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브리시오 콜로치니의 역임 직책 | |||||
| {{{#!folding ▼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주장 | ||||
| 케빈 놀란 (2010~2011) | ▶ | 파브리시오 콜로치니 (2011~2016) | ▶ | 자말 라셀스 (2016~2024) | |
| 파브리시오 콜로치니의 수상 이력 | ||||
| {{{#!folding ▼ | 둘러보기 틀 모음 | |||
| 개인 수상 | ||||
| | ||||
| 베스트팀 | ||||
| | | |||
| 아르헨티나의 축구 감독 | ||
| | ||
| <colbgcolor=#eeeeee><colcolor=#000000> 이름 | 파브리시오 콜로치니 Fabricio Coloccini[1] | |
| 출생 | 1982년 1월 22일 ([age(1982-01-22)]세) | |
| 아르헨티나 코르도바 | ||
| 국적 | | | |
| 신체 | 키 184cm / 체중 83kg | |
| 직업 | 축구 선수 (센터백 / 은퇴) 축구 감독 | |
| 소속 | <colbgcolor=#eeeeee><colcolor=#000000> 선수 | CA 보카 주니어스 (1998~1999) AC 밀란 (1999~2004) → CA 산 로렌소 (2000~2001 / 임대) →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2001~2002 / 임대)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02~2003 / 임대) → 비야레알 CF (2003~2004 / 임대)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2004~2008)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2008~2016) CA 산 로렌소 (2016~2021) CA 알도시비 (2021) |
| 감독 | 베네수엘라 U-20 (2022~2023) CD 과달라하라 (2024 / 수석 코치) CA 보카 주니어스 (2024~2025 / 수석 코치) | |
| 국가대표 | 39경기 1골 (아르헨티나 / 2003~2014) | |
1. 개요
아르헨티나의 축구선수 출신 축구코치.스페인과 잉글랜드에서 커리어 대부분을 보냈다. 데포르티보에선 07/08 시즌 돈 발론 평점 9위로 수비수 중엔 다니 알베스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순위에 오른 적이 있다. 뉴캐슬에선 11/12 시즌 프리미어 리그 올해의 팀에 선정되기도 했다. 월드 클래스와 리그 탑 클래스 사이에 있었던 훌륭한 센터백으로 요약할 수 있다.
2. 클럽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브리시오 콜로치니/클럽 경력#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브리시오 콜로치니/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플레이 스타일
데포르티보 시절엔 주로 피지컬을 이용한 수비를 펼쳤는데, 특히 상대 공격수를 압박하는 저돌적인 수비가 돋보였다. 큰 키는 아니지만 제공권도 좋았던 편. 아무래도 프리메라 리가가 피지컬적인 요소가 타 리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기술적, 전술적으로 수비를 하기에 이런 스타일이 잘 먹혔다. 젊은 나이임에도 좋은 활약을 펼치며 수비진의 핵심으로 자리잡았고, 07/08시즌 그 능력이 완벽히 개화해 리그 최고의 수비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그러나 프리미어리그에선 콜로치니 기존의 수비 스타일이 통하지 않았다. 프리미어리그는 타 리그보다 피지컬적인 요소가 매우 크게 작용하며 경기 템포도 매우 빠르다. 라리가에선 수위급 피지컬을 자랑했던 콜로치니였지만 프리미어리그 기준으로는 특출난 수준이 아니었다.[2] 그의 공격적인 수비는 카드 수집에 있어서만 빛을 봤으며, 설상가상으로 민첩한 편이 아니었기에 본인 스타일대로 뛰쳐나갔다가 뒷공간을 헌납하는 등 최악의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결국 프랑스 2부리그 출신인 바송에게 밀리며 벤치에서 시즌을 마무리했다. 뉴캐슬 입장에서는 기껏 3B 해체했더니 또다른 자동문이 들어온 셈. 결국 뉴캐슬의 2부리그 강등에 혁혁한 공을 세웠다.
08/09 시즌만 보면 사실상 잉글랜드 무대에서의 커리어는 끝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클래스가 있는 수비수답게 플레이스타일을 수정하며 화려하게 부활에 성공했다. 미리 공의 경로를 예측한 후에 몸을 날리거나 태클을 시도하는 등 지능적인 수비를 펼치기 시작하며 허무하게 기회를 헌납하거나 카드를 받는 빈도가 크게 줄어들었고, 수비 조율 능력 또한 엄청나게 성장했다. 심각한 단점이었던 과하게 전진적인 포지셔닝 또한 자연히 개선되어 자동문 신세도 빠르게 청산했다. 이렇게 성장한 콜로치니가 수비수 한 자리를 든든하게 채워 주니 뉴캐슬은 새로운 수비 라인을 더 수월하게 구축할 수 있었고, 그 덕에 팀은 1년 만에 1부 리그 복귀에 성공한 후 유럽 대항전까지 진출하는 등 빠르게 반등했다. 콜로치니 또한 수비 실력뿐만 아니라 커맨더로써의 능력 또한 빛나며, EPL 복귀 후에도 수시로 수비수가 갈아치워지는 와중에 수비진을 잘 이끌었다. 그 덕에 11/12 시즌 팀의 주장으로 임명되고 프리미어 리그 베스트 11에도 선정되었으며, 이후에도 수년간 프리미어 리그에서 톱 레벨 센터백으로 자리매김했다. 파이터형 수비수에서 커맨더형 수비수로 변신해서 클래스를 유지한 몇 안 되는 케이스라서, 신체 능력 저하가 꽤 이르게 온 편임에도 본인에게 더 어려운 환경인 프리미어 리그에서 8년을 버틸 수 있었다.
