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19:47

타이라 가문

사성(四姓) 『겐페이토키츠(源平藤橘)』
파일:미나모토씨 가몬.svg
파일:타이라씨 가몬.svg
파일:후지와라씨 가몬.svg
파일:타치바나씨 가몬.svg

[ruby(平,ruby=たいら)][ruby(氏,ruby=し)]
타이라씨
파일:타이라씨 가몬.svg
<colbgcolor=#ca3800> 타이라 가문의 가몬
호랑나비
揚羽蝶
씨성 타이라노 아손(平朝臣)
본가 황실(皇室)
씨조 천황의 황자, 왕
씨 최초 하사자 간무 천황 (桓武天皇)
씨 최초 수혜자 타이라노 다카무네 (平高棟)
종별 황별(皇別)
후예 간무 헤이시(桓武平氏)
닌묘 헤이시(仁明平氏)
몬토쿠 헤이시(文徳平氏)
고묘 헤이시(光明平氏)

1. 개요2. 기원3. 계보
3.1. 특징
4. 타이라 성을 쓰는 인물
4.1. 실존 인물4.2. 가상 인물
5. 타이라를 본성으로 칭한 가문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성씨. 헤이시 또는 평씨(平氏)라고도 한다. 우지(씨)이기 때문에 성 뒤에 가 붙는다. 가바네(성)와 합쳐서 타이라노 아손(아소미)(平朝臣)이라고도 한다. 일본의 4대 본성 겐페이토키츠의 일원이다.

타이라 가문은 여러 분파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타이라 가문이라 하면 이세 헤이시, 또는 헤이케로 불리던 가문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헤이안 시대미나모토가와[1] 대립한 것으로 유명한 가문이다.

2. 기원

타카노노 니이가사의 아들인 제50대 간무 천황의 4남, 카츠가하라노 미코(친왕)가 제53대 준나 천황에게 자신의 아들들을 신적강하시켜달라고 상소를 하여 그의 아들들이 모두 '타이라노 아소미'(平朝臣, 평조신)을 하사받은 이래, 간무 덴노의 손자나 증손자가 타이라노 아소미를 역시 하사받으면서 간무 헤이시(환무 평씨)로 불리게 되었다.[2]

일본어로 '평평함', 또는 '분지'를 '타이라'(たひら)라고 부르는데 平安京을 훈독하면[3] '타이라노 미야코'가 되기 때문에 타이라노 미야코로 처음 천도한 간무 천황의 자손에게 그걸 기념하여 수도의 이름을 따서 사성한 것이었다.

간무 헤이시 말고도 제54대 닌묘 천황의 증손자나 모토야스노 미코의 손자들이 제60대 다이고 천황으로부터 하사받았고, 제55대 몬토쿠 천황의 증손자이며, 코레히코노 미코의 손자들도 하사받았다. 또한 제58대 고코 천황의 증손들까지 하사받으면서, 닌묘 헤이시몬토쿠 헤이시, 고코 헤이시가 생겨나게 되었는데 그중에서 네임드 있는 후손들이 가장 많이 나온 곳이 간무 헤이시다 보니 '헤이시'라고 하면 '간무 헤이시'를 으레 가리키는 것이 되었다. 헤이시의 라이벌로 여겨지는 겐지도 21개의 유파가 존재했지만[4] 세이와 겐지, 그 중에서도 '무가의 동량'으로 불리는 카와치 겐지 일족이 겐지의 대표격이 된 것과 비슷한 사례라 할 수 있다.

3. 계보[5]

  • 타카모치(高望): 카즈사노쿠니에 임지를 받고 칸토 지역으로 내려와 정착한, 간무 헤이시 일문 반도[6] 헤이시(坂東平氏)의 시조.
    • 장남 쿠니카(国香)
      • 장남 사다모리(貞盛)
        • 2남 코레마사(維将)
          • 코레마사의 손자 나오카타(直方): 이즈 호죠씨(伊豆北条氏)[7]와 쿠마가이씨(熊谷氏)의 시조.
        • 4남 코레히라(維衡): 이세 헤이시(伊勢平氏)[8]의 시조.
      • 사다모리의 동생 시게모리(繁盛): 히타치 헤이시(常陸平氏)의 시조.
    • 서자 요시후미(良文): 타카모치의 측실의 아들. 반도 8헤이시(坂東八平氏)의 시조.[9]

