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TT 서비스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ext-align: center;" | [[대한민국| | ||||
[[미국| | ||||
[[일본| | ||||
[[프랑스| | ||||
| 스포츠 중계 서비스 | |||||
| 그 외는 OTT 문서 참조. | }}}}}}}}} | ||||
| <colbgcolor=#eb5528><colcolor=#fff> dアニメストア d아니메스토어 | |
| | |
| 개설 | 2012년 7월 3일 ([age(2012-07-03)]년) |
| 종류 | OTT |
| 국가 | |
| 언어 | 일본어 |
| 회원가입 | 필수 |
| 링크 | |
1. 개요
일본의 NTT 도코모에서 운영하는 애니메이션 전문 월정액 OTT 서비스.2. 상세
가입 시에 휴대전화 인증을 요구하기 때문에 일본 외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하며, 결제도 오직 개인 명의로 되어있는 일본 내의 데빗카드나 신용카드로만 가능하다. 해외에서 시청하려면 VPN을 거쳐야 하는 것도 기본. 다른 기기에서의 동시 시청은 불가능하며, 탈옥이나 루팅된 기기에서는 시청이 불가능하다.NTT 도코모에서 운영하는 서비스이지만 상표권은 통신부문 경쟁사인 KDDI가 소유하고 있다.[1] 이 때문에 각종 기사에서는 'd아니메스토어는 주식회사KDDI의 등록상표입니다.' 라는 문구를 볼 수 있다.
사실 최대 720 해상도로 서비스하고 있었으며 2022년 6월 전까지 1080 지원을 안 했으며 화면에 워터마크까지 박아서 화질을 추구하는 영상 매니아에겐 썩 좋은 서비스라고 볼 수 없었으나 압도적으로 싼 월정액 가격과 많은 작품 확보로 경쟁력을 확보해[2] 일본에선 이용자가 많은 OTT이다. 한국에서는 애니메이션 팬들이 라프텔을 주로 이용한다면 일본에서는 d아니메 스토어 이용자가 많다. 오죽하면 여기서 서비스 안 하는 애니는 화제도 되기 힘들 정도이다. 접근성이 크게 낮아지고 보기 불편해지기 때문에 그냥 안 보고 말아버리는 것.
이렇게 입지가 압도적이라 d아니메 스토어는 특별히 자금을 투자해 독점 애니를 유치하지 않는다. 알아서 이곳에 서비스하는 애니메이션이 많으니 할 필요가 없는 것. 반대로 여기에 없는 다른 OTT 독점 애니메이션은 독점 계약을 한 대신 제작비의 대부분을 지불받은 작품들이 많다. 이런 작품들은 화제는 안 되지만 제작사 입장에선 망하지는 않게 된다. 하지만 d아니메 스토어에 애니를 안 걸면 화제성은 크게 손해보니 많은 프로듀서가 두 선택을 두고 골머리를 썩는다고.
3. 역사
- 2012년 7월: 자사 콘텐츠 마켓인 d마켓의 아니메스토어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 2013년 1월: 자사 브랜드 명칭 통일로 인해 d아니메스토어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2014년 4월: 도코모 이외 유저의 가입 및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졌다.
- 2015년 7월: 회원수가 200만명을 돌파했다.
- 2017년 12월: niconico 내 니코니코 채널에 '니코니코 지점'이 개설되었다.
- 2018년 7월: 프라임 비디오 채널에 'd애니메스토어 for Prime Video' 채널이 개설되었다.
4. 지점
d아니메스토어는 특이하게 타사 서비스 내의 채널 형태로 다른 사이트 내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해당 서비스에 가입한 뒤 옵션으로 d아니메 스토어에 가입하는 것으로 추가 요금을 더 내야한다.사용자들은 원 서비스를 본가로, 다른 사이트 내의 서비스를 지점으로 부르고 있으며, 이 문단 내에서도 편의상 원 서비스를 본가, 해당 서비스를 지점이라고 서술한다.
모든 작품을 지점에서 볼 수 있는건 아니고, 사이트/서비스 별로 볼 수 있는 작품은 차이가 있다. 기능상의 차이도 존재해, 1080 해상도를 니코니코 지부에서는 2021년 후반에 가서야 지원하기 시작했다.
당연하지만 본가와 지점은 별도 서비스이므로, 본가에서 월정액 서비스에 가입했더라도 지점을 무료로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신 본가에서 해외 가입이 원천봉쇄되어 있는 데에 반해 지점들은 해외 가입에 제한이 없으며 결제도 니코니코는 페이팔로, 아마존은 해외 신용카드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4.1. d아니메스토어 니코니코 지점
2017년 12월 1일에 서비스 개시. 본가와 다른 점은 niconico의 댓글과 함께 애니를 볼 수 있다는 점인데, 특유의 댓글문화에 익숙한 경우 장점이 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스포일러 댓글을 같이 볼 수도 있기 때문에 (댓글 비표시 기능이 있긴 하지만) 큰 단점이 될 수 있다.이 밖에도 니코니코 일반 회원의 화질제한은 채널 가입자도 예외는 아니라서, 사실상 제대로 된 1080p화질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프리미엄 회원 가입이 필요한 관계로 이중과금이 필요하다.
본가가 4000작품을 제공하는 것에 비해 니코니코 지점에서는 3500작품만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명 애니메이션 중에서는 주문은 토끼입니까? 1, 2기를 니코니코 지부에서 볼 수 없다.
4.2. d아니메스토어 for Prime Video
2018년 7월에 서비스 개시. 본가와 다른 점은 다른 기기에서의 동시 시청이 가능하며 PS4등의 게임기에서도 시청이 가능하다는 점[3]이다.본가가 4000작품을 제공하는 것에 비해 프라임 비디오 지점에서는 3800작품만을 제공하고 있다.
