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0 15:35:33

d아니메스토어


OTT 서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ext-align: cente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올웨이즈 로고2.png
파일:비플릭스 로고 투명.png파일:비플릭스 로고_white.png
파일:쿠팡플레이 로고 라이트.png파일:쿠팡플레이 로고 다크.png
파일:콜렉티오 로고.png파일:콜렉티오 로고_white.png
파일:도라마코리아 로고.png
파일:EBS Play+ 로고.png파일:EBS Play+ 화이트 로고.png
파일:이모션캐슬_시네마.svg
파일:헤븐리로고.png
파일:hellolivep.png
파일:JBOX 로고 라이트모드.svg파일:JBOX 로고 다크모드.svg
파일:카카오TV 로고.svg파일:카카오TV 로고 옐로우.svg
파일:KBS 플러스 로고.webp
파일:라프텔 로고.svg
파일:MOA 스트리밍 로고.svg
파일:네이버TV 로고.svg파일:네이버TV 로고 화이트.svg
파일:삼성 TV 플러스 로고 가로형.png파일:삼성 TV 플러스 로고 가로형 화이트.png
파일:TVING 로고.svg
파일:U+모바일tv 로고.svg파일:U+모바일tv 로고 화이트.svg
파일:왓챠 로고.svg
파일:wavve 로고.svg파일:wavve 로고 화이트.svg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AMC+ 로고 블랙.svg파일:AMC+ 로고 화이트.svg
파일:Apple TV+ 로고.svg파일:Apple TV+ 로고 화이트.svg
파일:엔젤 스튜디오.png파일:Binge 로고 화이트.svg
파일:크런치롤 로고.svg
파일:Discovery Plus logo.png
파일:디즈니+ 로고.svg파일:디즈니+ 로고 화이트.svg
파일:판다고 앳홈.png
파일:HBO Max 로고.png파일:HBO Max 화이트 로고.png
파일:Hulu 로고.svg
파일:Kocowa_logo_01.png파일:kocowa_logo.svg
파일:MGM+ 로고.png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파일:파라마운트+ 워드마크.svg파일:파라마운트+ 워드마크 화이트.svg
파일:Peacock 로고.svg파일:peacock 로고 화이트.svg
파일:하이다이브 로고.png
파일:Amazon_Prime_logo_(2024).png파일:Amazon_Prime_logo_(2024).png
파일:rakuten viki logo.svg
파일:Roku 로고.svg파일:Roku 로고 화이트.svg
파일:Sling_TV_logo.svg.png
파일:Spectrum logo.svg파일:Spectrum 로고 화이트.svg
파일:telemundo_logo.png
파일:Tubi_logo_2024_black.svg파일:Tubi_logo_2024_mint.svg
파일:WOW Presents Plus 로고.svg파일:WOW Presents Plus 로고 화이트.png
파일:유튜브 프리미엄 로고.svg파일:유튜브 프리미엄 로고 화이트.svg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홍콩, 마카오)
파일:IQIYI_logo_(2022).png
파일:Le.com_로고.png
파일:망고TV 로고.svg파일:망고TV 로고 화이트.svg
파일:텐센트 비디오 2023 로고.svg파일:텐센트 비디오 2023 로고 화이트.svg
파일:Viu 로고.svg
파일:요우쿠 2024 로고.svg파일:요우쿠 2024 로고 화이트.svg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ABEMA 로고.svg파일:ABEMA 로고 화이트.svg
파일:DMM TV 로고.png파일:DMM TV 로고 화이트.png
파일:dアニメストア.png
파일:FOD 로고.svg
파일:Hulu(일본) 로고.svg
파일:Lemino 로고.svg
파일:NHK+ 로고.svg파일:NHK+ 로고 화이트.svg
파일:1920px-Rakuten_TV_logo.svg.png
파일:TELASA 로고.svg
파일:TVer 로고.svg파일:TVer 로고 화이트.svg
파일:U-NEXT 로고.svg파일:U-NEXT 로고 화이트.svg
파일:왓챠 로고.svg
파일:아마존-한류채널.png
파일:ふらっと動画 로고.png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애니메이션 디지털 네트워크 로고.svg파일:adn_logo_white.svg
파일:Arte_Logo_2017.png
파일:카날+ 로고.svg
파일:프랑스 텔레비지옹 로고(2022).svg
파일:La TV Orange.png
파일:Lionsgate+.svg.png파일:라이언스게이트+ 로고.png
파일:M6+_(2024).svg
파일:Mondial TV.png
파일:mycanal-logo.png
파일:OCS_logo.png
스포츠 중계 서비스
파일:쿠팡플레이 로고 라이트.png파일:쿠팡플레이 로고 다크.png
파일:ESPN+ 로고.svg파일:ESPN+ 로고 화이트.svg
파일:FIFA+로고.png파일:FIFA+ 로고 화이트.png
파일:NBA League Pass 로고.svg
파일:파라마운트+ 워드마크.svg파일:파라마운트+ 워드마크 화이트.svg
파일:SOOP 로고.svg파일:SOOP 로고(화이트).svg
파일:SPOTV NOW 로고.svg파일:SPOTV NOW 로고 화이트.svg
파일:TVING 로고.svg
파일:MLB.TV 로고.svg
파일:치지직 로고.svg
그 외는 OTT 문서 참조.
}}}}}}}}}
<colbgcolor=#eb5528><colcolor=#fff> dアニメストア
d아니메스토어
파일:danimestore-logo.png
개설 2012년 7월 3일 ([age(2012-07-03)]년)
종류 OTT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언어 일본어
회원가입 필수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역사4. 지점
4.1. d아니메스토어 니코니코 지점4.2. d아니메스토어 for Prime Video
5. 타 서비스와 비교

