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13:12:04

플래닛맨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록맨 에그제 시리즈의 넷 내비 플래닛맨}}}에 대한 내용은 [[플래닛맨.EXE]]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플래닛맨.EXE#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플래닛맨.EXE#|]]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록맨 에그제 시리즈의 넷 내비 플래닛맨: }}}[[플래닛맨.EXE]]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플래닛맨.EXE#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플래닛맨.EXE#|]]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악마초인 세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0px;"
정신적 근원 대마왕 사탄
수장 악마초인 최후의 자객
악마장군

(골드맨)
악마 6기사 지옥 순례 No.1
악어 지옥

스니게이터
지옥 순례 No.2
우주 지옥

플래닛맨
지옥 순례 No.3
피바다 지옥

정크맨
지옥 순례 No.4
초열 지옥

더 닌자
지옥 순례 No.5
아수라 지옥

아수라맨
지옥 순례 No.6
모래 지옥

선샤인
7인의 악마초인 스테카세킹 블랙홀 스프링맨 아틀란티스 미스터 카멘 더 마운틴 버팔로맨
d.M.p 선샤인 스카페이스
나이트메어즈
렉스 킹 체크 메이트
데몬시드 데몬시드 No.1
더 콘스텔레이션
데몬시드 No.2
게퍼랜드
데몬시드 No.3
멜트다운
데몬시드 No.4
더 타투맨
데몬시드 No.5
볼트맨
데몬시드 No.6
아수라맨
그 외 삼손 티처 포동포동맨 팬더맨
}}}}}}}}} ||

프로필
파일:b88b97fa-5659-3b7e-bd13-62c7e732be22(수정).png[1]
플래닛맨
プラネットマン|Planetman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b1313,#000000> 상세 프로필
이름 플래닛맨 (プラネットマン / Planetman)
이명 지옥 순례 No.2 우주 지옥
소속 악마초인(악마 6기사)
출신 남극점(혹은 벌컨 행성)
나이 26세
신장 252cm
체중 420kg
초인강도 500만 파워
개인 타이틀 리얼 태양계 J 헤비급 챔피언
필살기 플래닛 링
링 스톤
플래닛 중력
영하 피겨 포 넥락
초인 공차기
마기 행성작렬
마기 그랜드크로스
아폴로 다이나마이트
마기 안면 플래닛
우주지옥
올림포스 볼케이노
웃음소리 카카캇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타나카 히데유키
근육맨

〈완벽초인시조 편〉
}}}}}}}}} ||
1. 소개2. 작중 행적3. 파이팅 스타일4. 주요 기술5. 전적6. 여담7. 테마곡


1. 소개

근육맨의 등장인물. 지옥 순례 No.2 우주 지옥의 수문장이며, 태양계를 지배하는 암흑의 힘을 가진 우주 지옥이란 말에 어울리게 태양계의 행성을 본 뜬 육체가 특징이다. 신에게서 태양계의 11개의 행성[2]을 빼앗았다고 선언하며, 그 혹성을 상징하는 부분은 그 혹성의 특징에 따른 기술이 존재한다. 악마장군의 몸을 이룰 경우 악마장군의 스피드를 담당하고 있다고 한다.

2. 작중 행적

2.1. 근육맨

2.1.1. 근육맨/황금 마스크 편

파일:플래닛맨 지구.png

황금 마스크 편의 우정의 삭발식!의 권에서 첫 등장. 악마 6기사의 두번째 자객으로 근육맨과 대결.

처음엔 머리 부분이 지구로 되어있었으나, 사실은 지구처럼 생긴 오버 마스크를 쓰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고[3] 머리 부분의 진짜 정체는 태양계의 숨겨진 행성 벌컨이었다.[4]

