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13:58:58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애니메이션 1기)


파일: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 한글 로고.svg

( ) ()
(TVA 1 · TVA 2 · · 에피 이드)

'''{{{+1 배 히로인{{{#fff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1px; border-radius: 3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b000; background: #ffb000; font-size: 1em"
Makeine: Too Many Losing Heroines!
<nopad> 파일: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 한글 키비주얼.jpg
{{{#070A7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70A7D,#ddd> 장르 학원, 청춘, 러브 코미디
원작 아마모리 타키비
캐릭터 원안 이미기무루
감독 키타무라 쇼타로
시리즈 구성 요코타니 마사히로
캐릭터 디자인 카와카미 테츠야
서브 캐릭터 디자인 사이토 하루카(齋藤 悠)
메인 애니메이터 미우라 타쿠미츠(三浦琢光)
타케다 아카네(竹田 茜)
하라시마 미라이(原島未来)
비주얼 보드 오오타니 아오이
아리하라 케이코(有原慧悟)
프롭 디자인 키도 타카유키(木藤貴之)
색채 설계 무라카미 아야카(村上彩夏)
미술 설정 히라요시 미키야(平義樹弥)
미술 감독 하타케야마 유키
미술 보드 협력 텅 총(滕 翀)
미술 쿠사나기
3D 감독 쿠리바야시 유키(栗林裕紀)
촬영 감독 미야와키 요헤이
편집 히로세 키요시(廣瀬清志)
음악 우타타네 카나
음악 제작 애니플렉스
음향 감독 요시다 코헤이(吉田光平)
음향 효과 하세가와 타쿠야(長谷川卓也)
기획 이와카미 아츠히로(岩上敦宏)
타사키 카츠야(田﨑勝也)
사토 마키(佐藤真紀)
나가이 코지(永井幸治)
우사 요시키(宇佐義大)
오오츠카 노리카즈(大塚則和)
아츠지 스미오(厚地純夫)
프로듀서 진구지 마나부(神宮司 学)
이노우에 메구미(井上めぐみ)
오오와다 토모유키(大和田智之)
나가미네 리에코(長嶺利江子)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키쿠치 유이치로
애니메이션 제작 A-1 Pictures
제작 패로인 응원위원회(マケイン応援委員会)[1]
방영 기간 2024. 07. 14. ~ 2024. 09. 29.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MX / (일) 00: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박스 / (일) 02:00
스트리밍
[[Laftel|
LAFTEL
]]
#!if 링크 != null
[[https://laftel.net/item/42255|▶]]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laftel.net/item/|▶]]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laftel.net/item/|▶]]
#!if 주석2 != null
^^^^




편당 러닝타임 24~25분
화수 12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선정성)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
1.1. PV
1.1.1. 일본
1.1.1.1. 본편1.1.1.2. 캐릭터
1.1.2. 한국
1.2. 키 비주얼1.3. 코멘트
1.3.1. 원작자1.3.2. 성우1.3.3. OP 담당
1.4. 캐스트 인터뷰1.5. 카운트다운 색지
2. 줄거리3.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4. 음악
4.1. 주제가4.2. 앨범4.3. OST
5. 회차 목록6. 회차별 WEB 예고편7. 방송국 일람8. 에피소드 가이드 & 원작과의 차이점9. 해외 공개
9.1. 대한민국
10. 평가11. 흥행12. Blu-ray & DVD13. 무대탐방14. 비주얼 보드15. 기타

1. 개요

負けて輝け、少女たち!
패배해서 빛나라, 소녀들!

일본의 라이트 노벨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1기. 감독은 키타무라 쇼타로, 제작사는 A-1 Pictures. 방영 시기는 2024년 7월.

==# 공개 정보 #==
파일:패로인애니화축하6권일러.jpg
  • 2023년
    • 12월 14일, TV 애니메이션화 결정과 함께 방영 연도가 공개되었다. #
  • 2024년
    • 03월 17일, 캐릭터 비주얼과 제1탄 PV, 주요 스태프진, 그리고 엔딩 테마가 공개되었다. #
      파일:패로인 실연의날.png 파일:패로인 고백의날.jpg 파일:패로인 키스의날.jpg
    • 04월 20일, 실연의 날을 기념해 야나미 안나의 짝사랑 비주얼과 토오노 히카루의 캐스트 코멘트, 그리고 설정화 일부가 공개되었다. #
    • 05월 09일, 고백의 날을 기념해 야키시오 레몬의 짝사랑 비주얼과 와카야마 시온의 캐스트 코멘트가 공개되었다. #
    • 05월 23일, 키스의 날을 기념해 코마리 치카의 짝사랑 비주얼과 테라사와 모모카의 캐스트 코멘트가 공개되었다. #
      파일:패로인 전략 발표 생방송.jpg
    • 06월 09일,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는 것과 함께 패배 히로인들이 '지지 않기 위한 전략'을 설명하는 전략 발표 생방송을 진행했다. #
      • 기타 캐릭터의 캐릭터 디자인과 성우, 메인 비주얼, 메인 PV, OP 정보, 방송 정보를 공개하였다.
      • 작품의 무대인 아이치현 토요하시시와 도쿄도 토요스에서 6월 30일, 제1화, 제2화의 선행상영회와 토크쇼를 개최한다.
      • 2024년 3월부터 작품의 무대인 아이치현 토요하시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원작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와 ㈜JR도카이와의 콜라보 캠페인 내에서 등장 캐릭터들이 자칭하고 있던 '토요하시 응원대'가 토요하시시로부터 정식으로 공인되었다.

