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cd30><colcolor=#000> 러시아의 파벨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Великий князь Па́ве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 |
| |
이름 | 파벨 알렉산드로비치 로마노프 (Паве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Романов) |
출생 | 1860년 10월 3일 |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 |
사망 | 1919년 1월 28일 (향년 58세)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페트로그라드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 | |
가문 |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가문 |
아버지 | 알렉산드르 2세 |
어머니 | 헤센의 마리 공녀 |
형제자매 | 알렉산드라, 니콜라이, 알렉산드르 3세, 블라디미르, 알렉세이, 마리야, 세르게이 |
배우자 | 그리스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 (1889년 결혼 / 1891년 사별) |
올가 발레리아노브나 카르노비치 (1902년 결혼) | |
자녀 | 마리야, 드미트리, 블라디미르, 이리나, 나탈리아 |
종교 | 러시아 정교회 |
[clearfix]
1. 개요
로마노프 왕조의 일원으로 러시아 차르 알렉산드르 2세와 헤센의 마리 공녀의 6남이다2. 생애
1860년 황제의 막내로 태어나, 가족에게 사랑을 받고 자랐다. 어머니인 황후가 결핵 때문에 요양을 다녀서 어릴때는 다름슈타트와 프랑스 남부에서 지냈다. 또한 본인도 원래부터 건강이 좋지않아, 이리저리 요양을 많이 다녔는데 의사의 권고로 1887년 그리스로 요양을 갔다가, 사촌이자 그리스의 왕비인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의 딸, 알렉산드라와 더 가까워졌다.결국 1889년 알렉산드라와 결혼하였다. 두 사람의 결혼 생활을 행복했으나, 알렉산드라가 1891년 둘째를 조산하고 6일만에 사망하고 말았다. 그는 상심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궁전을 떠나 황가의 별궁이 있는 차르스코예 셀로에서 살았다.
1895년 이미 세 아이를 둔 대위의 아내 올가 카르노비치와 불륜을 했고, 1897년에 아들까지 보았다. 귀천상혼이라서 황제를 비롯한 친척들이 결혼에 반대하는 바람에, 해외를 전전했고 1902년 올가의 이혼이 완료되자 이탈리아에서 결혼했다. 결국 차르의 허락없이 귀천상혼을 했기때문에 러시아에서 공식적으로 추방되었고 재산이 압류되었으며, 마리야, 드미트리는 그의 형제인 세르게이 대공이 후원자로 지명되었다.[1] 파벨은 프랑스 불로뉴쉬르메르에 정착했고, 두 딸이 차례로 태어났다. 이후 파벨은 결혼식이나 장례식이 있을때만 러시아 입국이 허용될 뿐이었다.
1912년 결국 니콜라이 2세는 파벨의 작위와 특권을 회복하고, 두 번째 결혼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했기에 1914년 파벨 가족은 차르스코예 셀로로 돌아왔다. 1915년 차르는 올가에게 팔레이 여공 작위를 주었고 모든 자녀들이 귀족으로 인정되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군주제가 무너지고 볼셰비키가 집권하자 궁전이 약탈당하고 체포되어 일시 구금되기도 했으며, 재산이 압류되었다. 1918년 봄 결국 로마노프 가문의 사람들은 러시아 각지로 보내지기 시작했다. 여름에는 아들인 블라디미르가 알라파옙스크에서 이미 목숨을 잃은 상황이었다. 그도 8월에 결국 체포되어 다른 대공들과 함께 수용되었다가 건강 문제로 인해 병원으로 옮겨지곤 했다.
1919년 1월 28일, 결국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에서,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의 장남인 니콜라이, 3남인 게오르기와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의 3남인 드미트리 와 함께 요새 안의 도랑 앞에서 총살당했다. 이미 쇠약해진 파벨은 들것에 누운 채로 총을 맞았다고도 한다. 유해는 요새 내의 임시로 판 공동무덤에 남겨져 소실되었다.
1981년 해외 러시아 정교회에서 순교자로 시성되었으며, 1999년 러시아에서 복권되었다.
3. 가족 관계
3.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파벨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Paul Alexandrovich of Russia) | <colbgcolor=#fff3e4,#331c00> 알렉산드르 2세 (Alexander II) | <colbgcolor=#ffffe4,#323300> 니콜라이 1세 (Nicholas I) | |
파벨 1세 (Paul I) | |||
뷔르템베르크의 조피 도로테아 공녀 (Duchess Sophie Dorothea of Württemburg) | |||
프로이센의 샤를로테 공주 (Princess Charlotte of Prussia) |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Frederick William III) |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제 여공작 (Duchess Louise of Mecklenburg-Strelitz) | |||
헤센의 마리 공녀 (Princess Marie of Hesse and by Rhine) | |||
헤센 대공국 대공 루트비히 2세 (Louis II, Grand Duke of Hesse and by Rhine) | |||
헤센 대공국 대공 루트비히 1세 (Louis I, Grand Duke of Hesse and by Rhine) | |||
헤센다름슈타트의 루이제 공녀 (Princess Louise of Hesse-Darmstadt) | |||
바덴의 빌헬미네 공녀 (Princess Wilhelmine of Baden) | |||
바덴의 대공세자 카를 루트비히 (Charles Louis, Hereditary Prince of Baden) | |||
헤센다름슈타트의 아말리 공녀 (Princess Amalie of Hesse-Darmstadt) |
3.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그리스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 (Princess Alexandra of Greece and Denmark) | ||||
1녀 | 마리야 파블로브나 여대공 (Grand Duchess Maria Pavlovna) | 1890년 4월 18일 | 1958년 12월 13일 | 슬하 1남 |
슬하 1남 | ||||
1남 | 드미트리 파블로비치 대공 (Grand Duke Dmitri Pavlovich) | 1891년 9월 18일 | 1942년 3월 5일 | 오드리 에머리 슬하 1남 |
팔레이 여공 올가 (Princess Olga Valerianovna Paley) | ||||
2남 | 블라디미르 파블로비치 팔레이 공자 (Prince Vladimir Pavlovich Paley) | 1897년 1월 9일 | 1918년 7월 18일 | |
2녀 | 이리나 파블로브나 팔레이 공녀 (Princess Irina Pavlovna Paley) | 1903년 12월 21일 | 1990년 12월 15일 | 슬하 1남 |
위베르 드 몽브리슨 백작 [5] 슬하 1녀 | ||||
3녀 | 나탈리아 파블로브나 팔레이 공녀 (Princess Natalia Pavlovna Paley) | 1905년 12월 5일 | 1981년 12월 27일 | |
존 C. 윌슨 [7] |
4. 여담
[1] 세르게이 대공 부부는 자녀가 없는 상황이었다.[2] 1908년 결혼, 1914년 이혼[3] 1917년 결혼, 1923년 이혼[4] 1923년 결혼, 1936년 이혼,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의 차남이다.[5] 1950년 결혼[6] 1927년 결혼, 1937년 이혼.[7] 1937년 결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