 유저들이 모이지 않는 상황이라던지, 여러 가지 조건을 따져가면서 발전한 게임 메타에서 보면 여러 가지 캐릭터와 속성별로 특색이 밋밋한 편.[6] 동시기에 환세취호전+창세기전: 회색의 잔영으로 정면 대결이 벌어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