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00:06:38

트레버 로저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df4601,#df4601>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df4601,#df4601><colcolor=#ffffff> 투수 <colcolor=#df4601,#fd5a1e> 19 스가노 · 24 에플린IL-60 · 28 로저스 · 30 로드리게스IL-60 · 37 포비치40인 · 38 브래디시 · 45 에이킨 · 49 수아레즈IL-15 · 50 가르시아 · 57 스트로드 · 59 맥더못IL-15 · 60 셀비 · 62 더빈IL-15 · 63 IL-60 · 64 크레머 · 66 카스티요 · 68 웰스 · 71 엔스PL · 72 에스파다40인 · 74 바티스타IL-60 · 76 히랄도 · 78 카노 · 83 랙스데일 · 86 울프럼 · # 워커40인
포수 29 바사요 · 35 러치맨 · 70 A.잭슨 · 98 핸들리40인 · 99 산체스IL-60
내야수 2 헨더슨 · 3 마테오 · 6 마운트캐슬 · 7 홀리데이 · 11 웨스트버그 · 16 마요 · 41 노다40인 · 52 바스케스40인 · 82 J.잭슨
외야수 9 오닐 · 12 비버스 · 13 커스태드40인 · 15 칼슨 · 17 카우저 · 56 존슨40인
'''''' 파일:미국 국기.svg 토니 만소리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로빈슨 치리노스 파일:미국 국기.svg 코디 애시 파일:미국 국기.svg 토미 조셉 · 파일:미국 국기.svg 셔먼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드류 프렌치 파일:미국 국기.svg 미치 플래스메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앤서니 샌더스 · 파일:미국 국기.svg 벅 브리튼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킬멕 파일:미국 국기.svg 그랜트 앤더스 파일:미국 국기.svg 벤 카하트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조엘 폴랑코 파일:미국 국기.svg 존 메이브리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노폭 타이즈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28번
카일 스타워스
(2023~2024)
트레버 로저스
(2024~)
현역
파일:오리올스트레버로저스.jpg
<colbgcolor=#df4601><colcolor=#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No.28
트레버 로저스
Trevor Rogers
본명 트레버 제이대니얼 로저스
Trevor J'Daniel Rogers
출생 1997년 11월 13일 ([age(1997-11-13)]세)
뉴멕시코 주 칼스배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칼스배드 고등학교
신체 196cm, 98kg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2017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3번, MIA)
소속팀 마이애미 말린스 (2020~2024)
볼티모어 오리올스 (2024~)
계약 Arb 2 / $2,600,000
연봉 2025 / $2,600,000
종교 개신교
1. 개요2. 선수 경력
2.1. 마이애미 말린스
2.1.1. 2020 시즌2.1.2. 2021 시즌2.1.3. 2022 시즌2.1.4. 2023 시즌2.1.5. 2024 시즌
2.2. 볼티모어 오리올스
2.2.1. 2025 시즌
3. 플레이 스타일4. 수상 내역5. 연도별 기록6. 여담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1. 개요

볼티모어 오리올스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마이애미 말린스

파일:Trevor_Rogers_Miami_Marlins.jpg

2.1.1. 2020 시즌

8월 25일 뉴욕 메츠와의 더블헤더 경기에 선발 투수로 데뷔전을 치러 4이닝 1피안타 5사사구 6탈삼진 무실점으로 위력투를 뽐냈고, 비록 승을 챙기지 못했지만 호세 페르난데스가 못 이룬 마이애미의 기둥이 될 재목으로서의 성장을 기대하게 됐다. 다만 이후에는 메이저의 벽을 느꼈는지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1.2. 2021 시즌

작년보다 눈부신 활약을 보여주며 4, 5월에 이달의 신인에 선정됐고, 올스타전 멤버에도 합류하는 기염을 토했다. 팀 전력이 그렇게 강한 편은 아닌지라 생각보다 승은 잘 못 챙기고 있는 중이지만 관리만 잘한다면 내셔널 리그 신인상도 충분히 수상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신인상 투표에서 사실상 신인왕 확정이라는 조나단 인디아에게 밀려 2위에 그치며 신인상 수상은 실패했다.[1] 시즌 중 가정 문제[2]로 인해 오랜 기간 이탈하며 등판하지 못한 영향이 컸다.