        『토요하시 응원대』 공인 기념 세리머니 레포트 영상

1.1. PV

1.1.1. 일본

1.1.1.1. 본편
애니화 결정 PV
제1탄 PV
제1탄 PV(Shorts 버전)
메인 PV
메인 PV(Shorts 버전)
1.1.1.2. 캐릭터
야나미 안나 PV 야키시오 레몬 PV 코마리 치카 PV

1.1.2. 한국

애니박스 제1탄 PV
애니박스 메인 PV

1.2. 키 비주얼

파일:패로인애니화결정비주얼.jpg 파일:마케인_애니캐릭터비주얼.jpg
애니화 결정 기념 비주얼[2][3] 캐릭터 비주얼[4]
파일:야나미 안나 짝사랑 비주얼.jpg 파일:야키시오 레몬 짝사랑 비주얼.jpg 파일:코마리 치카 짝사랑 비주얼.jpg
야나미 안나 짝사랑 비주얼 야키시오 레몬 짝사랑 비주얼 코마리 치카 짝사랑 비주얼
파일:패로인 애니 메인 비주얼.jpg
메인 비주얼[5][6]
파일:야나미 안나 패배 히로인 비주얼.jpg 파일:야키시오 레몬 패배 히로인 비주얼.jpg 파일:코마리 치카 패배 히로인 비주얼.jpg
야나미 안나
패배 히로인 비주얼
야키시오 레몬
패배 히로인 비주얼
코마리 치카
패배 히로인 비주얼

1.3. 코멘트

1.3.1. 원작자

파일:패로인comment.png원작
아마모리 타키비

큰일 났습니다.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 드디어 애니화입니다.
제가 자란 토요하시의 거리에서 등장인물들이 활약하는 것이 벌써부터 기대됩니다.

이것도 그동안 응원해주신 여러분, 관계자 분들 덕분입니다!
실컷 차이고 실컷 울고, 그럼에도 빛나는 패배 히로인들의 청춘을 애니메이션으로 함께 즐깁시다!


캐릭터 원안
이미기무루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 애니화 축하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이야~ 드디어 발표하게 되어 기쁩니다.
아마모리 선생님, 담당 편집자님과 함께 애니메이션 스태프님의 토요하시 로케이션 헌팅에 동행하기도 해서 즐겁게 만들고 있습니다(이때의 폭소 해프닝을 언젠가 어디선가 이야기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웃음)).
그러므로 부디 다음 소식을 기대해 주세요!

1.3.2. 성우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00a0ff><bgcolor=#d8eff5,#d8eff5><width=25%><nopad> 파일:성우 코멘트 누쿠미즈.png ||<bgcolor=#4ac1f0,#4ac1f0><width=25%><nopad> 파일:성우 코멘트 야나미.png ||<bgcolor=#8fc31f,#8fc31f><width=25%><nopad> 파일:성우 코멘트 야키시오.png ||<bgcolor=#dd4f4e><nopad> 파일:성우 코멘트 코마리.png ||
{{{#!folding [ ··· ] {{{#!folding [ ··· ] {{{#!folding [ ··· ] {{{#!folding [ ··· ]

1.3.3. OP 담당

파일:봇치보로마루 메인.jpg
봇치보로마루
COMMENT

이번 OP를 담당하게 된 봇치보로마루입니다!
파일:못사 메인.jpg
못사(네크라이토키)
COMMENT
이번에 봇치 군과 콜라보하게 되었습니다!

1.4. 캐스트 인터뷰

캐스트 인터뷰|야나미 안나 역 토오노 히카루
캐스트 인터뷰|야키시오 레몬 역 와카야마 시온
캐스트 인터뷰|코마리 치카 역 테라사와 모모카

1.5. 카운트다운 색지

카운트다운 색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패로인 카운트다운 7일.jpg 파일:패로인 카운트다운 6일.jpg 파일:패로인 카운트다운 5일.jpg 파일:패로인 카운트다운 4일.jpg
코마리 치카 역
테라사와 모모카
D-7
야키시오 레몬 역
와카야마 시온
D-6
야나미 안나 역
토오노 히카루
D-5
누쿠미즈 카즈히코 역
우메다 슈이치로
D-4
파일:패로인 카운트다운 3일.jpg 파일:패로인 카운트다운 2일.jpg 파일:패로인 카운트다운 1일.jpg 파일:패로인 카운트다운 0일.jpg
캐릭터 원안
이미기무루
D-3
원작
아마모리 타키비
D-2
캐릭터 디자인
카와카미 테츠야
D-1
감독
키타무라 쇼타로
D-Day
}}}}}}}}}

2. 줄거리

파일:패로인intro.png제15회 쇼가쿠칸 라이트 노벨 대상
《가가가상》 수상작,
대망의 TV 애니메이션화!



좋아하는 사람의 여자 친구 자리를 뺏기고 만 여자아이, '패배 히로인'

먹는 걸 좋아하는 소꿉친구 히로인 [[야나미 안나|{{{#fff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4ac1f0; background: #4ac1f0; font-size: 1em"

3.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등장인물#|]][[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 한글 로고.svg
주요 등장인물
시키야 유메코 · 호코바루 히바리 · 바소리 티아라 · 츠키노키 코토 · 시라타마 리코
<rowcolor=#070A7D,#ddd> 등장인물 성우
누쿠미즈 카즈히코 우메다 슈이치로
야나미 안나 토오노 히카루
야키시오 레몬 와카야마 시온
코마리 치카 테라사와 모모카
누쿠미즈 카쥬 타나카 미나미
츠키노키 코토 타네자키 아츠미
타마키 신타로 코바야시 유스케
하카마다 소스케 오오사카 료타
히메미야 카렌 와키 아즈미
아야노 미츠키 코바야시 치아키
아사구모 치하야 우에다 레이나
아마나츠 코나미 우에사카 스미레
코누키 사요 사이토 치와
시키야 유메코 안자이 치카
곤도 아사미 세키네 아키라
호코바루 히바리 나나미 히로키
바소리 티아라 모로호시 스미레

4. 음악

4.1. 주제가

4.1.1. OP

OP
つよがるガール feat. もっさ(ネクライトーキー)
강한 척하는 girl feat. 못사(네크라이토키)
TV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70A7D,#ddd> 노래 봇치보로마루
작사
작곡
편곡
게스트 보컬 못사 (네크라이토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70A7D,#ddd> 콘티 키쿠치 타카유키
연출
작화감독 카와카미 테츠야
원화 Kay Yu, 미야하라 타쿠야, 오오카지 히로유키, 세라 코타(世良コータ), 토리이 타카후미, A-1 Pictures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負け!負け!負け!負け!
패배! 패배! 패배! 패배!

