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990033> |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여자 국가대표팀 |
{{{#990033,#ff6699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괌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 | | | |
동티모르 | 라오스 | 레바논 | 마카오 | |
| | | |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
| | | |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
| | | | |
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
| | | |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
| | | |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인도 | |
| | | | |
인도네시아 | 일본 | 중국 | 카타르 | |
| | | |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 | | |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
| | | ||
필리핀 | 호주 | 홍콩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호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Australia women's national association football team | |
<colbgcolor=#ffbb00><colcolor=#002000> 정식 명칭 | Australia women's national association football team[1] |
FIFA 코드 | AUS |
협회 | 호주 축구 연맹 (FFA) |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지역 연맹 | 아세안 축구 연맹 (AFF) |
감독 |
조 몬테뮈로 (Joe Montemurro) |
주장 | [[주장#s-1| C ]] 서맨사 커 (Samantha Kerr) |
최다 출전자 | 셰릴 솔즈베리 (Cheryl Salisbury, 151경기) |
최다 득점자 | 서맨사 커 (Samantha Kerr, 64점) |
첫 국제 경기 출전 | 對 뉴질랜드 (2:2 무), 호주 시드니 (1979년 10월 6일) |
최다 점수 차 승리 | 對 미국령 사모아 (21:0 승), 뉴질랜드 오클랜드 (1998년 10월 9일) |
최다 점수 차 패배 | 對 미국 (1:9 패), 미국 앰블러 (1997년 6월 5일) |
별칭 | Matildas (마틸다) |
월드컵 | 출전 8회, 4위 1회 (2023) |
여자 아시안컵 | 출전 6회, |
OFC WNC | 출전 7회, |
올림픽 | 출전 4회, 4위 1회 |
FIFA 랭킹 | 15위 (2025년 8월 7일 기준 #) |
유니폼 색상 | 홈 | 원정 |
상의 | ||
하의 | 11 | <colbgcolor=#00d1d1> 20 |
양말 |
1. 개요
호주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원래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 소속이었으나, 2006년 말에 아시아 축구 연맹(AFC)으로 이적한 뒤 남자 대표팀과 함께 여자 대표팀도 아시아 대열에 합류했다. 단, AFC 이적 이전에 1975 AFC 여자 챔피언십에 뉴질랜드와 함께 출전한 적은 있다.OFC 소속일 때부터 오세아니아 강호로 꼽혀 왔고 AFC로 이적한 뒤에도 아시아 축구 연맹 회원국 사이에서 강호로 손꼽힌다. 현재 A리그 위민이 WK리그처럼 하위 리그가 없고 참가 구단이 9개인 것에 비하면 실력은 준수한 편이다.
대한민국과의 전적은 21전 13승 4무 4패로 우세. 가장 최근 경기는 2022년 1월 30일 저녁에 열린 2022 여자 아시안컵 8강전인데, 후반 86분 대한민국의 지소연이 골을 넣었고 이 골이 결승골이 되면서 0-1로 패배했다.
