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12 11:49:10

홍순호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2e3192><tablebgcolor=#2e3192>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2e3192><tablebgcolor=#2e3192>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초대
강문봉
2대
최영희
3대
장도영
4대
최경록
5대
민기식
6대
장창국
7대
김용배
8대
박경원
9대
정래혁
10대
문형태
11대
한신
12대
채명신
13대
박원근
14대
이병형
15대
박희동
16대
김종수
17대
진종채
18대
차규헌
19대
이기백
20대
김홍한
21대
오자복
22대
이종구
23대
민경배
24대
이필섭
25대
김연각
26대
김진선
27대
박세환
28대
조성태
29대
김진호
30대
조영길
31대
김인종
32대
홍순호
33대
양우천
34대
권영기
35대
박영하
36대
조재토
37대
이철휘
38대
조정환
39대
김요환
40대
이순진
41대
박찬주
42대
박한기
43대
황인권
44대
김정수
45대
신희현
46대
고창준
명칭 변천: 제2군사령관(초대~35대) ▸ 제2작전사령관(35대~현재)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attachment/국방정보본부/DIA.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

{{{#!wiki style="margin: 0"
파일:Lieutenant General_white.png
||<tablewidth=100%><width=20%>
제21대

이계훈 ||<width=20%> ||<width=20%>
제23대

황원동 ||<width=20%> ||<width=20%> ||
제26대

김현집
제27대

조보근
제28대

김황록
제29대

김영환
제30대

이영철
제31대

장세준
※ 초대~현재: 중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24339c>
파일:수도군단 부대상징.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2e3192>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조문환
2대
문흥구
3대
차규헌
4대
박노영
5대
이광노
6대
최문규
7대
정진태
8대
임헌표
9대
정인균
10대
장석린
11대
박광영
12대
배문환
13대
김동신
14대
길형보
15대
김희상
16대
홍순호
17대
정수성
18대
이희원
19대
이성규
20대
박종달
21대
김기수
22대
임관빈
23대
김요환
24대
권태오
25대
이순진
26대
최병로
27대
김완태
28대
이창효
29대
최진규
30대
이정웅
31대
고창준
32대
박정택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F0067>
파일:육군 제51보병사단_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F0067>
대한민국 육군
제51보병사단장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제1대
조성욱
제2대
김기성
제3대
(미상)
제4대
임헌표
제5대
송응섭
제6대
김동신
제7대
전상배
제8대
홍순호
제9대
박준근
제10대
이희원
제11대
문영환
제12대
조영래
제13대
권용원
제14대
명충식
제15대
권태오
제16대
배봉원
제17대
장광현
제18대
김일수
제19대
황인권
제20대
김인건
제21대
손대권
제22대
류승민
}}}}}}}}}}}}}}} ||
<colbgcolor=#2e3192><colcolor=#ffffff>
제32대 제2야전군사령관
홍순호
Hong Soon-ho
파일:홍순호 육군.png
출생 1943년 5월 28일 ([age(1943-05-28)]세)
충청남도 아산군 음봉면 월랑리
학력 경복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철학 / 학사)
군사 경력
임관 학군사관 (4기)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66년 ~ 2003년
최종 계급 대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제2야전군사령관
주요 보직 서울대학교 학생군사교육단장
제51보병사단 제167보병연대장
제51보병사단장
수도군단장

1. 개요2. 주요 보직

[clearfix]

1. 개요

1943년 5월 28일 충청남도 아산시에서 태어났다.[1] 초등학교 4학년까지 다닌 후 상경하여 경복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 1966년 졸업하고 학군사관 4기로 소위 임관했다.[2] 직능은 정보.

38년에 이르는 군생활동안 서울대 출신답게 비상한 머리의 소유자라는 평판이 자자했지만 이상하게 빠른 진급과는 인연이 없었다. 온갖 보직을 다 경험하며 1990년 준장 진급, 1993년 소장 진급을 모두 막차에 아슬아슬하게 했고 1998년 중장 진급을 할 때도 무려 9차만에 진급을 했다. 하지만 2001년에 결국 대장 자리에 올랐으니 비록 잠시 늦더라도 바른(?)길을 간, 대기만성의 표본이라 할 수 있겠다.