정체가 밝혀진 뒤엔 지구만 차지하면 태양계를 완전 정복할 수 있다며, 이미 지배하고 있는 행성처럼 지구도 차지하기 위해서 근육맨을 해치우겠다고 선언한다. 다채로운 기술로 근육맨을 괴롭히고 근육맨에 지구를 투영시켜서 지구가 된 근육맨의 몸에 있는 특정 국가를 공격하자 그 국가를 대표하는 초인이 사망하는 등 정의초인 측을 거의 궤멸시켰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5] 최후엔 마기 안면 플래닛을 사용해서 테리맨, 워즈맨, 브로켄 Jr, 캐나디언맨[6], 비빔바[7], 근육 마유미, 근육 사유리를 자신의 행성마다 투영, 인질로 잡는 비겁한 싸움을 보였고, 이 과정에서 행성이 근육맨의 주먹에 맞으면 행성에 투영된 초인들의 심장이 꿰뚫어지고 자신의 얼굴엔 황금 마스크를 써서 마스크를 인질로 삼자 근육맨은 플래닛맨을 공격하길 주저한다.

하지만 심장 부분에 있던 워즈맨이 자신을 희생하며[8] 플래닛맨의 심장과 같이 자신을 공격하게 유도했고, 데미지를 입은 플래닛맨은 궁지에 몰려 도박으로 플래닛 링으로 공격하지만, 근육맨이 플래닛맨의 등 뒤로 돌아 들어왔고 유도 기능을 가진 플래닛 링이 자신에게 명중. 근육맨을 노리고 던진 공격에 자기 자신이 참수된다. 이때 죽은 게 분명했지만 근육맨은 목 잘려나가고 몸통만 남은 플래닛맨을 안아서 링 한가운데 난 구멍으로 패대기. 플래닛맨의 시신이 추락하면서 근육맨의 완전한 승리로 끝난다.[9][10]

모든 행성의 특색을 살린 기술을 자랑하는 플래닛맨의 기술은 사실 상당수가 담당자의 우주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해당 화를 그리는 순간마다 즉흥적으로 나온 아이디어들이라 유데타마고가 이 과정을 힘들어한 것에 비해 인기를 끌지 못해서 마기 안면 플래닛으로 임팩트만 주고 다음 경기로 빨리 넘어가려고 했다고 한다. 갖가지 기술들로 근육맨을 농락하였으며 그 덕에 상당히 재미있는 초인이었으나, 인기에 의해 희생된 불쌍한 초인. 그래도 악마 6기사 중 근육맨의 첫 상대였던 스니게이터처럼 근육맨을 문자 그대로 개고생시켰던 강자임에는 틀림없다.

2.2. 신 근육맨

2.2.1. 근육맨/완벽초인시조 편

파일:플래닛맨.png

신 근육맨에서는 악마장군의 명으로 초인묘지를 습격. 외형이 구작과는 조금 달라졌다. 정크맨에게 완벽 5식 페인맨을 맡기고 다른 퍼펙트 오리진을 상대하러 간다. 이후 출연이 없다가 정체를 드러낸 완벽십식(Perfect Tenth) 사이코맨 뒤에서 등장.

초인묘지에서 사이코맨의 방에 도착하여[11] 아령은 발견하지 못하였지만 수상한 시공의 일그러짐을 발견. 그것을 통과하니 스페인이었다고 한다.[12] 이후 사이코맨과 대결.[13] 대결이 시작된 이후로는 링 스톤을 비롯한 많은 기술을 선보이며 사이코맨의 기술을 전부 흘려보내 일방적인 우위를 점하여 다채로운 기술의 소유주인 사이코맨으로부터 칭찬을 들었으나, 사이코맨의 이그니션 드레스의 목 부분을 잡아채 영 피겨 포 넥 락으로 반격해 얼어붙게 만들고 니드롭으로 끝장 내려던 순간 사이코맨의 악력을 조심하라는 버팔로맨의 충고를 무시하고 공격을 가하는 바람에 얼어붙은 상태에서 주먹만 나온 사이코맨에게 무릎을 붙잡혀 오른발을 꺾이고 만다.

이후 얼어붙은 상태에서 스피어 드레스를 사용하는 사이코맨에게 전신의 혹성부가 당하고 초크슬램을 먹으려던 찰나 사이코맨을 우주지옥으로 끌어들여 공격을 무효화시키고 마기 그랜드 크로스로 사이코맨에게 반격하나, 2타 째의 그랜드 크로스를 사용하려던 차에 같은 기술은 자신에게 두 번 통하지 않는다며 마그넷 파워로 튕겨나가 공격이 무효화당한다.