2.1.3. 2022 시즌

급격한 피홈런 증가를 겪으며 부진한 시즌을 보냈다.

2.1.4. 2023 시즌

4경기에만 등판한 뒤 부상으로 시즌아웃되었다.

2.1.5. 2024 시즌

21경기 105⅓이닝 2승 9패 ERA 4.53 WHIP 1.528을 기록하며 마이애미의 로테이션을 지키긴 했지만, 패스트볼 구속이 80마일 대를 기록한 날도 나올 만큼 심각한 구위 하락을 겪고 있다.

2.2. 볼티모어 오리올스

2024년 7월 30일, 코너 노비, 카일 스타워스를 상대로 볼티모어로 트레이드되었다.

2.2.1. 2025 시즌

1월 9일, 연봉 조정을 피해 26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무릎 부상으로 5월 말에 합류하였으나 에이스로 각성하여 초토화된 볼티모어 선발진에서 홀로 고군분투 중이다. 8월 2일까지 9경기 4승 2패 56⅓이닝 ERA 1.44 WHIP 0.75를 기록 중이다.

8월 1일 시카고 컵스 원정 경기에서 8이닝 1실점 4피안타 8K 88구 DS를 기록했으나 팀이 영봉패를 당하면서 패전 투수가 됐다. 투구수만 보면 9이닝도 던질 수 있었기에 타선이 터지지 못하여 9회에 나오지도 못하고 끝나면서 완투패를 기록했다.

8월 한달간 컨텐딩 팀 상대만 만났음에도 1실점씩만 매 경기 QS이상을 기록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6경기 4승 1패 42이닝 ERA 1.29 WHIP 0.857 41K를 기록하며 이 달의 투수상을 수상했다.

3. 플레이 스타일

평균 93마일의 포심과 싱커, 그외 체인지업, 슬라이더, 스위퍼를 던지며 준수한 제구력을 바탕으로 탈삼진과 땅볼유도를 오가는 하이브리드 싱커볼러다. 결정구는 체인지업으로 상당한 무브먼트를 자랑한다.

빅리그 데뷔시즌인 2021년에는 평균 95마일, 최고 99마일의 패스트볼에 나름 안정된 제구력도 보여주면서 NL 신인왕 2위에 오르는 등 차세대 좌완 파이어볼러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2024년에는 부상으로 투구 리듬이 완전히 깨져 패스트볼 구속이 80마일 대가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을 만큼 심각한 구속하락을 겪으며, 평범한 투수로 전락했다.

2025년에는 느려진 패스트볼 구속 때문인지 볼티모어에서 피칭 스타일 조정을 하여 스위퍼를 장착하고 땅볼 유도형 투수로 변했다. 수준급의 땅볼 유도율과 93마일 까지 회복된 패스트볼 구속을 바탕으로 뛰어난 제구력과 함께 초토화된 볼티모어 선발진에서 혼자 ERA 1점대를 기록하는 등 에이스로 각성했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2021)

5. 연도별 기록

파일:MLB 로고.svg 트레버 로저스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00A3E0>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20 MIA 7 1 2 0 0 28 6.11 32 5 13 2 39 1.607 75 0.4 -0.1
2021 25 7 8 0 0 133 2.64 107 6 46 5 157 1.150 160 4.3 3.5
2022 23 4 11 0 0 107 5.47 116 15 45 5 106 1.505 75 0.9 -0.6
2023 4 1 2 0 0 18 4.00 16 2 6 3 19 1.222 114 0.3 0.3
<rowcolor=#fff>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24 MIA/BAL 25 2 11 0 0 124⅓ 4.92 140 14 56 4 97 1.576 90 0.9 1.0
MLB 통산
(5시즌)
84 15 34 0 0 410⅓ 4.36 411 42 166 19 418 1.406 98 6.8 4.1