1. 개요

일본NTT 도코모에서 운영하는 애니메이션 전문 월정액 OTT 서비스.

2. 상세

가입 시에 휴대전화 인증을 요구하기 때문에 일본 외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하며, 결제도 오직 개인 명의로 되어있는 일본 내의 데빗카드나 신용카드로만 가능하다. 해외에서 시청하려면 VPN을 거쳐야 하는 것도 기본. 다른 기기에서의 동시 시청은 불가능하며, 탈옥이나 루팅된 기기에서는 시청이 불가능하다.

NTT 도코모에서 운영하는 서비스이지만 상표권은 통신부문 경쟁사인 KDDI가 소유하고 있다.[1] 이 때문에 각종 기사에서는 'd아니메스토어는 주식회사KDDI의 등록상표입니다.' 라는 문구를 볼 수 있다.

사실 최대 720 해상도로 서비스하고 있었으며 2022년 6월 전까지 1080 지원을 안 했으며 화면에 워터마크까지 박아서 화질을 추구하는 영상 매니아에겐 썩 좋은 서비스라고 볼 수 없었으나 압도적으로 싼 월정액 가격과 많은 작품 확보로 경쟁력을 확보해[2] 일본에선 이용자가 많은 OTT이다. 한국에서는 애니메이션 팬들이 라프텔을 주로 이용한다면 일본에서는 d아니메 스토어 이용자가 많다. 오죽하면 여기서 서비스 안 하는 애니는 화제도 되기 힘들 정도이다. 접근성이 크게 낮아지고 보기 불편해지기 때문에 그냥 안 보고 말아버리는 것.

이렇게 입지가 압도적이라 d아니메 스토어는 특별히 자금을 투자해 독점 애니를 유치하지 않는다. 알아서 이곳에 서비스하는 애니메이션이 많으니 할 필요가 없는 것. 반대로 여기에 없는 다른 OTT 독점 애니메이션은 독점 계약을 한 대신 제작비의 대부분을 지불받은 작품들이 많다. 이런 작품들은 화제는 안 되지만 제작사 입장에선 망하지는 않게 된다. 하지만 d아니메 스토어에 애니를 안 걸면 화제성은 크게 손해보니 많은 프로듀서가 두 선택을 두고 골머리를 썩는다고.