이쪽은 옛날부터 1080 해상도를 지원하고 워터 마크가 없어 화질 면에서는 더 좋으나 서비스하는 작품 수가 본가와 니코니코 지점보다 훨씬 적다. 본가도 1080을 지원하게 되면서 사실상 이용 가치가 없다는 평.
타 OTT 서비스와 다르게 애니메이션 작품과 일부 성우 관련 콘텐츠, 소위 2.5차원이라 불리는 뮤지컬만을 서비스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주요 콘텐츠는 단연 애니메이션인데, 2021년 기준으로 4000작품이 넘는 애니메이션 작품을 제공하고 있다.
5. 타 서비스와 비교
2021년 기준 일본 OTT 시장 점유율(매출)에서 8위를 차지하고 있다. 1위 넷플릭스(23.1%), 2위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12.0%), 3위 U-NEXT(11.5%), 4위 DAZN(9.8%) 5위 Hulu(8.0%), 6위 디즈니 플러스(6.0%), 7위 dTV(5.4%), 8위 d아니메스토어(4.4%), 9위 TELASA(2.8%), 10위 Paravi(2.6%), 11위 ABEMA 프리미엄(2.5%)이다.##| <rowcolor=#000,#fff> 일본의 OTT 정리 (2025년 6월 24일) 출처: # | |||||
| <rowcolor=#fff,#000> OTT | 월 요금 | 특징 | |||
| 넷플릭스 | 광고형: 890엔 프리미엄: 2,290엔 | 세계 최대 OTT 독점 오리지널 작품이 강점 | |||
| 프라임 비디오 | P: 600엔 P학생플랜: 300엔 한류채널: 550엔 ● 프라임은 30일, 한류채널은 14일 무료 학생은 전부 6개월 무료 | 독보적으로 저렴한 요금이 강점 온라인 쇼핑 배송 서비스인 아마존 프라임 회원이면 무료 이용 가능 | |||
| 한류채널 | |||||
| U-NEXT | 2,189엔 ● 31일 무료, 600엔 분의 포인트 제공 | HBO 맥스 독점 및 일본 최대 OTT 브랜드 1,200엔 상당 전자 서적 스토어 이용 포인트 제공 한류 아티스트의 음악 라이브, 버라이어티, 무대 동영상, 한국 드라마, 한국 아이돌 등 한국 관련 콘텐츠 다수 보유 | |||
| 디즈니+ | Hulu: 1,026엔 디즈니 스탠다드: 1,140엔 Hulu 디즈니 스탠다드: 1,690엔 디즈니 프리미엄: 1,390엔 Hulu 디즈니 프리미엄: 1,990엔 A디즈니 광고형: 1,470엔 A디즈니 광고형 프리미엄: 1,790엔 A디즈니: 1,690엔 A디즈니 프리미엄: 1,990엔 ● 디즈니만 연간 플랜일 경우 2개월분 무료 | 디즈니, 픽사, 스타워즈, 마블,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유일한 OTT | |||
| Hulu | 닛폰 테레비 계열로 MLB 등의 스포츠 실시간 중계 국내외 뉴스 실시간 송출 | ||||
| ABEMA 프리미엄 | 24시간 뉴스, 드라마, TV쇼가 방영되는 아베마TV와 함께 이용 가능 | ||||
| 광고형: 580엔 프리미엄: 1,080엔 | |||||
| WATCHA | 스탠다드: 869엔 프리미엄: 1,320엔 ● 31일 무료 | 왓챠피디아와 연계한 AI 추천 기능 한국·독일·프랑스 작품 및 예술 영화 작품 수가 많은 OTT | |||
| Lemino | L: 990엔 d: 550엔 ● 31일 무료 | 한국 드라마와 버라이어티가 충실 | |||
| d아니메스토어 | 신작 애니메이션을 빠르게 편성 | ||||
| Apple TV+ | 900엔 ● 7일 무료 | 24시간 뉴스, 드라마, TV쇼가 방영되는 아베마TV와 함께 이용 가능 | |||
| FOD 프리미엄 | 976엔 | 후지 테레비 계열, 프리미엄 경제 웹진 등 제공 동시 시청 절대 불가 | |||
| TELASA | 618엔 ● au 가입자 31일 무료 | 테레비 아사히 콘텐츠 독점 | |||
| KBS World JAPAN | 1100엔 | KBS 계열, KBS 콘텐츠 무제한 | |||
| music.jp | 500: 550엔 · 1000: 1,100엔 · 1780: 1,958엔 ● 30일 무료 | 한 달 간만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제공 음악·동영상·만화·서적 등을 즐길 수 있는 종합 서비스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STREAM 유료팩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fff> 채널!온디맨드 | J:COM 가입자 한정 무료 | 쥬피터 케이블이 운영하는 온디맨드 유료팩 | ||
| 디스커버리 100 | 1100엔 | ||||
| KBS World 셀렉트 | 1100엔 | ||||
| NHK 온디맨드: 통째로 무제한 팩 | 990엔 | ||||
| 어른의 셀렉트: V☆PARADISE · 에로스 · 엔터테인먼트 | 1100엔 | ||||
| WOWOW 플러스 셀렉트 | 1100엔 | ||||
| 영화 · 채널 NECO 시네마 셀렉트 | 1100엔 | ||||
| CNNj | 1100엔 | ||||
| 성인 뷔페 120! ! | 2750엔 | 성인물 OTT | |||
| PLAYBOY CHANNEL 셀렉트 | 1100엔 | ||||
| milplus | 990엔(NHK 온 디맨드) | 일본 여러 지역 케이블 방송이 컨소시엄 형태로 운영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