결국 최후의 수단으로 마기 안면 플래닛을 사용하여 사망한 완벽 무량대수군 8명[14]을 투영하지만, 퍼펙트 오리진인 사이코맨이 하위집단인 무량대수군한테 우정 같은 감정을 품었을 리가 없으니 결국 완벽초인들과 함께 몸의 행성들이 하나하나 파괴되고 만다.[15] 폴라맨도 무량대수군은 무도와 그림 리퍼(사이코맨)이 만든 조직이었다는 말을 남기고 파괴, 마지막 남은 터보맨이 자신들의 영혼을 모두 모았냐고 묻자 플래닛맨은 죽은 녀석들은 전부 모았으며, 이 기술이 실패할 리는 없다고 말하지만, 터보맨은 하나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그리고 지금 상황에서 유추해낸 무도의 정체에 대해 말하려던 터보맨은 결국 사이코맨의 거악의 장에 사망하고, 플래닛맨도 본인도 팬텀 캐논에 당해 온몸이 산산조각나고 허탈하게 웃다가 머리도 소멸하여 사망. 악마 6기사 중 누가 퍼펙트 오리진을 상대로 가장 선전했는지는 몰라도, 누구의 싸움이 최악의 졸전이었는지를 꼽는다면 고민할 것도 없이 플래닛맨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참패했다.[16][17]

3. 파이팅 스타일

악마초인들 중 가장 많은 필살기를 보유하고 있다. 악마장군의 기술 부분을 담당하는 건 더 닌자가 아니라 플래닛맨 같아 보일 정도. 반대로 스피드를 담당으로는 플래닛맨보다 닌자가 더 어울려 보인다.[18] 온몸을 이루는 태양계의 다양한 행성들을 사용하며, 각 부위 별로 기술이 하나씩은 존재한다.

가장 압권인 기술은 우주 지옥으로, 레슬링을 하면서 링을 없애버리면서 사실상 상대방을 그냥 무력화시켜버리는 무시무시한 기술이다.

다만 이런 다양한 기믹들에 의존하는 탓인지, 플래닛맨 본인의 테크닉은 크게 눈여겨 볼 점이 없으며 기믹이 깨지면 그대로 패배해버리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4. 주요 기술