6. 여담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엠블럼.svg마이애미 말린스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1992년 ~
1992
찰스 존슨
포수 / 전체 28번
1993
마크 발데스
투수 / 전체 27번
1994
조시 부티
유격수 / 전체 5번
1995
제이미 존스
외야수 / 전체 6번
1996
마크 캇세이
외야수 / 전체 9번
1997
애런 아킨
투수 / 전체 12번
1998
치프 앰브리스
외야수 / 전체 27번
1999
조시 베켓
투수 / 전체 2번
2000
아드리안 곤잘레스
1루수 / 전체 1번
2001
FA 찰스 존슨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2
제레미 허미다
외야수 / 전체 11번
2003
제프 앨리슨
투수 / 전체 16번
2004
테일러 탱커슬리
투수 / 전체 27번
2005
크리스 볼스테드
투수 / 전체 16번
2005[1]
애런 톰슨
투수 / 전체 22번
2005[2]
제이콥 마소
투수 / 전체 29번
2005[1]
라이언 터커
투수 / 전체 34번
2005[2]
션 웨스트
투수 / 전체 44번
2006
브렛 싱크베일
투수 / 전체 19번
2006[5]
크리스 코글란
3루수 / 전체 36번
2007
맷 도밍게스
3루수 / 전체 12번
2008
카일 스킵워스
포수 / 전체 6번
2009
채드 제임스
투수 / 전체 18번
2010
크리스티안 옐리치
1루수 / 전체 23번
2011
호세 페르난데스
투수 / 전체 14번
2012
앤드루 히니
투수 / 전체 9번
2013
콜린 모란
3루수 / 전체 6번
2013[CBA][7]
맷 크룩
투수 / 전체 35번
2014
타일러 콜렉
투수 / 전체 2번
2014[8]
블레이크 앤더슨
포수 / 전체 36번
2015
조시 네일러
1루수 / 전체 12번
2016
브랙스턴 개럿
투수 / 전체 7번
2017
트레버 로저스
투수 / 전체 13번
2017[CBA]
브라이언 밀러
외야수 / 전체 36번
2018
코너 스캇
외야수 / 전체 13번
2019
JJ 블러데이
외야수 / 전체 4번
2019[CBA]
캐머런 마이즈너
중견수 / 전체 35번
2020
맥스 마이어
투수 / 전체 3번
2021
칼릴 왓슨
유격수 / 전체 16번
2021[CBA]
조 맥
포수 / 전체 31번
2022
제이콥 베리
3루수 / 전체 6번
2023
노블 마이어
투수 / 전체 10번
2023[CBA]
토마스 화이트
투수 / 전체 35번
2024
PJ 몰랜도
외야수 / 전체 16번
* 취소선 처리된 선수는 말린스 구단과 계약하지 않은 선수

[1] FA 아르만도 베니테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칼 파바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 [2] [5] FA A.J. 버넷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7] 고키스 에르난데스, CBA 지명권 ↔ 개비 산체스, 카일 카민스카 트레이드[8] 맷 크룩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CBA] [CBA] [CBA]
}}}}}}}}}}}}
트레버 로저스의 수상 경력 /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21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95번
결번 <colbgcolor=#00A3E0><colcolor=#000000> 트레버 로저스
(2020)
결번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28번
빌리 해처
(2020)
트레버 로저스
(2021~2024)
카일 스타워스
(2024~)
}}} ||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5년 8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네이선 이볼디
(뉴욕 양키스)
트레버 로저스
(볼티모어 오리올스)
2025년 9월 수상자

[1] 1위표 1표는 받았는데, 그 1표가 인디아 소속인 신시내티 레즈 담당 기자가 던진 것이라...[2] 부모님 모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감염되었으며, 어머니의 경우 인공호흡기를 오래 쓸 정도로 상태가 안 좋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