3. 역사

  • 2012년 7월: 자사 콘텐츠 마켓인 d마켓의 아니메스토어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 2013년 1월: 자사 브랜드 명칭 통일로 인해 d아니메스토어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2014년 4월: 도코모 이외 유저의 가입 및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졌다.
  • 2015년 7월: 회원수가 200만명을 돌파했다.
  • 2017년 12월: niconico 내 니코니코 채널에 '니코니코 지점'이 개설되었다.
  • 2018년 7월: 프라임 비디오 채널에 'd애니메스토어 for Prime Video' 채널이 개설되었다.

4. 지점

d아니메스토어는 특이하게 타사 서비스 내의 채널 형태로 다른 사이트 내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해당 서비스에 가입한 뒤 옵션으로 d아니메 스토어에 가입하는 것으로 추가 요금을 더 내야한다.

사용자들은 원 서비스를 본가로, 다른 사이트 내의 서비스를 지점으로 부르고 있으며, 이 문단 내에서도 편의상 원 서비스를 본가, 해당 서비스를 지점이라고 서술한다.

모든 작품을 지점에서 볼 수 있는건 아니고, 사이트/서비스 별로 볼 수 있는 작품은 차이가 있다. 기능상의 차이도 존재해, 1080 해상도를 니코니코 지부에서는 2021년 후반에 가서야 지원하기 시작했다.

당연하지만 본가와 지점은 별도 서비스이므로, 본가에서 월정액 서비스에 가입했더라도 지점을 무료로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신 본가에서 해외 가입이 원천봉쇄되어 있는 데에 반해 지점들은 해외 가입에 제한이 없으며 결제도 니코니코는 페이팔로, 아마존은 해외 신용카드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4.1. d아니메스토어 니코니코 지점

2017년 12월 1일에 서비스 개시. 본가와 다른 점은 niconico의 댓글과 함께 애니를 볼 수 있다는 점인데, 특유의 댓글문화에 익숙한 경우 장점이 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스포일러 댓글을 같이 볼 수도 있기 때문에 (댓글 비표시 기능이 있긴 하지만) 큰 단점이 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니코니코 일반 회원의 화질제한은 채널 가입자도 예외는 아니라서, 사실상 제대로 된 1080p화질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프리미엄 회원 가입이 필요한 관계로 이중과금이 필요하다.

본가가 4000작품을 제공하는 것에 비해 니코니코 지점에서는 3500작품만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명 애니메이션 중에서는 주문은 토끼입니까? 1, 2기를 니코니코 지부에서 볼 수 없다.

4.2. d아니메스토어 for Prime Video

2018년 7월에 서비스 개시. 본가와 다른 점은 다른 기기에서의 동시 시청이 가능하며 PS4등의 게임기에서도 시청이 가능하다는 점[3]이다.

본가가 4000작품을 제공하는 것에 비해 프라임 비디오 지점에서는 3800작품만을 제공하고 있다.

이쪽은 옛날부터 1080 해상도를 지원하고 워터 마크가 없어 화질 면에서는 더 좋으나 서비스하는 작품 수가 본가와 니코니코 지점보다 훨씬 적다. 본가도 1080을 지원하게 되면서 사실상 이용 가치가 없다는 평.

타 OTT 서비스와 다르게 애니메이션 작품과 일부 성우 관련 콘텐츠, 소위 2.5차원이라 불리는 뮤지컬만을 서비스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주요 콘텐츠는 단연 애니메이션인데, 2021년 기준으로 4000작품이 넘는 애니메이션 작품을 제공하고 있다.

