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오를리발 | CDGVAL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 Ligne 8 du métro de Paris Paris Metro Line 8 파리 지하철 8호선 | }}} | |
<nopad> | ||||
RATP MF 77형 전동차 | ||||
노선도 | ||||
| ||||
노선 정보 | ||||
분류 | 지하철 | |||
기점 | 발라르 | |||
종점 | 푸앵트뒤락 | |||
역 수 | 38 | |||
노선기호 | 8 | |||
노선번호 | 8호선 | |||
개업일 | 1913년 7월 13일 | |||
소유자 | 파리 | |||
운영자 | RATP | |||
차량기지 | 배속: Javel AMT L.8 차량기지, Créteil AMT L.8차량기지 중검수: Saint-Ouen AMT L.4, AMP et AME 차량기지 | |||
사용차량 | RATP MF 77형 전동차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23.4 km | |||
궤간 | 1435mm 표준궤 | |||
선로구성 | 전구간 복선 | |||
사용전류 | 직류 750V 제3궤조 집전식 | |||
최고속도 | 70km/h |
1. 개요
파리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파리 지하철 8호선 (Paris Metro Line 8)은 남서쪽의 파리 15구(15e arrondissement de Paris) 발라르(Balard)역에서 남동쪽의 발드마른(Val-de-Marne) 주 크레테유(Créteil) 푸앵트뒤락(Pointe du Lac)역까지 잇는 총영업거리 23.4㎞의 노선이다. 이 노선의 노선색은 연보라색.2. 역사
- 1913년 7월 13일 오페라(Opéra)역에서 보그르넬(Beaugrenelle)역을 잇는 8호선이 개통함.
- 1928년 6월 30일 노선이 오페라(Opéra)역에서 리슐리외 – 드루오(Richelieu – Drouot)역까지 북쪽으로 연장됨.
- 1937년 7월 27일 라 모트-피케(La Motte-Picquet)역에서 포르트 도뙤이(Porte d'Auteuil)역 사이의 운행계통이 10호선으로 이관되었으며, 8호선이 라 모트-피케(La Motte-Picquet)역에서 발라르(Balard)역까지 연장됨.
- 1939년 9월 2일 다른 많은 역들이 그랬던 것과 같이,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생 마르탱(Saint-Martin)역[2]과 샹 드 마르스(Champ de Mars)역[3]이 폐쇄되었으며, 결국 폐역처리 되었음.
- 1972년 4월 27일 노선이 메종 알포르 – 스타드(Maisons-Alfort – Stade)역에서 메종 알포르 – 레쥘리오트(Maisons-Alfort – Les Juilliottes)역까지로 연장됨.
- 1973년 9월 24일 노선이 메종 알포르 – 레쥘리오트(Maisons-Alfort – Les Juilliottes)역에서 크레테유 – 레샤(Créteil – L'Échat)역까지 남동쪽으로 연장됨.
3. 특징
이 노선은 매 해 평균 1억 550만명의 승객을 나르며 이 수치는 파리 지하철 중 수송여객인원 수 8위에 해당한다. 파리 시내의 남서쪽과 남동쪽의 주거 중심지를 파리 중심인 1,2,5구로 직선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특히 오페라, 콩코르드, 마들렌, 스트라스부르 - 생드니, 레퓌블리크와 바스티유와 같이 중심 환승역을 지나며, 파리 내부에서도 환승수요가 많은 노선인 파리 지하철 1호선, 파리 지하철 3호선, 파리 지하철 4호선, 파리 지하철 9호선, 그리고 파리 지하철 14호선을 외곽 순환선의 역할을 하는 파리 지하철 2호선을 거치지 않고도 파리 중심부에서 단거리로, 또 유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크레테유(Créteil)와 같이 파리 외곽 베드타운을 파리 시내와 단거리로 연결해주는 광역철도의 역할 또한 담당하고 있어, 8호선이 멈추면 그 날로, 다른 노선의 지옥도는 불 보듯 뻔하다고 할 수 있다. 매 해 평균 이송객수는 8위에 불과하지만, 이 노선이 없다면, 파리의 광역 교통망은 1호선이 멈추는 것과는 다른 느낌으로 마비될 것이 뻔한 노선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다.또한 이 노선에서 운행하는 RATP MF 77형 전동차는 파리 지하철 7호선의 그것과 같은 오래된 전동차이다. 자세한 내용은 파리 지하철 7호선문서를 참고하기를 바란다.
파리 여행을 하다보면 생각보다 자주 이용하게 될 노선이다. 특히 남서부의 8호선 연선지역은, 한국인 밀집지역이기도 하고 에펠탑이 있어서 에펠탑을 보고 파리 시내로 들어가고자 할 때 8호선 만큼 빠르게 시내를 연결해주는 노선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물론 파리 지하철 13호선이 있긴 하지만 애매하게 에펠탑을 빗겨가기에 8호선이 가장 이용하기 적합한 노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라모트피케 – 그르넬(La Motte-Picquet – Grenelle)역 이남지역은 파리 시내의 많은 호스텔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며, 치안이 상당히 괜찮은 지역이기 때문에, 파리를 여행하는 여행자라면 꼭 한번 타게 될 노선이라고 할 수 있다.