負け!け!け!け!け!
패배! 배! 배! 배! 배!

つよがるガール!
강한 척하는 girl!


モブキャラ視点の日々は
단역 캐릭터 시점의 나날은

騒がしすぎて 青春大戦争
너무 시끄러워 청춘 대전쟁

ご縁がない 間違いない
인연이 없어 틀림없어

ヒーローじゃないから
히어로가 아니니까


天然由来のプリンセス
해맑기만 한 프린세스

今日もあっちこっち 敗北群像劇
오늘도 여기저기 패배자들뿐

ドキドキして ズキズキする
두근두근해서 욱신욱신해

叶わぬ恋よ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여


(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
(빙글빙글빙글빙글빙글빙글)

頭の中 意味不明で
머릿속은 의미 불명

(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
(빙글빙글빙글빙글빙글빙글)

謎に走りたくなって
수수께끼로 달리고 싶어져


涙がこぼれるまで
눈물이 쏟아질 때까지

歯を食いしばって食いしばって
이를 악물고 악물고

ピースして!
브이해!



そうさ
그래

何度も何度も負けてやれ!
몇 번이고 몇 번이고 지는 거야!

涙 そのたび強くなる
눈물은 그때마다 강해져

きっといつかはいつかはハッピーエンド
분명 언젠가는 언젠가는 해피 엔딩

走れ! 唯一無二の運命
달려라! 유일무이한 운명


つよがるガールは最強!
강한 척하는 girl은 최강!

ふざけ騒ぎ 輝いてく
장난치고 떠들고 빛나지

涙キラリ 泣き笑い
눈물은 반짝 울고 웃고

すごいビーム放つ
엄청난 빔을 쏠 거야

つよがるガールは最強!
센 척하는 girl은 최강!

明日も今日も 負け戦で
오늘도 내일도 지겠지만

だけどスピンオフじゃない
하지만 스핀오프는 아냐

ぼくら主役の日々
우리가 주인공인 나날


何年跨ぎのセンチメン
몇 년에 걸친 센티멘털

報われぬまま 季節は過ぎる
보답받지 못한 채 계절은 지나가

チャンスがない 見逃しがち
계획이 없어 놓치기 쉬워

天才じゃないから
천재가 아니니까

あの手とこの手でババンバン
그 손이랑 이 손으로 짝짝

休まないで攻撃! 命中3%
쉬지 않고 공격! 명중 3%

キリがないな イタチごっこ
끝이 없네 다람쥐 쳇바퀴

終わらぬロード
끝임 없는 로드


(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
(빙글빙글빙글빙글빙글빙글)

作戦失敗コンティニューで
작전 실패 컨티뉴로

(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ぐる)
(빙글빙글빙글빙글빙글빙글)

我に帰り 虚しいね
제정신이 들고 허무하네


諦められないこと
포기할 수 없는 것

胸に秘め
가슴에 간직하고


だから
그러니까

毎日毎日駆けずって
매일매일 뛰어다니며

流れ星を探しにいく
별똥별을 찾으러 가

そんな小さな小さなミラクルを
그런 조그만 조그만 기적을

ずっと信じ続けながら
계속 믿어나가며


いつか大人になるけど
언젠가 어른이 되겠지만

笑い話にはしない
우스갯소리로는 만들지 않을래

悔しい想い食べ尽くそう
억울한 마음을 전부 먹어치우자

飛ばせ! まっすぐ前へ
날려버려! 곧장 앞으로


何度も何度も泣いてきた
몇 번이고 몇 번이고 울었어

まるで主人公みたいに
마치 주인공처럼

きっといつかはいつかは
분명 언젠가는 언젠가는

ヒロインになると胸に誓いながら
히로인이 될 거라고 가슴에 맹세하면서


つよがるガールは最強!
강한 척하는 girl은 최강!

強い気持ち 貫いてく
굳센 마음을 관철해

さよなら きっといつの日か
안녕, 분명 언젠가는

悔し涙 流せ!
분한 눈물을 흘려버려!

つよがるガールは最強!
강한 척하는 girl은 최강!

晴れた空を味わってく
맑은 하늘을 맛보고

待つのはトゥルーエンディング
기다리는 건 트루 엔딩

ぼくら主役の日々
우리가 주인공인 나날


負け!負け!負け!負け!
패배! 패배! 패배! 패배!

負け!け!け!け!け!
패배! 배! 배! 배! 배!

つよがるガール!
강한 척하는 girl!
}}}}}}}}} ||
원작 분량과 애니메이션의 진도로 미루어 봤을 때 1쿨 안에 등장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등장인물이 등장한다.