  • 플래닛 링
    파일:planetring-full.jpg
    허리에 장착 된 토성의 고리를 부메랑처럼 던져서 공격하며 유도 기능이 있다. 일명 '기원참'(気円斬). 근육맨과의 경기에서는 헬 더 플래닛 링이라는 상위 기술을 보여주지만 특별한 차이점은 알 수 없다. 애니메이션에서 발광하는 연출이 추가되었다.
    • 주피터 링
      파일:Jupiterring-full.jpg
      흉부의 목성의 고리로 플래닛 링을 사용하는 기술.[19]
    • 링 스톤
      파일:ringstone-full.jpg
      허리에 있는 플래닛 링을 입으로 깨물어 부수고 상대에게 무수한 파편[20]을 내뿜는다. 그 위력은 근육맨이 숨은 관람차를 관통할 정도로 강력하다. 입으로 내뱉는 기술이다 보니 사이코맨은 더럽다고 깠다.
  • 플래닛 중력
    몸통의 목성의 능력으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의 중력을 이용해서 상대를 끌어 당긴다. 보통 수플렉스 계통 기술로 연계하곤 한다.
  • 영하 피겨 포 넥 락
    파일:hyoutenkayonnogi-full.jpg
    기존의 프로레슬링 기술인 피겨 포 넥 락에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극한의 행성 해왕성과 명왕성의 능력으로 상대를 얼어 붙게 만드는 기술. 명왕성이 행성후보에서 탈락함으로써 이 기술은 이제 못 보는 거냐는 팬들의 우려가 있었으나 신 근육맨에서 당당히 등장. 애초에 작중 배경은 여전히 80년대고 행성 중 태양하고 달이 있는 것부터 별 의미는 없을듯.
    • 프로즌 크래셔
      파일:flozencrasher-full.jpg
      영하 피겨 포 넥 락으로 얼어붙은 상대를 니드롭으로 산산 조각내는 기술. 일단 이 기술에 당하면 유리세공 조각이 깨지듯 상대를 끔살시킬 수 있다지만 단 한번도 성공한 적은 없다(...)[21]
  • 초인 공차기(닷지볼)
    상대방을 공중으로 연속으로 차면서 공처럼 만드는 기술. 이후 상대를 공중으로 높게 걷어차고 후술할 마기 행성직렬로 마무리를 가한다. 애니메이션 및 원작에선 화려한 발놀림으로 빠르게 상대를 걷어차지만 게임판에선 간결하고 짧게 3~4번 정도 위로 연이어 높게 차는 식이다.
버팔로맨과 스프링맨의 태그기 중에도 초인 닷지볼이라는 기술이 존재한다.
  • 마기(악마의 기술) 행성직렬
    파일:planetsinseries-full.jpg
    플래닛맨의 몸을 이루는 행성이 직렬로 배열되어서 상대방을 찌르는 공격. 관통력을 높이면 상대를 꿰뚫어버리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대를 꿰뚫은 적은 없다.
  • 마기 그랜드 크로스
    파일:grandcross-full.jpg
    플래닛맨의 몸을 이루는 행성이 그랜드 크로스와 같이 십자 모양으로 배열되어서 상대를 공중으로 띄운 뒤 바디 슬램으로 낙하하는 기술. 게임판에선 십자 모양으로 적을 띄우는 것까진 동일하나 이후 상대를 잡아서 바닥으로 던지는 걸로 묘사되며, 신 근육맨에선 십자 모양 자체로 상대에게 바디 프레스를 날리는 걸로 묘사된다.
  • 아폴로 다이나마이트(太陽爆彈)
    파일:apollodynamite-full.jpg
    태양과 같은 거대한 불덩어리를 상대에게 던지는 기술. 황금 마스크 편에서 일시적이나마 근육맨의 동료들과 가족들까지 모조리 죽여버린 것에 근육맨이 내 소중한 것들을 전부 빼앗아간 너를 절대 용서할 수 없다며 분노하자 금방 가족들과 동료들 곁으로 보내주겠다며 자신만만하게 시전했으나 우정 파워 전개+일본이 화산국이라 일본을 대표하는 근육맨에게 불 기술이 통하지 않음을 미처 몰랐던 플래닛맨의 실책으로 도리어 반격당했다.
  • 마기 안면 플래닛
    파일:magijinmenplanet-full.jpg
    죽은 초인의 얼굴을 플래닛맨의 각 행성 부위에 투영. 해당 부분이 데미지를 입으면 투영된 초인도 데미지를 입는 기술이다. 대적하는 입장에선 동료가 방패가 되는 셈. 다만 해당 부분의 데미지를 막을 수는 없으며, 고로 동료 초인의 부상을 감수하고 공격하면 상관없다는 당연하다시피 한 약점이 있다. 작자의 의도로는 당시 진행을 빨리 끝내고 전개에 큰 충격을 주기 위해서 만든 기술이었지만, 실상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는 플래닛맨의 이미지를 깎아먹고 독자들의 기억에 이 기술만 남게 만들었다(...) 데빌맨에 나오는 진멘의 오마주인 듯.

    플래닛맨의 상징적인 기술이지만, 안 그래도 인기가 없었던 플래닛맨의 인기가 하락하는 데 기여한 기술이기도 하다. 초대에서도 신 근육맨에서도 이거만 썼다 하면 바로 패배하는[22] 기묘한 현상(...)을 보였다. 마기 사망 플래닛
  • 우주지옥
    일시적으로 우주 공간을 만들어내는 기술. 무중력 상태이기 때문에 착지할 곳이 필요한 버스터 계열 기술이나 버팀대가 필요한 관절기를 전부 할 수 없게 해주는[23] 다이아몬드 파워 못지 않은 사기성을 자랑한다. 사이코맨도 여기에는 마땅한 대응 방법이 없었는지 결국 마그넷 파워를 사용했다.
  • 올림포스 볼케이노
    파일:olympusvolcane-full.jpg
    상대를 어깨에 백 브레이커 자세로 들쳐메면 태양계 최대의 화산인 올림포스가 플래닛맨의 왼어깨에 있는 화성에서 분화되어 상대를 공격하는 기술.