4. 의의
10호선과 함께 파리 남서부지역과 남동부지역을 연결하지만, 10호선은 주로 세느강 좌안(Rive gauche, 리브 고슈)의 교통량 분담을 담당하지만 8호선은 세느강 좌안(Rive gauche, 리브 고슈)와 우안(Rive droit, 리브 드루아)를 연결하여, 파리 남서부와 남동부 주민들이 파리 시내로 들어갈 수 있는 최단거리를 제공해준다. 또한 12호선과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8호선은 오페라(Opéra)역으로, 12호선은 오스만-생라자르(Haussmann Saint-Lazare)역으로 향한다. 두 역은 너댓블록 정도 떨어져 있지만, 도보로 10분 내외가 걸려, 실제로도, 노선 정비계획이 있을 때, 두 노선을 동시에 운행중단시키는 경우는 드물다. 즉 8호선 은 파리 서부의 남북 교통망을 구성하며, 각 노선과의 유기적인 연관관계를 통해, 한 노선에 몰릴 수 잇는 이동수요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또한 파리 중심부에서는 리슐리외 – 드루오(Richelieu – Drouot)역에서부터 레퓌블리크(République)역까지 9호선과 병주하며, 파리 1구 이북의 동서 연결수요를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이 연선에서 스트라스부르 – 생드니(Strasbourg – Saint-Denis)역에서 파리 남북 연결 수요를 고밀도 수용을 통해 담당하며 파리 교통망의 핵심 종축을 담당하는 4호선과 만나 파리 시민들의 교통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두 점이 8호선의 설계 당시에 부여된 주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더불어 시간이 지나며 파리의 교외화가 진행되어 특징에서 앞서 언급하였듯이, 8호선은 크레테유(Créteil)지역으로 접속하는 유일한 파리 지하철로써, 광역철도로서의 기능을 RER D선과 함께 분담하고 있다. 즉 8호선은 파리 시내의 주요한 교통망의 혼잡을 방지하고 수송량을 분담하는 역할을 하며, 간선기능 뿐만 아니라, 지선 기능, 광역 교통망 구축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노선임을 알 수 있다.
5. 노선
역명 | 환승 노선 | 비고 | |
발라르 | Balard | ② 파리 트램 2호선 ③a 파리 트램 3a선 | |
루르멜 | Lourmel | ||
부시코 | Boucicaut | ||
펠릭스 포르 | Félix Faure | ||
코메르스 | Commerce | ||
라모트피케 – 그르넬 | La Motte-Picquet – Grenelle | ● 6호선 ● 10호선 | |
에콜밀리테르 | École Militaire | ||
라투르모부르 | La Tour-Maubourg | ||
앵발리드 | Invalides | ● 13호선 Ⓒ RER C선 | |
콩코르드 | Concorde | ● 1호선 ● 12호선 | |
마들렌 | Madeleine | ● 12호선 ● 14호선 | |
오페라 | Opéra | ● 3호선 ● 7호선 Ⓐ RER A선 Ⓔ RER E선 | |
리슐리외 – 드루오 | Richelieu – Drouot | ● 9호선 | |
그랑불르바르 | Grands Boulevards | 9호선 역이 존재하고 환승가능 | |
본누벨 | Bonne-Nouvelle | 9호선 역이 존재하고 환승가능 | |
스트라스부르 – 생드니 | Strasbourg – Saint-Denis | ● 4호선 ● 9호선 | |
레퓌블리크 | République | ● 3호선 ● 5호선 ● 9호선 ● 11호선 | |
피유 뒤 칼베르 | Filles du Calvaire | ||
생세바스티앙 – 프루아사르 | Saint-Sébastien – Froissart | ||
슈맹베르 | Chemin Vert | ||
바스티유 | Bastille | ● 1호선 ● 5호선 | |
르드뤼롤랭 | Ledru-Rollin | ||
페데르브 – 샬리니 | Faidherbe – Chaligny | ||
뢰이-디드로 | Reuilly – Diderot | ● 1호선 | |
몽갈레 | Montgallet | ||
도메닐 | Daumesnil | ● 6호선 | [4] |
미셸 비조 | Michel Bizot | ||
포르트도레 | Porte Dorée | ③a 파리 트램 3a선 | |
포르트드샤렁통 | Porte de Charenton | ③a 파리 트램 3a선 | |
리베르테 | Liberté | ||
샤렁통 – 에콜 | Charenton – Écoles | ||
에콜베테리네르드메종알포르 | École vétérinaire de Maisons-Alfort | ||
메종알포르 – 스타드 | Maisons-Alfort – Stade | ||
메종알포르 – 레쥘리오트 | Maisons-Alfort – Les Juilliottes | ||
크레테유 – 레샤 | Créteil – L'Échat | ||
크레테유 – 위니베르시테 | Créteil – Université | ||
크레테유 – 프레펙튀르 | Créteil – Préfecture | ||
푸앵트뒤락 | Pointe du Lac |
[1] 포르트 도뙤이(Porte d'Auteuil)역은 현재 10호선 역[2] 생 마르탱(Saint-Martin)역은 현재 스트라스부르 – 생 드니(Strasbourg – Saint-Denis)역과 레퓌블리크(République)역 사이에 있는 유령역임[3] 샹 드 마르스(Champ de Mars)역은 현재 라모트피케 – 그르넬(La Motte-Picquet – Grenelle)역과 에콜 밀리테르(École Militaire)역 사이에 있는 유령역임[4] 2024년 만우절에 2024 파리 올림픽을 기념해 역명이 일시적으로 '태권도역'으로 바뀌었다. 공식 X에서는 '차렷 경례'드립을 치기까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