4.1.2. ED

패로인 응원! 커버송 시리즈
マケイン応援!カバーソングシリーズ
엔딩은 총 세 개로, 주역인 야나미 안나, 야키시오 레몬, 코마리 치카가 각각 커버한 「패로인 응원! 커버송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다.
4.1.2.1. ED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OVE 2000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OVE 2000#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OVE 2000#|]][[LOVE 2000#|]]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ED1 (1~4화)
LOVE 2000
TV ver.
Full ver.
Original ver.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70A7D,#ddd> 노래 야나미 안나 (CV. 토오노 히카루)
작사 hitomi
작곡 카마타 마사토(鎌田雅人)
편곡 무라타 유이치(村田祐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70A7D,#ddd> 엔딩 애니메이션 순주함 본타(巡宙艦ボンタ)
오오타니 아오이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愛はどこからやってくるのでしょう 自分の胸に問いかけた
사랑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내 가슴에 물었어

ニセモノなんか興味はないの ホントだけを見つめたい
가짜 따위 흥미가 없는걸 진짜만을 보고 싶어


悲しいNEWSとどうでもいい話 朝からもうそんなのうんざりで
슬픈 뉴스와 아무래도 좋은 이야기 아침부터 그런건 이제 지긋지긋해

今日はいつもよりも風が気持ちイイからネ 楽しさに着替えてネ
오늘은 평소보다 바람이 기분 좋으니까 즐거움으로 바꿔입을래


気づけなかった きっと甘えてたのかな
깨닫지 못했어 어쩜 응석 부렸던 걸까

だから自分愛して 人を愛してみたいの
그러니 날 사랑하고 남을 사랑해 보고 싶어


夢はいつでも膨らむばかりで 誰かの思いを無視してた
꿈은 언제나 부풀어 오르기만 해서 다른 사람의 마음을 무시했어

きっといつかはわかってるのかナ 手放した風船飛んでった
어쩜 언젠가 알게 되는 걸까 놓친 풍선 날아가 버렸어


サバよんでみたってあの頃に戻れやしないし だから今を認めていたいの
숫자를 속여봤자 그때로 돌아갈 순 없으니까 지금을 인정하고 싶은 거야

とても大切な事も見過ごしちゃったとしても また見つければイイ
무척 소중한 것조차 놓쳐버렸다고 해도 또 찾으면 돼


いつも言ってたネ “まァ、どうにかなるって”
언제나 말했지 "뭐, 어떻게든 될 거야"

だけど力まかせじゃ どうにもならない事もアル
하지만 힘만 믿어서 아무것도 되지 않는 일도 있어


愛はどこからやってくるのでしょう 自分の胸に問いかけた
사랑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내 가슴에 물었어

少しずつだけどいろんな事が変わって 私はここにアル
조금씩이지만 여러 가지가 바뀌어서 난 여기에 있어


こんなハズじゃなかった とんだオトギ話
이러려던 게 아닌데 어처구니없는 옛날 이야기

なぞなぞみたいな 愛す事の意味は
수수께끼에 뒤쌓인 사랑의 의미는

運命だけじゃなくて センチメンタルでもなくて
운명뿐만이 아니라 센티멘털한 것도 아니라

強く見えないモノかナ
잘 보이지 않는 걸까


愛はどこからやってくるのでしょう 自分の胸に問いかけた
사랑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내 가슴에 물었어

食べてみなくちゃわからない事 出会いの引力はどれほどか
먹어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는 것 만남의 인력은 어느 정도일까

愛はどこからやってくるのでしょう 自分の胸に問いかけた
사랑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내 가슴에 물었어

ニセモノなんか興味はないワ ホンモノだけ見つけたい
가짜 따위 흥미가 없는걸 진짜만을 보고 싶어

あなたをずっと探してた
너를 계속 찾고 있었어
}}}}}}}}} ||
엔딩 애니메이션은 셀 애니메이션을 좋아해 카메라로 직접 찍어가면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영상 작가 순주함 본타(巡宙艦ボンタ)가 연출했으며[7] 작화는 오오타니 아오이가 했다.

셀화를 투과해 배경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그림까지 카메라로 촬영해서 만들었다.# 메이킹 필름 다만 실제 셀 애니메이션은 이렇게 만들지 않고 촬영대가 존재한다. 정확히는 셀을 응용한 다른 기법이다.[8] 참고 자료

그림과 실사 배경을 동시에 촬영하기 위해 셀 애니에서 쓰이는 셀을 구입해서 만들었다. 셀 판매 업자 측 말로는 2013년 9월 29일 사자에상 이후 10년 9개월 만의 신작 셀화 지상파 TV 방송이라고 한다.

1, 2, 3화 각각 엔딩 영상 일부분이 야나미, 야키시오, 코마리의 패배 스토리에 걸맞게 바뀌었다.
파일:마케인 애니 첫 번째 엔딩 4화.jpg
1화부터 4화까지 엔딩 중간에 나오는 텍스트가 해당 화수 분량에 해당하는 원작 소설의 문장으로 매번 바뀌었다.
4.1.2.2. ED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RAZY FOR YOU(Kylee)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RAZY FOR YOU(Kyle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RAZY FOR YOU(Kylee)#|]][[CRAZY FOR YOU(Kyle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ED2 (5~7화)
CRAZY FOR YOU
TV ver.
Full ver.
Original ver.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70A7D,#ddd> 노래 야키시오 레몬 (CV. 와카야마 시온)
작사 이소가이 사이먼(磯貝サイモン)
작곡
편곡 무라타 유이치(村田祐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70A7D,#ddd> 콘티 스도 아키히토
연출
캐릭터 디자인 야마자키 소타
작화감독
원화 mono, ump, 야마자키 소타 등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届け この思いよ
이 마음이여, 전해져라