5. 전적

상대 결과 경기 피니시 무브
근육맨 패배 황금마스크 편 블랙홀 수플렉스
사이코맨 패배 완벽초인시조 편 완환 - 팬텀 캐논
2전 0승 2패 승률 0%

6. 여담

  • 인기가 없고 과거사나 비하인드 스토리도 없어서 그런지[24] 오죽하면 한국에선 플래닛맨이 나오자 악마기사들 중 가장 존재감 없다고 불쌍한 녀석 취급받았다. 인기가 없는건 정크맨, 그리고 안습한건 더 닌자 수준.[25]
  • 작중에서도 입지가 좁은데, 초대와 뉴 에피소드에서의 두 대결 모두 스토리 진행으로 희생당했으며, 버팔로맨과 블랙홀에겐 비겁하다(...)는 평을 받았다.[26] 바로 이전에 싸웠던 스니게이터는 버팔로맨에게 깍듯이 존댓말을 들으며 상사 및 교관 대우를 받았던 것을 보면 후임들 사이에서의 취급도 그닥 좋지 않은 듯. 단 스니게이터를 제외하면 7인의 악마초인이 악마 6기사를 존대하는 묘사는 없다.

    투지를 보여준 다른 악마초인들과 달리 상당히 허무하게 죽기까지. 버팔로맨은 악마의 의지를 보여줬다고 평가했지만 독자들이 보기엔 그저 허무하다. 차라리 안면 플래닛이 단순히 인질 협박 기술이 아니라 그 초인의 파워도 흡수하는 기술이었다면 이렇게 허무하지는 않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수천만 파워에 이르는 무량대수군들의 초인파워를 다 흡수할 수 있다면 답이 없어지는 사기가 될 게 뻔하니... 그리고 신 근육맨에서 유일하게 이렇다 할 악마장군에 대한 존경심이나 충성심을 보인 적이 없다.[27] 게다가 완벽초인 에피소드가 끝나고 같이 죽었던 것으로 보였던 아수라맨은 어찌저찌 살아있고, 플래닛맨은 그렇지 않은 걸 보면...[28]
  • 첫 등장 때는 행성들을 이어놓은 빼빼 마른 팔다리를 가진 우스꽝스러운 모습이였지만 다음 컷부터 근육질 몸매로 그려졌고, 현재는 근육질 모습으로 정착되었다.
  • 플래닛맨이 자신의 출신 행성이라고 말하는 벌컨은 실제 태양과 수성 사이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했던 가상의 행성이다. 계산 결과 수성의 궤도가 예측과 다르자 그런 궤도를 따라 움직이려면 그 사이에 중력이 있는 행성이 하나 더 있어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고, 그 결과 태양과 수성 사이에 다른 행성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 것. 하지만 태양의 중력이 너무 강해서 수성은 그런 궤도를 그리며 움직이는 것이었고, 태양과 수성 사이에 행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7. 테마곡

[nicovideo(sm19915794, width=100%)]
공포의 혹성 벌컨
恐怖の惑星バルカン|Dreaded Planet Vulcan
작사 모리 유키노조(森雪之丞)
작곡 세리자와 히로아키
노래 아라카와 츠토무(荒川務)
내레이션 타나카 히데유키
가사 ▼
太陽系12番目の星, それが在ったのを誰も知るまい・・・
태양계 12번째 별, 그것이 무엇인지는 그누구도 모르지...

惑星バルカン!それがこのオレ、プラネットマンの正体なのだ!
혹성 벌컨! 그것이 나, 플래닛맨의 정체다!

オレは神の手から太陽系の星を奪い取ってきた
나는 신의 손 안에 쥐어있는 태양계의 별들을 빼앗아왔지

残る1つの星、地球さえ手に入れれば、
남은 한개의 별, 지구만 빼앗기만 하면,

全太陽系を制したことになるのよ!
전 태양계를 손에 넣었단 셈이지!