5. 타 서비스와 비교

2021년 기준 일본 OTT 시장 점유율(매출)에서 8위를 차지하고 있다. 1위 넷플릭스(23.1%), 2위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12.0%), 3위 U-NEXT(11.5%), 4위 DAZN(9.8%) 5위 Hulu(8.0%), 6위 디즈니 플러스(6.0%), 7위 dTV(5.4%), 8위 d아니메스토어(4.4%), 9위 TELASA(2.8%), 10위 Paravi(2.6%), 11위 ABEMA 프리미엄(2.5%)이다.##
<rowcolor=#000,#fff> 일본의 OTT 정리
(2025년 6월 24일) 출처: #
<rowcolor=#fff,#000> OTT 월 요금 특징
넷플릭스 광고형: 890엔
프리미엄: 2,290엔
세계 최대 OTT
독점 오리지널 작품이 강점
프라임 비디오 P: 600엔
P학생플랜: 300엔
한류채널: 550엔
● 프라임은 30일, 한류채널은 14일 무료 학생은 전부 6개월 무료
독보적으로 저렴한 요금이 강점
온라인 쇼핑 배송 서비스인 아마존 프라임 회원이면 무료 이용 가능
한류채널
U-NEXT 2,189엔
● 31일 무료, 600엔 분의 포인트 제공
HBO 맥스 독점 및 일본 최대 OTT 브랜드
1,200엔 상당 전자 서적 스토어 이용 포인트 제공
한류 아티스트의 음악 라이브, 버라이어티, 무대 동영상, 한국 드라마, 한국 아이돌 등 한국 관련 콘텐츠 다수 보유
디즈니+ Hulu: 1,026엔
디즈니 스탠다드: 1,140엔
Hulu 디즈니 스탠다드: 1,690엔
디즈니 프리미엄: 1,390엔
Hulu 디즈니 프리미엄: 1,990엔
A디즈니 광고형: 1,470엔
A디즈니 광고형 프리미엄: 1,790엔
A디즈니: 1,690엔
A디즈니 프리미엄: 1,990엔
● 디즈니만 연간 플랜일 경우 2개월분 무료
디즈니, 픽사, 스타워즈, 마블,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유일한 OTT
Hulu 닛폰 테레비 계열로 MLB 등의 스포츠 실시간 중계
국내외 뉴스 실시간 송출
ABEMA 프리미엄 24시간 뉴스, 드라마, TV쇼가 방영되는 아베마TV와 함께 이용 가능
광고형: 580엔
프리미엄: 1,080엔
WATCHA 스탠다드: 869엔
프리미엄: 1,320엔
● 31일 무료
왓챠피디아와 연계한 AI 추천 기능
한국·독일·프랑스 작품 및 예술 영화 작품 수가 많은 OTT
Lemino L: 990엔
d: 550엔
● 31일 무료
한국 드라마와 버라이어티가 충실
d아니메스토어 신작 애니메이션을 빠르게 편성
Apple TV+ 900엔
● 7일 무료
24시간 뉴스, 드라마, TV쇼가 방영되는 아베마TV와 함께 이용 가능
FOD 프리미엄 976엔 후지 테레비 계열, 프리미엄 경제 웹진 등 제공
동시 시청 절대 불가
TELASA 618엔
au 가입자 31일 무료
테레비 아사히 콘텐츠 독점
KBS World JAPAN 1100엔 KBS 계열, KBS 콘텐츠 무제한
music.jp 500: 550엔 · 1000: 1,100엔 · 1780: 1,958엔
● 30일 무료
한 달 간만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제공
음악·동영상·만화·서적 등을 즐길 수 있는 종합 서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STREAM 유료팩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fff> 채널!온디맨드 J:COM 가입자 한정 무료 쥬피터 케이블이 운영하는 온디맨드 유료팩
디스커버리 100 1100엔
KBS World 셀렉트 1100엔
NHK 온디맨드: 통째로 무제한 팩 990엔
어른의 셀렉트: V☆PARADISE · 에로스 · 엔터테인먼트 1100엔
WOWOW 플러스 셀렉트 1100엔
영화 · 채널 NECO 시네마 셀렉트 1100엔
CNNj 1100엔
성인 뷔페 120! ! 2750엔 성인물 OTT
PLAYBOY CHANNEL 셀렉트 1100엔
milplus 990엔(NHK 온 디맨드) 일본 여러 지역 케이블 방송이 컨소시엄 형태로 운영 }}}}}}}}}


[1] D애니메(Dアニメ)는 2009년, d아니메스토어(dアニメストア)는 2014년에 KDDI가 상표등록했다.[2] 넷플릭스와 비교하면 절반도 안 되는 가격에 서비스하는 애니메이션 작품 수는 넷플릭스보다 몇 배는 많다.[3] niconicoNintendo Switch 전용 앱이 있지만 해당 앱에서 유료채널 영상을 시청할 수 없기 때문에 니코니코 지점은 재생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