夜空はキミへの滑走路
밤하늘은 네게 이어지는 활주로

ハートを揺らすよ キミの声
하트를 흔들어 네 목소리

お願い これ以上 じらさないで
부탁이니 이 이상 애태우지 마

かけ引きなんてできなくって
밀당 따위 할 수 없는걸

今すぐ会いたいよ I'm just crazy for you
지금 당장 만나고 싶어 I'm just crazy for you


気付いたら ウトウトしてたみたい
정신이 들고 보니 깜빡 졸았던 것 같아

こんな真夜中 ひとりきり
이런 한밤중에 홀로

ケータイ握りしめてた手に
핸드폰을 움켜쥔 손에

残る着信 キミの名前
부재중 전화에 찍힌 네 이름


会いたい、会えない、もどかしくって
만나고 싶어, 만날 수 없어, 애타는 마음

知りたい、触れたい…
알고 싶어, 닿고 싶어…

心奪ったのはキミなんだ
마음을 빼앗은 건 너야


届け この思いよ
이 마음이여, 전해져라

夜空はキミへの滑走路
밤하늘은 네게 이어지는 활주로

ハートを揺らすよ キミの声
하트를 흔들어 네 목소리

お願い これ以上 じらさないで
부탁이니 이 이상 애태우지 마

かけ引きなんてできなくって
밀당 따위 할 수 없는걸

今すぐ会いたいよ I'm just crazy for you
지금 당장 만나고 싶어 I'm just crazy for you


ねえ明日こそは言えるかな
있지 내일은 말할 수 있을까

きっとそのためならわたし
분명 그걸 위해서라면 나는

ちょっとズルいコにだってなりそう
조금 치사해질 것 같아

全身 I miss you 震えだした
전신으로 I miss you 떨리기 시작했어


声を、聴きたい、高鳴る鼓動
목소리를, 듣고 싶어, 빨라지는 고동

待てない、伝えたい…
기다릴 수 없어, 전하고 싶어…

ああ飛び出してしまいそうなんだ
아아, 뛰쳐나가고 말 것만 같아


止まれ この不安よ
이 불안이여, 멈춰라

今頃どんな夢見てるの?
지금쯤 무슨 꿈꾸고 있어?

頭の中はキミだらけ
머릿속은 네 생각뿐

目が合うだけじゃ足りなくって
눈이 맞는 것만은 부족한걸

もっと近づいてみたくって
좀 더 가까워지고 싶은걸

こんなに素直になれるってはじめてかも
이렇게 솔직해질 수 있는 건 처음인 것 같아


届け この思いよ
이 마음이여, 전해져라

夜空はキミへの滑走路
밤하늘은 네게 이어지는 활주로

ハートを揺らすよ キミの声
하트를 흔들어 네 목소리

お願い これ以上 じらさないで
부탁이니 이 이상 애태우지 마

かけ引きなんてできなくって
밀당 따위 할 수 없는걸

今すぐ会いたいよ I'm just crazy for you
지금 당장 만나고 싶어 I'm just crazy for you

今すぐ会いたいよ I'm just crazy for you
지금 당장 만나고 싶어 I'm just crazy for you
}}}}}}}}} ||
4.1.2.3. ED3
ED3 (8~11화)
feel my soul
TV ver.
Full ver.
Original ver.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70A7D,#ddd> 노래 코마리 치카 (CV. 테라사와 모모카)
작사 YUI
작곡
편곡 무라타 유이치(村田祐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70A7D,#ddd> 콘티 아오세 키이로(青瀬きいろ)
연출
수채화 채색
촬영
작화 아오세 키이로
마에다 메구미(前田芽美)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泣き疲れてたんだ 問いかける場所もなく
우느라 지쳤어 물어볼 곳도 없이

迷いながら つまずいても 立ち止まれない
망설이며 괴로워도 멈출 수 없어


君がくれた笑顔 落とした涙は
네가 준 미소, 흘린 눈물은

僕の胸の 深い傷に 触れて消えた
내 가슴 속 깊은 상처에 닿아 사라졌어


I feel my soul Take me your way そうたったひとつを
I feel my soul Take me your way 그래 겨우 하나를

きっと誰もが ずっと探しているの
분명 누구나 계속 찾고 있는 거야


それは偶然ではなくて 偽りの愛なんかじゃなくて
그건 우연이 아닌 거짓 사랑 따위가 아닌

You're right, all right

You're right, all right Scare little boy


何度も繰り返す どうか行かないで
몇 번이고 반복해 제발 가지 말아줘

ささやくような 君の声は 愛しくて
속삭이는 듯한 네 목소리는 사랑스러워서


I feel my soul Take me your way もう振り向かない
I feel my soul Take me your way 더는 뒤돌아보지 않을래

きっとこの手で いま確かめたいよ
꼭 이 손으로 당장 확인하고 싶어


いつも単純なほど 苦しんで 生きてゆく意味を知りたいから
언제나 단순한 만큼 괴로워하고 살아갈 의미를 알고 싶으니까

You're right, all right

You're right, all right Scare little boy


そっとつぶやいた君の言葉 you say it
살짝 중얼거렸던 너의 말 you say it

動き出せ 見えないけど 道は開かれてる
움직여봐 보이지 않지만 길은 열려 있어


I feel my soul Take me your way そうもがきながらも
I feel my soul Take me your way 그래 발버둥 치면서도

きっとこのまま ずっと歩いてゆける
분명 이대로 쭉 걸어나갈 수 있을 거야


それは偶然でもなくって ありふれた夢なんかじゃなくって
그건 우연도 아닌 흔해빠진 꿈 따위가 아닌

You're right, all right You're right, all right


いつも単純なほど苦しんで喜びの意味を知りたいから
언제나 단순한 만큼 괴로워하고 기쁨의 의미를 알고 싶으니까

You're right, all right

You're right, all right Scare little boy
}}}}}}}}} ||
영상은 수채화 전문 일러스트레이터, 애니메이터 아오세 키이로(青瀬きいろ)가 제작했다. 전부 손 채색이다. #메이킹 영상
파일:패로인 11화 엔딩 정지.png

8~10화와 11화의 영상이 조금 다르다. 10화까지는 코마리의 뒷모습을 비추며 영상이 끝나지만 11화에서는 돌아서 있던 코마리가 뒤를 힐끗 보더니 뒤돌아 활짝 웃으며 마무리된다.