青く気取った地球が憎いぜ
푸른 지구가 너무나도 밉구나

笑顔あふれる平和が憎いぜ
평화가 넘쳐나는 미소가 너무나도 밉구나

俺は惑星バルカン 地球に隠されて
난 혹성 벌컨, 지구 뒤에 숨겨져

宇宙の墓場を さまよっていた
우주의 무덤을 해메이고 있었다

さぁ今 異変が起きる
자아, 지금 이변이 일어나려고 해

惑星直列 グランドクロス
행성작렬, 그랜드크로스

暗黒の21世紀
암흑의 21세기

銀河悪魔(コズミック・デビル) プラネットマン
은하악마(Cosmic Devil) 플래닛맨

リングストーン 黒く飛び散る星の弾丸
링스톤 어둡게 흩날리는 별의 탄환

銀河悪魔(コズミック・デビル) プラネットマン
은하악마(Cosmic Devil) 플래닛맨

水・金・地・火・木・土・天・海・冥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여

このバルカンに ひざまずけ!
이 벌컨 앞에서 무릎을 꿇어라!


キン肉マン! お前は地球だ!
근육맨! 네놈은 이제 지구다!

お前さえ倒せば地球を手に入れることになる!
너만 쓰러뜨리면 지구를 손에 넣을 수 있지!

受けられるかな~?
버틸 수 있을까나~?

惑星直列! 悪魔の技、グランドクロス!!
행성작렬! 악마의 기술, 그랜드크로스!


地球を守る奴らは たたくぜ
지구를 지킬려는 녀석들은 전부 없애주지

いつか涙の洪水が襲うぜ
언젠간 눈물의 홍수로 덮쳐지게 해주지

俺は惑星バルカン 悪魔騎士になって
난 혹성 벌컨 악마기사가 되어

ふくしゅうの時を 待ちわびていた
복수의 때를 애타게 기다려왔었다

さぁ今 異変が起きる
자아, 지금 이변이 일어나려고 해

天も地もない宇宙地獄で
하늘도 땅도 없는 우주지옥에서

俺様のワンマンショーさ
이 몸의 원맨쇼가 말이야

銀河悪魔(コズミック・デビル) プラネットマン
은하악마(Cosmic Devil) 플래닛맨

魂うばえば 俺の手足に 顔がふるえるぜ
영혼을 빼앗기면 내 손발에 얼굴이 늘어난다구

銀河悪魔(コズミック・デビル) プラネットマン
은하악마(Cosmic Devil) 플래닛맨

水・金・地・火・木・土・天・海・冥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여

このバルカンに ひざまずけ!
이 벌컨 앞에서 무릎을 꿇어라!

銀河悪魔(コズミック・デビル) プラネットマン
은하악마(Cosmic Devil) 플래닛맨

水・金・地・火・木・土・天・海・冥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여

このバルカンに ひざまずけ!
이 벌컨 앞에서 무릎을 꿇어라!