학군사관, 육군3사관학교, 학사장교 등 비육사 출신 장교의 경우, 같은 해에 임관한 육군사관학교 출신보다 진급이 늦는 경우가 많다. 사실 진급한다는 보장만 있으면 빠른 진급보단 막차까지 버티는게 좋다. 빨리 진급하면 그만큼 빨리 퇴역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늦게까지 버티다가 막차에 진급하면 그만큼 월급을 더 받을 수 있고 연금도 늘어난다. 비육사출신은 한직을 맡아서 조금 돌아가더라도 괜찮지만 육사는 진급 경쟁에서 계속 밀리고 메이커 사단, 요직 등의 자력이 없으면 향후의 커리어가 어둡다.[3] 이는 학군사관, 육군3사관학교, 학사장교 등 비육사 출신 장교의 경우, 같은 해에 임관한 육군사관학교 출신보다 한직에 관대한 군 인사정책 덕분에 가능한 것이었다. 만약, 육군사관학교 출신이 이런 식의 진급을 한다면 중령 ~ 대령 언저리에서 제대하게 된다.

다만 홍순호는 운이 엄청나게 좋았다. 홍순호가 중장에 진급하기 직전까지 김영삼 정부였는데 김영삼하나회 똥물을 빼기 위해서 육사 출신을 의도적으로 냉대했으며[4] 사조직은 적발 즉시 군대에서 내보내 버렸는데 홍순호의 경우는 그 틈새를 이용해 막차로나마 진급이 되긴 되었던 것이다. 한 마디로 시대를 꽤 잘 타고난 셈이다. 물론 2020년대 이후 대한민국 국군은 정리할 건 대부분 정리가 된 상황이라 사조직이나 구타 가혹행위가 발생하면 얄짤없이 군대 밖으로 내쫓는 구조가 정착되었으므로[5] 같은 계급에 이렇게 오래 남아있고도 진급할 일은 없게 되었다.

서울대 ROTC 출신 첫 장군[6], 첫 서울대 학군단장, 첫 사단장, 첫 군단장, 첫 야전군사령관의 진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정책분야에서 오랫동안 근무하여 군내에서 정책통으로 꼽힌다.

166cm의 단신[7]이지만 두뇌 회전이 빠르고 순간 판단력이 돋보이며 기획력이 뛰어나다고 한다. 매사를 꼼꼼하고 완벽하게 처리하는 일솜씨로 정평이 나있다.

가족으로는 부인 조영순 여사와 세 아들이 있다.

2. 주요 보직



[1] 당시 행정구역 상으로는 아산군 음봉면 월랑리.[2] 길형보, 지만원 등 육사 22기와 같은 해에 임관한 기수다.[3] 실제로도 윤의철은 어떻게든 1초라도 빨리 진급하려고 부하들을 갈아 마시다가 결국 중장에서 사실상 진급이 막혔는데 이런 윤의철에 비하면 엄청 훌륭하게 군복무를 한 셈이다.[4] 그래서 전두환 정부 이래 유일하게 육군특수전사령관 출신 대장이 없는 정부가 김영삼 정부였던 것이다. 당시 특전사 수뇌부가 아주 하나회로 떡칠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김영삼 대통령은 이 ""을 다 걷어내느라 특전사 역시 냉대했던 것이다.[5] 가혹행위로 인해 군대 밖으로 쫓겨난 장성이 생겨날 정도로 2020년대 군 장성 인사는 부하 관리 문제에도 매우 엄격해졌다.[6] 사관학교 졸업 후 서울대 위탁교육 과정을 거친 장성들은 많았지만 서울대에 입학해서 4년을 마친 케이스는 처음이다.[7] 대한민국 국군 남자 장교로서는 거의 최단신 수준이다.[8] 서울대학교 출신 최초의 사단장[9]제2작전사령부[10] 학군단 출신 3번째 대장 진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