센터백의 공격 가담이 크게 강조되지 않았던 2000년대부터 활약했던 수비수지만 빌드업에도 일가견이 있다. 남미 출신답게 전반적으로 발밑이 좋은 편인데, 후방에서 높은 성공률의 롱패스를 구사하는가 하면 직접 볼을 가지고 전진하기도 한다. 데포르티보 시절에는 강한 압박으로 볼을 탈취한 후 본인이 직접 공을 몰고 가는 모습도 종종 볼 수 있었으나, 뉴캐슬 시절에는 패스 위주의 빌드업에 주력하여 팀 내 패스 성공률 2위를 기록하는 등 후방 빌드업과 롱패스 측면에서 더 돋보였다.
리더십 또한 뛰어나 일찍이 아르헨티나 청소년 대표팀에서 주장으로 팀을 이끌며 U-20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고, 뉴캐슬에서도 11/12 시즌부터 5년간 팀의 주장을 맡았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 CA 보카 주니어스 (1998~1999)
- 프리메라 디비시온: 1998 A, 1999 C
- 비야레알 CF (2003~2004)
- UEFA 인터토토컵: 2003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2008~2016)
- 풋볼 리그 챔피언십: 2009-10
- 아르헨티나 U-23
- 올림픽 금메달: 2004
-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준우승: 2004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준우승: 2005
4.2. 개인 수상
- PFA 올해의 팀: 2009-10[챔피언십], 2011-12[프리미어리그]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올해의 선수: 2010-11
- 노스이스트 FWA 올해의 선수: 2011
5. 여담
- 성실하고 헌신적인 플레이로 거치는 팀마다 팬들에게서 많은 사랑을 받았다. 특히나 유난스러운 뉴캐슬 팬들마저도 콜로치니에 대한 지지는 절대적이며, 09-10 시즌 만들어진 콜로치니 전용 응원가가 유명하다. 유명 팝송 Can't Take My Eyes off You를 개사한 곡으로 가사는 다음과 같다.
Oh Coloccini, you are the love of my life. (오 콜로치니, 내 인생 최고의 사랑!)
Oh Coloccini, I'd let you shag my wife. (오 콜로치니, 내 마누라도 빌려줄 수 있다네.)[5]
Oh Coloccini, I want curly hair too. (오 콜로치니, 나도 곱슬머리 갖고 싶어.)
Oh Coloccini, I'd let you shag my wife. (오 콜로치니, 내 마누라도 빌려줄 수 있다네.)[5]
Oh Coloccini, I want curly hair too. (오 콜로치니, 나도 곱슬머리 갖고 싶어.)
6. 같이 보기
| 1 아본단시에리 · 2 아얄라 · 3 소린 ⓒ · 4 콜로치니 · 5 캄비아소 · 6 에인세 · 7 사비올라 · 8 마스체라노 · 9 크레스포 10 리켈메 · 11 테베스 · 12 프랑코 · 13 스칼로니 · 14 팔라시오 · 15 밀리토 · 16 아이마르 · 17 쿠프레 18 M. 로드리게스 · 19 메시 · 20 J. 크루스 · 21 부르디소 · 22 L. 곤잘레스 · 23 우스타리 |
| |
[1] /faˈβɾisjo koloˈtʃini/. 스페인어에서 외래어 또는 차용어로 여겨지는 이름의 cc는 어원에 따라 발음된다. 선수의 성인 Coloccini는 이탈리아어식 성이며 이탈리아어에서 cc는 e, i 앞에서 /tˈtʃ/로, a, o, u 또는 자음 앞에서 /kˈk/로 발음된다.[2] 비슷한 예로 뉴캐슬을 거쳤던 시스코 히메네스, 호셀루 등이 있다. 둘 다 라리가에선 피지컬 좋은 공격수로 평가받았지만 프리미어 리그에선 평균적인 피지컬에 불과했다. 알베르트 루케 또한 라리가에선 상당히 다부진 윙어였는데 프리미어리그에선 오히려 왜소한 축에 속했다.[챔피언십] [프리미어리그] [5] 그 EPL의 챈트이니만큼 이건 적절히 순화한 거고, 실제로는 내 마누라랑 떡쳐도 된다는 적나라한 표현이다.
분류
- 코르도바(아르헨티나) 출신 인물
- 1982년 출생
- 1998년 데뷔
- 2021년 은퇴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수비수
- CA 보카 주니어스/은퇴, 이적
- AC 밀란/은퇴, 이적
- 데포르티보 알라베스/은퇴, 이적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은퇴, 이적
- 비야레알 CF/은퇴, 이적
-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은퇴, 이적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
- CA 산 로렌소/은퇴, 이적
- CA 알도시비/은퇴, 이적
- 아르헨티나의 남자 축구 선수
- 2006 FIFA 월드컵 독일 참가 선수
- 2004 코파 아메리카 페루 참가 선수
- 2005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독일 참가 선수
- 2004 아테네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2004 아테네 올림픽 메달리스트
- 아르헨티나의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
- 2001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아르헨티나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