4.2. 앨범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
패로인 응원! 커버송 컬렉션
파일:패로인 웅원! 커버송 컬렉션 표지 1.jpg 파일:패로인 웅원! 커버송 컬렉션 표지 2.jpg 파일:패로인 웅원! 커버송 컬렉션 표지 3.jpg
{{{#!wiki style="margin: -16px -11px" 순서 곡명
<colbgcolor=#ffffff,#1c1d1f> 1 LOVE 2000
야나미 안나 (CV. 토오노 히카루)
2 CRAZY FOR YOU
야키시오 레몬 (CV. 와카야마 시온)
3 feel my soul
코마리 치카 (CV. 테라사와 모모카)
4 リルラ リルハ
(리루라 리루하)
야나미 안나 (CV. 토오노 히카루)
5 BREEEEZE GIRL
야키시오 레몬 (CV. 와카야마 시온)
6 明日も
(내일도)
코마리 치카 (CV. 테라사와 모모카)
7 最上級にかわいいの!
(최상급으로 귀여워!)
야나미 안나 (CV. 토오노 히카루), 야키시오 레몬 (CV. 와카야마 시온), 코마리 치카 (CV. 테라사와 모모카)
-BONUS TRACK-
8 プレパレード
(프레파라트)
누쿠미즈 카즈히코 (CV. 우메다 슈이치로), 누쿠미즈 카쥬 (CV. 타나카 미나미)
}}}
발매 결정 CM

보너스 트랙으로는 토라도라!의 첫 번째 오프닝인 프레파레트가 수록되었다.[9]

4.3. OST

https://www.youtube.com/playlist?app=desktop&list=PL4X_vepnHm9ZWvTBU3yDynOuGHT_cMsKI
Vol. 1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4X_vepnHm9bg743g5kNo7Bq4elIqmKzJ
Vol. 2

5. 회차 목록

  • 전화 각본: 요코타니 마사히로
  • 대부분의 제목은 원작의 목차 중 분량에 해당하는 소제목이 그대로 쓰인 것이다.
  • 최종화는 원작자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오리지널 에피소드이다. 제목은 원작의 신인상 응모 시절 제목이다.
<rowcolor=#070A7D,#ddd> 회차 제목[10]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プロ幼馴染み八奈見杏菜の負けっぷり
프로 소꿉친구 야나미 안나의 패배 방식
키타무라 쇼타로 키타무라 쇼타로 카와카미 테츠야 - 선행: 2024.06.30.
日/韓:
2024.07.14.
제2화 約束された敗北を君に
약속된 패배를 너에게
와타나베 유키
(渡辺有紀)
사이토 준이치
(斉藤準一)
야코 히로시
카와카미 테츠야 선행: 2024.06.30.
日/韓:
2024.07.21.
제3화[11] 戦う前から負けている
싸우기 전에 패배했다
우시지마 신이치로 유키히로 코마오
(幸博コマヲ)
고다 히로아키 - 日/韓:
2024.07.28.
제4화 負けヒロインを覗く時、
負けヒロインもまたあなたを覗いているのだ
패배 히로인을 들여다볼 때
패배 히로인도 역시 당신을 들여다본다
키타무라 쇼타로 토비타 츠요시
(飛田 剛)
타케다 아카네
(竹田 茜)
미우라 타쿠미츠
(三浦琢光)
카와카미 테츠야 日/韓:
2024.08.04.
제5화[12] 朝雲千早は惑わせる
아사구모 치하야는 헷갈리게 한다
오하라 마사카즈 코노 아야코 타키야마 마사아키
아이네 코우
모기 신이치
(茂木眞一)
日/韓:
2024.08.11.
제6화 振られたことのない者だけが、
負けヒロインに石を投げなさい
차인 적 없는 사람만이
패배 히로인에게 돌을 던져라
와타나베 유키
나카니시 모토키
(中西基樹)
와타나베 유키
아메가에루
(雨蛙)
요시다 와카코
(吉田和香子)
야마자키 코헤이
(山崎浩平)
시게쿠니 히로코
(重國浩子)
스즈키 리사
(鈴木理彩)
이와사키 레이나
(岩崎令奈)
이시카와 토모미
(石川智美)
日/韓:
2024.08.18.
제7화 ハッピーエンドの向こう側
해피 엔딩의 애프터
키타무라 쇼타로 시미즈 타케히로
(清水雄大)
야마자키 코헤이
스루키 사오리
(摺木沙織)
시요키 코지
(晶貴孝二)
日/韓:
2024.08.25.
제8화 おこまりでしたらコンサルに
곤란하실 땐 컨설턴트에게
토마리 코키
(渡真利晃喜)
사이토 준이치
야코 히로시
스루키 사오리
日/韓:
2024.09.01
제9화[13] 先生は天井の染みかなんかだと思って、
続きをどうぞ
선생님은 천장의 얼룩이라 생각하고
계속해 주시죠
오이카와 케이 유키히로 코마오 하리바 유코
(針場裕子)
야마자키 코헤이
니이 마나부
日/韓:
2024.09.08
제10화 さようならには早すぎる
헤어지기엔 너무 이르다
무라카미 타츠야 토비타 츠요시 이와사키 레이나
하시구치 하야토
(橋口隼人)
코바야시 마리나
(小林茉利奈)
요시다 와카코
야마모토 유미코 日/韓:
2024.09.15.
제11화 結果責任についての話をしようか
무과실책임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키타무라 쇼타로 무라세 키이치로
(村瀬貴一郎)
카와기시 카즈키
(川岸和樹)
미우라 타쿠미츠
타케다 아카네
스루키 사오리
니이 마나부
카와카미 테츠야 日/韓:
2024.09.22.
최종화[원안][15] 俺はひょっとして、
最終話で負けヒロインの横にいる
ポッと出のモブキャラなのだろうか
어쩌면 난
마지막화에서 패배 히로인 곁에 있는
애송이 단역 캐릭터인가
스도 아키히토 스도 아키히토
키타무라 쇼타로
사이토 하루카
(齋藤 悠)
시요키 코지
스즈키 리사
고다 히로아키
주하오란
야코 히로시
오오쿠보 코타로
(大久保洸太郎)
하리바 유코
이시카와 토모미
日: 2024.09.29.
韓: 2024.10.02.

