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미개통) |
오를리발 | CDGVAL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 Ligne 9 du métro de Paris Paris Metro Line 9 파리 지하철 9호선 | }}} | |
<nopad> | ||||
RATP MF 01형 전동차 | ||||
노선도 | ||||
| ||||
노선 정보 | ||||
분류 | 지하철 | |||
기점 | 퐁드세브르 역 | |||
종점 | 메리드몽뢰이 역 | |||
역 수 | 37 | |||
노선기호 | 9 | |||
노선번호 | 9호선 | |||
개업일 | 1922년 11월 8일 | |||
소유자 | 파리 | |||
운영자 | RATP | |||
차량기지 | 배속:Boulogne AMT L.9 차량기지 중검수:Choisy AMT L.7 et AMP차량기지 | |||
사용차량 | RATP MF 67형 전동차 RATP MF 01형 전동차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9.6 km | |||
궤간 | 1435mm 표준궤 | |||
선로구성 | 전구간 복선 | |||
사용전류 | 직류 750V 제3궤조 집전식 | |||
최고속도 | 70km/h |
1. 개요
파리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파리 지하철 9호선 (Paris Metro Line 9)은 서쪽의 오드센(Hauts-de-Seine) 주 불로뉴비양쿠르(Boulogne-Billancourt) 퐁 드 세브르(Pont de Sèvres) 역에서 동쪽의 센생드니(Seine-Saint-Denis) 주 몽뢰이(Montreuil) 메리 드 몽뢰이(Mairie de Montreuil) 역까지 동서로 잇는 영업거리 19.6㎞의 노선이다. 이 노선의 노선색은 황녹색.2. 역사
- 1939년 9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인해 생 마르탱(Saint-Martin)역의 운행이 중단됨. 운행이 재개되었던 많은 다른 역들과는 다르게, 생 마르탱(Saint-Martin)역은 스트라스부르 – 생드니(Strasbourg – Saint-Denis)역과의 근접성[2]으로 인해 운행이 재개되지 않게 됨.
- 2013년 10월 21일 노선 전동차의 RATP MF 67형 전동차에서 RATP MF 01형 전동차로의 점진적인 교체가 시작됨
3. 특징
이 노선은 매 해 평균 1억 1,988만명을 수송하며 2010년 기준으로 파리의 지하철 중 3위에 해당하는 연평균 수송인원 수를 자랑한다. 본래 이 노선은 현재 6호선인 과거 2 Sud 선의 지선으로 건축되기로 가시화 되었었다. 하지만, 그 노선이 오페라(Opéra)역을 향해 건설되어야 한다는 결론이 RATP의 전신인 파리 광역 철도 회사 CMP(Compagnie du chemin de fer métropolitain de Paris)에 의해 나게 되면서 노선을 9호선으로 독립시켜 건설하게 되었다.이 노선을 파리 시내에서 세느강 우안(Rive droit, 리브 드루아)만을 통과하는 4개의 노선인 2호선, 3호선, 9호선, 11호선 중 하나로, 특히 시내에서 3호선과 함께 이동수요를 횡축으로 담당하는 중요한 노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광역철도의 기능도 담당하고 있어서, 탑승하게 되면 생각보다 사람이 많이 탑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가 되면..... 사람이 너무 많아서 열차를 몇 개 보내고 타는 경우도 종종 있을 정도이다.
이 노선은 기본적으로 심도가 깊은 축에 속한다. 기존에 건설된 지하철 하부로 건설을 한 경우가 많고, 언덕이 있는 지역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스트라스부르 – 생드니(Strasbourg – Saint-Denis)역과 레퓌블리크(République), 쇼세당탱 – 라파예트(Chaussée d'Antin – La Fayette), 아브르 – 코마르탱(Havre – Caumartin)역이 전자에 해당되고, 트로카데로(Trocadéro)역에서부터 자스맹(Jasmin)역 주변 연선이 후자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4. 의의
앞서 말했듯 세느강 우안(Rive droit, 리브 드루아)만을 통과하는 4개의 노선 중 하나이지만, 광역철도의 기능에 조금 더 충실한 역할을 하는 노선이라고 할 수 있다. 애초에 설계 당시에, 기존 버스 교통에 의존하던 불로뉴 - 비양쿠르(Boulogne-Billancourt)지역의 시민들이 트로카데로(Trocadéro)역에서 환승하여 6호선(2 Sud 선)을 타고 시내로 들어오려는 수요가 많아서 시내로 직접적으로 들어오는 철도교통을 상정하여 만든 노선이었기 때문에, 불로뉴 - 비양쿠르(Boulogne-Billancourt)지역의 광역교통 수요를 충실히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파리 중심부에서는 8호선과 병주하며 수요를 공유하고 있으며, 파리 서부에서 명실상부 파리의 도심이라고 불릴 만 한 오페라 가(Av. de l'Opéra)로 가장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노선이다. 