2.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bc00><tablecolor=#373a3c><tablebgcolor=#ffbc00> | 호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003e42,#bdfb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 1979년 ~ 현재 | ||||
초대 셀비 | 2대 태그 | 3대 셀비 | 4대 로빈스 | 5대 도일 | |
6대 다비 | 7대 리드 | 8대 세르마니 | 9대 브라운 | 10대 탄지 | |
11대 산트랙 | 12대 세르마니 | 13대 데루이스 | 14대 스타이칙 | 15대 밀러치치 | |
16대 구스타브손 | 17대 세르마니 | 18대 몬테뮈로 | |||
}}}}}}}}}}}}}}} |
3. 역대 성적
3.1. FIFA 여자 월드컵
- 출전 횟수: 8회 (1995년 첫 출전)
- 최고 성적: 4위 (2023년)
- ④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본선 진출 실패 | |||||||||
| 조별리그 | 12위 | 0 | 3 | 0 | 0 | 3 | 3 | 13 | |
| 조별리그 | 11위 | 1 | 3 | 0 | 1 | 2 | 3 | 7 | |
| 조별리그 | 13위 | 1 | 3 | 0 | 1 | 2 | 3 | 5 | |
| 8강 | 6위 | 5 | 4 | 1 | 2 | 1 | 9 | 7 | |
| 8강 | 8위 | 6 | 4 | 2 | 0 | 2 | 6 | 7 | |
| 8강 | 7위 | 7 | 5 | 2 | 1 | 2 | 5 | 5 | |
| 16강 | 9위 | 7 | 4 | 2 | 1 | 1 | 9 | 6 | |
| 4강 | 4위 | 10 | 7 | 3 | 1 | 3 | 10 | 8 | |
| ||||||||||
합계 | 본선진출 8회 / 4위 1회 | 37 | 33 | 10 | 7 | 16 | 48 | 58 |
3.2. OFC 여자 네이션스컵
- 출전 횟수: 7회 (1983년 첫 출전, 2003년 마지막 출전)
- 최고 성적: 우승 3회 (1995년, 1998년, 2003년)
- ①①①②②②③
- 1983년: 준우승
- 1986년: 준우승
- 1989년: 3위
- 1991년: 준우승
- 1995년: 우승
- 1998년: 우승
- 2003년: 우승
3.3. AFC 여자 아시안컵
- 출전 횟수: 6회 (1975년 OFC 회원국으로 첫 출전, 2006년 AFC 회원국으로 첫 출전)
- 최고 성적: 우승 1회 (2010년)
- ①②②②③③④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3위 | 4 | 4 | 2 | 0 | 2 | 12 | 6 | |
| AFC 비회원국 | ||||||||
| 3위 | 4 | 6 | 2 | 0 | 4 | 4 | 10 | |
| AFC 비회원국 | ||||||||
| |||||||||
| |||||||||
| |||||||||
| |||||||||
| |||||||||
| |||||||||
| |||||||||
| |||||||||
| |||||||||
| |||||||||
| 준우승 | 2위 | 14 | 6 | 4 | 2 | 0 | 15 | 2 |
| 4위 | 6 | 5 | 2 | 0 | 3 | 7 | 9 | |
| 우승 | 1위 | 12 | 5 | 4 | 0 | 1 | 7 | 3 |
| 준우승 | 2위 | 10 | 5 | 3 | 1 | 1 | 9 | 5 |
| 준우승 | 2위 | 6 | 5 | 1 | 3 | 1 | 11 | 4 |
| 8강[4] | 5위 | 9 | 4 | 3 | 0 | 1 | 24 | 2 |
| |||||||||
합계 | 본선진출 8회 / 우승 1회 | 65 | 40 | 21 | 6 | 13 | 89 | 41 |
3.4. 올림픽
- 1996년: 진출 실패
- 2000년: 조별리그 7위
- 2004년: 8강 5위
- 2008년~2012년: 진출 실패
- 2016년: 8강 7위
- 2020년: 4위
- 2024년: 조별리그 9위
4. 청소년 국가대표
유독 청소년 축구만 오면 너프가 된다. OFC 소속이던 2006년까지는 FIFA 주관 청소년 대회에 매번 참가했으나 AFC로 옮긴 이후로는 청소년 대회에 참가를 하지 못하고 있다.4.1. FIFA U-20 여자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8강 | 5위 | 4 | 4 | 1 | 1 | 2 | 8 | 9 |
| 8강 | 7위 | 3 | 4 | 1 | 0 | 3 | 6 | 8 |
| 조별리그 | 9위 | 4 | 3 | 1 | 1 | 1 | 4 | 3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조별리그 | 12위 | 3 | 3 | 1 | 0 | 2 | 3 | 6 |
합계 | 본선진출 4회 / 8강 2회[5] | 14 | 14 | 4 | 2 | 8 | 21 | 26 |
4.2. FIFA U-17 여자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5. 관련 문서
[1] 영어: 오스트레일리아 위민스 내셔널 어소시에이션 풋볼 팀[2] 초청국 자격으로 출전[3] 초청국 자격으로 출전[4] 한국에 0:1 패배[5] 최고순위 5위(2002 캐나다)
분류
- 호주의 축구
- 호주의 여자 스포츠 국가대표팀
- 아시아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1995 FIFA 여자 월드컵 스웨덴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1999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03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07 FIFA 여자 월드컵 중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11 FIFA 여자 월드컵 독일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