6.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00a0ff><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3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4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5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6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7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8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9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0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1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7. 방송국 일람

방송국 일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20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70A7D,#ddd> 방영기간 방영시각 방송국 방송지역 비고
2024. 07. 14. ~ (일) / 00:30 TOKYO MX 일본 도쿄도 지역 최속 방송국
군마 TV 일본 군마 현 지역
도치기 TV 일본 도치기 현 지역
BS11 일본 전역
(일) / 01:25 주쿄테레비 일본 주쿄 광역권 지역
2024. 07. 16. ~ (화) / 01:59 요미우리 테레비 일본 간사이 광역권 지역
(화) / 20:00 AT-X 일본 전역
}}}}}}}}}
한국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ffffff,#1c1d1f><rowcolor=#070A7D,#ddd><width=1000> 방영기간 ||<width=15%> 방영시각 ||<width=20%> 방송국 ||<width=10%> 비고 ||
2024. 07. 14 ~ (일) / 02:00 애니박스 최속 방송국

}}} ||

8. 에피소드 가이드 & 원작과의 차이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애니메이션/에피소드 가이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애니메이션/에피소드 가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애니메이션/에피소드 가이드#TVA 1기|TVA 1기]][[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애니메이션/에피소드 가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해외 공개

  • 영미권에서는 크런치롤에서 수입하여 영어 더빙으로도 방영한다. # 더빙 디렉터는 헬레나 월스트롬 (Helena Walstrom).
  • 동남아시아에서는 Aniplus Asia에서 수입하여 방영한다. #

9.1. 대한민국

2024년 05월 24일, 애니박스에서 7월 동시방영작으로 공개되었다.[16] #

번역은 서명주. 군(君), 상(さん)과 같은 호칭은 애니메이션 자막에서 번역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요비스테에 관한 에피소드가 나오는 3화는 편하게 대하라는 식으로 얼렁뚱땅 넘어가서 살짝 어색해졌다. 야키시오가 누쿠미즈를 눗군이라고 부르는 점은 그대로 번역했다.

10.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애니메이션/평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애니메이션/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애니메이션/평가#TVA 1기|TVA 1기]][[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애니메이션/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흥행

애니화가 결정되고 1화를 방영하기 전까지만 해도 그렇게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방영이 시작되고 폭발적으로 주목도가 증가한 3분기의 다크호스로 평가받는다.

5화 방영이 끝난 이후에 북워커 라노베 일간 랭킹 1~7위를 석권하는 등 애니 방영 효과가 잘 드러나고 있다. 월간 랭킹에서도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 신간을 제외하면 아래 2~8위를 원작 1~7권이 차지하였다. 아마존 랭킹도 전권 상위권을 석권하였다.

원작이 애니화전에 그렇게 인기가 있던 편이 아니라 종이책 매물이 없어서 살 수 없었다는 제보가 많다. 이미 애니화 직전과 직후에 한 번씩 증쇄를 거듭했으나 명절 때문에 작업이 늦어져서 9월 초에나 된다고 한다. 애니 방영과 함께 출간된 코믹스 3권은 재증쇄에 들어갔다. # 원작의 2차 증쇄본이 나오기도 전에 3차 전권 증쇄가 결정되었다. # 국내에서도 애니메이션 흥행효과에 힘입어 정발본의 품절사태가 일어나고 있다.

6화 방영 후에는 블루레이 전권이 아마존 랭킹 상위권을 석권하는 등 블루레이 판매량도 좋게 나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d아니메스토어 일일 종합 랭킹에서는 1화부터 5화까지 동분기 도망을 잘 치는 도련님에 밀려 2위를 기록했으나 6화를 기점으로 첫 1위를 차지했다. #

7월의 원작 전자 매출이 전월 대비 10배를 넘었다고 한다. #

8월의 전자 매출은 6월 대비 25배를 넘었다고 한다. 2024년 8월의 가가가 문고의 수익의 82%가 이 작품에서 나왔으며 회사 역대 최고 월간 실적이라고 한다. #

BD/DVD 1권 초동[17]은 4,564장(BD 4,224장+DVD 340장)을 기록했으며 2주차에 BD 653장을 더 팔아 5,217장을 기록했다.

12. Blu-ray & DVD

Blu-ray & DVD
제1권 제2권 제3권
파일:패로인 블루레이 1권 재킷.jpg 파일:패로인 블루레이 2권 재킷.jpg 파일:패로인 블루레이 3권 재킷.jpg
발매일: 2024년 9월 25일(수)
수록 화수: 제1화 ~ 제2화
발매일: 2024년 10월 30일(수)
수록 화수: 제3화 ~ 제4화
발매일: 2024년 11월 27일(수)
수록 화수: 제5화 ~ 제6화
제4권 제5권 제6권
파일:패로인 블루레이 4권 재킷.jpg 파일:패로인 블루레이 5권 재킷.jpg 파일:패로인 블루레이 6권 재킷.jpg
발매일: 2024년 12월 25일(수)
수록 화수: 제7화 ~ 제8화
발매일: 2025년 1월 29일(수)
수록 화수: 제9화 ~ 제10화
발매일: 2025년 2월 26일(수)
수록 화수: 제11화 ~ 제12화
발매 결정 CM

13. 무대탐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무대탐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무대탐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무대탐방#|]][[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무대탐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비주얼 보드

상당히 초기 단계에서 작업을 시작해서 '키타무라 감독이 지향하는 화면의 방향성을 조기에 구체화하여 각 섹션에 공유하기 위해' 비주얼 보드를 제작했다고 한다.
파일:오오타니 아오이 비주얼 보드.jpg 파일:오오타니 아오이 비주얼 보드 초기_1.jpg 파일:오오타니 아오이 비주얼 보드 초기.jpg 파일:오오타니 아오이 비주얼 보드 초기_2.jpg
<rowcolor=#070A7D,#ddd> 오오타니 아오이[18]
파일:아리하라 케이고 비주얼 보드.jpg 파일:아리하라 케이고 비주얼 보드 가을.jpg
<rowcolor=#070A7D,#ddd> 여름 가을
<rowcolor=#070A7D,#ddd> 아리하라 케이고
  • 화수 별
    • 1화
      파일:오오타니 아오이 비주얼 보드 1화.jpg