파리 서부에서 6호선, 10호선과의 환승으로 세느강 좌안(Rive gauche, 리브 고슈)로의 접근성도 용이한 편일 뿐더러, 도심에서 1호선과 2호선의 공간적 간극을 충실히 메우며 도심을 가로지르기 때문에, 도심의 횡축 교통수요 분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노선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도심에서는 8호선과 함께 3호선의 보조노선으로 충실히 기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파리 동부에서는 이 점이 더욱 명확해지는데, 기존에 3호선이 갈리에니(Gallieni)역에서 멈춰 11호선이 지나는 레 릴라(Les Lilas)지역과 1호선이 지나는 뱅센(Vincennes) 지역 간의 거대한 광역교통망 음영지역이 형성되는데, 이를 충실히 보조하고, 몽뢰이(Montreuil)지역의 광역 교통 수요를 충실히 흡수하여 도심으로 최단거리 경로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파리 시내의 동부 요충지인 나시옹(Nation)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파리 동부지역의 교통망에서 3호선의 약점을 보완하고, 철도교통의 음영지대에 있는 시민들에게 교통편의를 제공해주는 중요한 노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파리 지하철 내에서 연평균 수송인원이 3위에 해당하는 높은 수치인 것을 본다면 광역교통수요를 충실히 분담하고, 시내에서도 다양한 교통 중심지를 단거리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노선임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여행객들에게도 정말로 중요한 노선인 것이, 에펠탑을 전망하기에 가장 좋은 곳인 사이요 궁(Palais de Chaillot)이 있는 트로카데로(Trocadéro)역, 여행객들이 파리에 올 때 한 번은 탄다는 파리 유람선인 바토 무슈(Bateaux-Mouches) 선착장이 있는 알마 – 마르소(Alma – Marceau)역, 샹젤리제 거리 가운데에 위치한 프랑클랑 데 루즈벨트(Franklin D. Roosevelt)역, 노르망디(Normandie) 지역의 루앙(Rouen), 르 아브르(Le Havre), 캉(Caen), 세르부르(Cherbourg-en-Cotentin)방면으로 갈 수 있는 일반열차의 종착역인 파리 생 라자르역으로의 간접 환승이 가능한 생토귀스탱(Saint-Augustin)역, 오페라 갸르니에(Opéra Garnier)와 라파예트 백화점(Galeries Lafayette)로 갈 수 있는 쇼세당탱 – 라파예트(Chaussée d'Antin – La Fayette)역, 아케이드 상점가가 유명한 그랑불르바르(Grands Boulevards)역, 바(Bar)나 술집이 많은 레퓌블리크(République)역, 파리 동부의 교통 중심지인 나시옹(Nation)역 등을 지나기 때문에 파리에 온 여행객이라면, 이 노선을 타지 않을 리가 없다고 과장하자면 말 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이렇게 파리 지하철 9호선은 파리 시민들과 외곽에 거주하는 시민들에게도, 파리로 여행을 온 여행객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1호선, 4호선, 2호선, 6호선에 버금가는 중요도를 가진, 파리라는 도시에 생명력을 부여해주는 중요한 노선이라고 할 수 있다.
5. 노선
역명 | 환승 노선 | 비고 | |
퐁드세브르 | Pont de Sèvres | ② 파리 트램 2호선 | |
비양쿠르 | Billancourt | ||
마르셀 상바 | Marcel Sembat | ||
포르트 드 생 클루 | Porte de Saint-Cloud | ||
엑셀망스 | Exelmans | ||
미셸 랑주 – 몰리토르 | Michel-Ange – Molitor | ● 10호선 | |
미셸 랑주 – 오퇴이 | Michel-Ange – Auteuil | ● 10호선 | |
자스맹 | Jasmin | ||
라늘라그 | Ranelagh | ||
라 뮈엣 | La Muette | Ⓒ RER C선 | |
뤼 들 라 퐁프 | Rue de la Pompe | Ⓒ RER C선 | |
트로카데로 | Trocadéro | ● 6호선 | |
이에나 | Iéna | ||
알마 – 마르소 | Alma – Marceau | Ⓒ RER C선 | |
프랑클랑 데 루즈벨트 | Franklin D. Roosevelt | ● 1호선 | |
생 필립 뒤 룰 | Saint-Philippe-du-Roule | ||
미로메닐 | Miromesnil | ● 13호선 | |
생토귀스탱 | Saint-Augustin | ● 3호선 ● 12호선 ● 13호선 ● 14호선 Ⓔ RER E선 Ⓙ 트랑지리엥 J선 Ⓛ 트랑지리엥 L선 TER 오트-노르망디 | 3, 12, 13, 14호선 생 라자르역 환승 |
아브르 – 코마르탱 | Havre – Caumartin | ● 3호선 Ⓐ RER A선 Ⓔ RER E선 | A선은 오베르역, E선은 오스만 생 라자르역 환승 |
쇼세당탱 – 라파예트 | Chaussée d'Antin – La Fayette | ● 7호선 | |
리슐리외 – 드루오 | Richelieu – Drouot | ● 8호선 | |
그랑불르바르 | Grands Boulevards | 8호선 역이 존재하지만 환승 불가 | |
본 누벨 | Bonne Nouvelle | 8호선 역이 존재하지만 환승 불가 | |
스트라스부르 – 생드니 | Strasbourg – Saint-Denis | ● 4호선 ● 8호선 | |
레퓌블리크 | République | ● 3호선 ● 5호선 ● 8호선 ● 11호선 | |
오베르캉프 | Oberkampf | ● 5호선 | |
생 탕브루아즈 | Saint-Ambroise | ||
볼테르 | Voltaire | ||
샤론 | Charonne | ||
뤼 데 불레 | Rue des Boulets | ||
나시옹 | Nation | ● 1호선 ● 2호선 ● 6호선 Ⓐ RER A선 | |
뷔장발 | Buzenval | ||
마레셰 | Maraîchers | ||
포르트 드 몽뢰이 | Porte de Montreuil | ③b 파리 트램 3b선 | |
로베스피에르 | Robespierre | ||
크루아 드 샤보 | Croix de Chavaux | ||
매리 드 몽뢰이 | Mairie de Montreui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