[1] 구애니판에서는 자신의 머리인 벌컨 행성이 붉은색으로 나왔다.[2] 태양, ,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그리고 자신의 얼굴인 벌컨. 앞의 두 개는 행성조차 아니고 벌컨은 존재하지도 않는다는 것을 생각하면 지는 거다 명왕성의 경우 당시 시대 배경인 1980년대에는 아직 테양계에서 제명되지 않았기에 약간 뒤를 다루는 신 근육맨에서도 여전히 명왕성이 들어가 있다.[3] 근육맨과의 싸움 도중에 벗겨졌다. 여담이지만 근육맨은 정체를 알기 전까진 "설마 지구까지 악마의 편에 선 거냐"며 놀라고 있었지만, 정체가 밝혀지자 "역시 지구가 악마 편을 드는 게 이상했어!" 라고 했다.[4] 이 행성이 플래닛맨의 고향별이라는 얘기가 있다. 벌컨이라는 이 행성은 늘 지구의 그늘에 가려져 숨겨져 있던 행성이라는 설정인데, 재미있게도 이것을 살리기 위함인지 플래닛맨은 지구->블랙 벌컨->진정한 벌컨의 순서로 가면이 벗겨졌다. 가끔 달로 오인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문에 신 근육맨에서 사이코맨과의 싸움 도중 달덩이라는 소릴 듣고 "내 머리는 달이 아니야!"라는 소리를 했다.[5] 행성 직렬로 캐나다, 인도, 아프리카를 공격해 캐나디언맨, 카레 쿡 같은 마이너 정의초인들을 전멸시키고 그 다음엔 마기 그랜드 크로스로 미국, 영국, 러시아를 공격해 아이돌초인군과 근육맨의 부모, 비빔바까지 죽게 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유일하게 살아있던 제로니모가 근육맨에게 모두 죽었다고 외치자, 근육맨도 피눈물을 흘리며 플래닛맨이 자신의 소중한 걸 모두 빼앗았으니 이젠 봐주지 않겠다고 투지를 불태울 정도로 절망적인 상황이었다.[6] 원작 한정.[7] 애니메이션에서는 하라보테.[8] 자신의 동료들을 해칠 수 없어서 주저하는 근육맨을 본 워즈맨이 너와 나의 우정은 보여주기였던 거냐며 공격하라고 재촉해서야 마음을 다잡을 수 있었다. 이후 워즈맨은 완전히 죽지 않은 채 신체 내부가 나머지 악마기사들과의 전투 장소가 된다.[9] 애니메이션에서는 참수되지 않고 황금 마스크가 벗겨져 원래 얼굴인 벌컨 행성이 드러난다. 데꿀멍하고 있는 사이 근육맨이 플래닛맨을 잡아 링에 난 구멍으로 패대기. 비명을 지르며 떨어지던 플래닛맨은 바닥에 머리를 처박고는 사망한다. 이때 플래닛맨이 떨어져서 죽는 장면은 구경하고 있던 테리맨로빈마스크의 뒷모습에 가려져서 나오지 않는다.[10] 플래닛맨에게 살해당한 정의초인들은 플래닛맨이 쓰러지자 되살아나 아이돌초인군에게 초인 파워를 나눠주어 회복시켰다.[11] 봉제인형이 있는 등 상당히 소녀틱하며 심지어 본인이 모델인 듯한 테디 베어도 있다.[12] 사이코맨도 플래닛맨의 침입을 알아챘기에 버팔로맨에게 패배 후 살해당한 척 계단 피라미드에서 벗어나 스페인으로 이동했다. 참고로 '지면 자결한다' 는 규칙은 후에 들어온 완벽초인들을 위해 만든 규칙이니 자신은 퍼펙트 오리진 중 하나라 지킬 필요 없다며 선민사상에 찬 발언을 했지만, 동시에 완벽초인이면서 지는 척 스페인으로 급히 왔다는 것만으로도 이곳에 중요한 것이 숨겨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13] 이때 사이코맨이 퍼펙트 오리진의 특별한 자결의 규칙을 말하고 자신들도 그런 일이 되풀이 되지 않고 세상을 관리하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하는 것이니 그것만은 이해해줬으면 좋겠다고 하자 아무도 원하지 않은 것을 네놈들 멋대로의 룰로 정해놓는데 이 세상은 네놈들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라정의초인들이 할 것 같은 발언을 하지만, 바로 그 직후 이 세상은 우리들 악마초인의 것이라는 소리를 하며 독자들을 뿜게 만들었다.