      <rowcolor=#070A7D,#ddd> 오오타니 아오이
    • 3화
      파일:오오타니 아오이 비주얼 보드 3화.jpg

      <rowcolor=#070A7D,#ddd> 오오타니 아오이
    • 6화
      파일:아리하라 케이고 비주얼 보드 6화_1.jpg

      파일:아리하라 케이고 비주얼 보드 6화_2.jpg

      파일:아리하라 케이고 비주얼 보드 6화_3.jpg

      <rowcolor=#070A7D,#ddd> 아리하라 케이고

15. 기타

  • 원작의 편집자 이와아사 켄타로(岩浅健太郎)에 따르면 애니메이션화 이야기는 1권 출간 전부터 나왔다고 한다. 그 이야기로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논호이파크 콜라보, JR도카이 콜라보 등 토요하시시 지역과의 여러 콜라보를 통해 애니화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한다. #
    • 히가시아이치 신문 인터뷰에 따르면 인터뷰가 게시된 2024년 7월 18일 기준, 약 2년 전[19]리코리스 리코일 프로듀서인 진구지 마나부(神宮司 学) 프로듀서가 이미기무루가 일러스트를 담당하는 본작의 애니메이션화 제안을 먼저 꺼냈으며, 실제로 읽어보니 내용이 좋고 캐릭터들이 귀엽게 그려져 있어 애니메이션화를 진행하게 되었다고 한다.
    • '1권 출간 전부터 애니화 이야기가 돌았다'라는 말이 왜곡되어서 '공모전 수상작을 1권 출간 전부터 애니화하기로 기획했다'라는 소문이 나돌기도 하는데 위 인터뷰에서 알 수 있듯 사실이 아니다. '이미기무루의 리코리스 리코일이 공전의 히트를 쳐서 그대로 본작의 애니화까지 이어졌다'는 소문은 정확한 시기는 고지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인지 알 수 없다.
  •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 애니메이션과 인연이 깊다. 애니메이션 오퍼를 받았을 때 이와아사 켄타로에게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의 작가인 미야자키 유가 "학전도시 애니메이션에 대해서는 좋은 기억밖에 없다", "꼭 애니플렉스×A-1으로 가야 합니다."라고 한 것이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20] #
    • 또한 학전도시에서 제작 데스크를 맡은 키쿠치 유이치로는 학전도시의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카와카미 테츠야에게 본인이 프로듀서가 되면 캐릭터 디자이너로 참가해달라고 부탁했고, 프로듀서 데뷔는 카구야 님 2기로 했으나 협업은 약 9년 뒤 본작에 애니메이션 프로듀서로 참가함으로써 실현되었다. #
  • Snow Man사쿠마 다이스케가 퀄리티가 높다, 관심 있는 작품이었다며 기대된다는 말과 함께 리트윗하기도 했다. # 이후에도 방영일에 트위터 실황을 달리는 등 관심을 보이다가 2024년 8월 13일, 애니플렉스에서 진행하는 라디오「ANIPLEX presents ANIME 컨시어지」에 게스트로 참가했다.
  • 2024년 6월 30일, 토요하시 선행 상영회의 특별 게스트로 토요하시 시장 아사이 요시타카(浅井由祟)가 출연했다. #

[1] 제작위원회 구성업체: 애니플렉스, BS11, TOKYO MX, 요미우리 테레비, 굿스마일 컴퍼니, 콘텐츠 시드, JR 도카이 에이전시[2] 논텔롭 버전
파일:패로인애니화결정비주얼 논텔롭.jpg
[3] 한글 버전
파일:패로인 애니화 기념 비주얼 한글.jpg
[4] 논텔롭 버전
파일:패로인 애니 캐릭터 비주얼 논텔롭.jpg
[5] 논텔롭 버전
파일:패로인 애니 메인 비주얼c.jpg
[6] 한글 버전
파일: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 한글 키비주얼.jpg
[7] 셀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촬영대가 없어(기계 생산은 오래 전에 단종되었으며 스튜디오 지브리 등 극히 일부 제작사에만 남아있다.) 디지털 카메라를 위에 매달은 촬영대를 직접 만들어서 작품을 만드는 인물이다.[8] 24년 1분기 장송의 프리렌2쿨 ED 영상에서 멀티플레인(マルチプレーン)이라고 하는 셀 애니메이션의 촬영 방법과 동일한 기법을 사용한 적이 있다.[9]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카와카미 테츠야가 토라도라! 첫 번째 오프닝 애니메이션의 원화를 그리기도 했었다.[10]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박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1] 원화 마에다 타츠유키(前田達之), Kay Yu. 오오쿠보 슌스케, 카이 야스유키, 츠못키(つもっき) 등.[12] 원화 타키야마 마사아키, magho, Niii, WEB계 애니메이터 등.[13] 히메미야 카렌 가슴 코디네이터 토리이 타카후미.[원안] 원안 담당: 원작자 아마모리 타키비.[15] 원화 Zayd GHASSAN, ump, 오오타니 아오이, Kay Yu, 츠못키 등.[16] A-1 Pictures 작품 중 대원방송이 수입한 애니는 2016년판 역전재판이 마지막이라 이례적이라는 평.[17] 첫주 판매량[18] 왼쪽 위를 제외한 나머지는 방향성이 정해지지 않았을 때의 초기 비주얼 보드이다.[19] 원작 3권이 나왔을 무렵이다.[20] 이와아사 켄타로는 MF문고J에서 학전도시의 편집자를 담당했으나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고 가가가 문고로 이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