[14] 왼다리의 해왕성에 맥스 레이디얼, 왼손의 금성에 말린맨, 오른손의 수성에 달마시맨, 오른다리의 명왕성에 마벨러스, 왼어깨의 화성에 크러시맨, 오른어깨의 천왕성에 잭 티, 사타구니의 토성에 폴라맨, 흉부의 목성에 터보맨.[15] 맥스 래이디얼을 시작으로 이게 무슨 짓이냐는 말린맨도 파괴, 달마시맨의 '우리는 완벽초인계에서도 엘리트인 무량대수군 아니었냐'는 항의에는 '결국 하등초인일 뿐'이라고 답하며 시크하게 박살, 마벨러스 / 잭 티 / 크러시맨은 뭐라 말도 못 해보고 박살났다.[16] 정크맨은 자신에게 그야말로 최악의 상대인 페인맨의 완충 보디를 기지를 발휘해 파괴하는 근성을 보였고, 스니게이터도 비록 패배했을지언정 주 무기인 변신을 얼마든지 진안으로 간파하고 봉인할 수 있는 간맨을 상대로 제자들을 위해 분투했다. 선샤인은 악마다운 계책을 통해 절대적 방어력을 가진 싱맨의 몸을 무너트렸으며, 닌자 또한 포기하지 않는 악마의 마음으로 카라스맨을 참살했다. 아수라맨도 저스티스맨의 머리 강도를 오판하는 바람에 어이없게 패배했을 뿐, 동료들의 마음을 한데 모은 총력전을 통해 그 의지를 보여주었다.[17] 다만 사이코맨이 마그넷 파워를 사용하기 전까지는 어느 정도 대등한 공방을 주고 받은 만큼, 순수한 실력 자체는 퍼펙트 오리진과 겨룰 정도는 확실하게 되는 수준이다. 다음 상대였던 브로켄 Jr도 실버맨의 의지를 이은 정의초인을 죽이고 싶지 않던 사이코맨이 의도적으로 봐준 것일 뿐 진심을 다하자 악력에서 압도당해 순식간에 손가락이 전부 부러지는 등 고전을 면치 못했고, 그 실버맨조차 마그넷 파워의 파훼를 위해 고생했다. 게다가 터보맨을 죽이면서 사실상 플래닛맨의 사망이 확정된 순간에도 '그 골드맨의 제자이니 이렇게 쉽게 죽을 거라 생각하진 않는다'며 팬텀 캐논으로 확실하게 죽였다.[18] 신 근육맨에서는 선샤인이 고속이동을 할 때는 닌자의 모습이 어울린다고 한데다가, 서로의 상대가 플래닛맨의 상대는 기술이 부각되는 사이코맨, 더 닌자의 상대는 스피드로는 악마장군 이상이라는 카라스맨인 만큼 이후로는 이쪽으로 포지션이 정착된 듯.[19] 똑같이 고리가 있는 오른어깨의 천왕성이나 왼다리의 해왕성으로도 플래닛 링을 뽑아낼 수 있는지는 불명.[20] 토성의 고리는 작은 얼음과 암석으로 되어 있다.[21] 근육맨은 앞서 자신에게 초인강도를 주고 죽은 울프맨의 우정 파워를 사용해 울프맨의 하리테로 얼음을 깨부순 뒤 플래닛맨을 공격했고 사이코맨은 그냥 얼어붙은 상태에서 맨손으로 얼음을 깨고 플래닛맨의 무릎을 잡는 식으로 파훼했다.[22] 사이코맨을 상대로도 쓸모 없었지만, 그래도 스트롱 더 무도의 정체에 대해 숨기는 것이 있다는 단서를 얻어냈다. #[23] 플래닛맨의 몸을 발판으로 삼아 다른 부위에 관절기를 사용할 수는 있겠지만, 무중력 상태라는 익숙치 않은 환경 때문에 기술을 거는 단계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24] 실은 아예 없지는 않다. 의외로 다양한 설정이 있어서 근육맨 부록판에 여러 언급이 있었기는 하다. 다만 별로 안 알려져 있을 뿐... 대표적인 예가 있으나마나한 개인 타이틀 정도.[25] 정크맨은 생김새 때문에 인기가 없고 더 닌자는 인기는 있는데 전적이나 취급이 꽤나 박하다. 그래도 이 둘은 시조를 상대로 승리했다.[26] 정말로 비겁하다고 비난하기보다는 기술이 비겁한 수준으로 악마초인으로서 대단하다는 의미기는 했다.[27] 그래도 동료과 우정을 지닌 건은 확실한데, 그 증거로 초인묘지에 돌입하며 두억시니들을 상대할때 더 닌자랑 서로 호흡이 맞게 팀웍을 이루며 싸웠고, 아수라맨이 죽은 악마초인들의 팔을 불러서 썼을때 저스티스맨의 기술에 걸린 아수라맨을 구하고자 플래닛맨의 팔은 다른 팔들과 함께 저항했다.[28] 다만 아수라맨은 얼굴의 가면과 팔만 파괴된 채 패배해서 얼마든지 생존 처리하는 게 가능했지만 플래닛맨은 전신이 산산조각나고 머리도 가루가 되었기 때문에 생존한 걸로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