반도 8헤이시 정도까지 후세로 내려가게 되면 사람 기준으로 하나하나 정리하는 게 너무 정신 사나워진다. 이하는 반도 헤이시를 가문 단위로 간략히 요약한 것의 일부분인데, 관동지방의 호족가문답게 네임드 인물의 상당수가 요리토모의 거병 및 가마쿠라 막부와 연결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는 치바, 카즈사, 미우라, 도이, 치치부, 오오바, 카지와라, 나가오의 여덟 가문을 반도 8헤이시라고 부른다고 한다. (해당 가문들은 굵은 글씨로 별기)
  • 보소 헤이시(房総平氏): 보소 반도에 자리잡은 일파.
    • 치바씨(千葉氏): 시모사(下總, 치바현 북부) 치바군에 자리잡은 보소 헤이시 종가. 겐페이 전쟁 때는 백군으로 참전.
    • 카즈사씨(上総氏): 카즈사(上総, 치바현 남부)에 자리잡은 일문. 겐페이 전쟁 때는 백군으로 참전.[10]
    • 소마씨(相馬氏): 카마쿠라 막부 초기, 치바 츠네타네(千葉常胤)에서 분가한 일문.
  • 치치부 헤이시(秩父平氏): 무사시노쿠니[11]에 자리잡은 일파.
    • 치치부씨(秩父氏): 무사시 북부 치치부군를 중심으로 하는 일문.
      • 하타케야마씨(畠山氏): 치치부씨에서 분가한 일문. 겐페이 전쟁 때는 백군으로 참전.[12]
    • 카와고에씨(川越氏): 무사시 중부 카와고에 일대에 자리잡은 일문.
  • 사가미 헤이시(相模平氏): 사가미 일대에 자리잡은 일파.
    • 미우라씨(三浦氏): 미우라 반도에 자리잡은 일명 미우라당(三浦党). 겐페이 전쟁 때는 백군으로 참전.
    • 카마쿠라씨(鎌倉氏): 카마쿠라군에 자리잡은 일명 카마쿠라당(鎌倉党). 겐페이 전쟁 때 홍백 양군으로 가문이 절단난다.
      • 나가오씨(長尾氏): 카마쿠라군 나가오 장원에 자리잡은 카마쿠라씨 분가. 겐페이 전쟁 때는 홍군으로 참전.[13]
      • 오오바씨(大庭氏): 카마쿠라군 오오바미쿠리야에 자리잡은 카마쿠라씨 분가. 겐페이 전쟁 때는 홍군으로 참전.[14]
      • 카지와라씨(梶原氏): 카마쿠라군 카지와라에 자리잡은 카마쿠라씨 분가. 겐페이 전쟁 때는 백군으로 참전.[15]
    • 도이씨(土肥氏)[16]: 도히 일대에 자리잡은 일문. 겐페이 전쟁 때는 백군으로 참전.

3.1. 특징

헤이시는 여러 분파로 나누어졌는데 헤이안 시대 말기의 걸웅 타이라노 키요모리가 속한 가문은 이세 헤이시(이세 평씨)라는 분파로 이세 헤이시는 헤이지의 난 이후 헤이케(평가)로 불리게 되었다.

일본 측 위키에 따르면 헤이케는 헤이시 중에서도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후손뿐 아니라 그들을 따랐던 휘하 가신들을 묶어서 부르는 말이라고 되어 있다. 이유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따랐던 휘하 고케닌 가운데에도 헤이시 출신의 무장들이 상당히 많았기 때문이었다. 당장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장인인 호조 도키마사와 그의 딸인 호조 마사코가 속한 호조씨나 보소 반도를 본거지로 해서 헤이케 정권 붕괴에 큰 공을 세운 치바씨도 간무 헤이시의 후손이었다.[17]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직계 쇼군이 3대로 끊어진 뒤 호조씨가 허수아비 쇼군을 내세우며, 싯켄으로서 교토 조정을 억누르고, 가마쿠라 막부의 실권을 장악하게 되는 점을 생각하면 아이러니.

또한 헤이케 이야기 등의 고전의 소재로 알려진 겐페이 전쟁의 영향으로 헤이케와 겐지를 각각 일본 서쪽과 동쪽을 대표하는 세력으로 자리매김시켜 '서쪽의 헤이시, 동쪽의 겐지', 또는 '해상의 헤이케, 육상의 겐지' 식으로 분류하는 대중 여론이 일반에 상당히 많은데, 동쪽이라고 헤이시가 없었던 게 아닌 것은 물론 오히려 반도 하치헤이시 등 헤이시 즉 다이라 일족의 전통적인 본거지는 서쪽이 아니라 동쪽 반도 땅이었다. 일본 조정은 군사적으로 중요한 거점에는 그 최고 수장을 왕실 종친으로 임명했는데, 서쪽의 경우 다자이후가 그랬고 동쪽의 경우는 친왕임국(親王任国)이라고 해서 히타치(常陸), 가즈사(上総), 고즈케(上野) 이렇게 3개 구니의 최고 수령(카미)을 친왕으로 임명했다. 물론 친왕들은 실제 부임지에 가지 않아서 권관 혹은 차관이 현지에서 수령의 업무를 대행했지만.

친왕임국이 집중되어 있던 동쪽 반도 지역에 헤이시의 본거지도 집중되었다. 이른바 '반도 하치헤이시'라고 불리는 지역들은 조정이 지정한 '친왕임국'과 겹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겐지보다 앞서 진작부터 간토 땅에 본거지를 두고 있었던 헤이시가 차츰 세력을 키우게 되면서 서쪽까지 세를 확장했고 전통적으로 해상 교역의 거점이던 사이카이를 통해 세력을 키운 헤이시가 헤이케로 성장, 동쪽으로부터 치고 내려온 겐지 일문을 상대로 서쪽을 거점으로 겐페이 전쟁을 벌이면서 '서쪽의 헤이시, 동쪽의 겐지' 이렇게 이미지가 도식화되었던 것이다.

결국 그 때문에 세이와 겐지의 일족들에 의해 호조씨는 몰락하게 되었고, 겐지 중 하나인 아시카가씨에 의해 무로마치 막부가 들어서게 되었다. 사족이지만 이후 센고쿠 시대에 간토(관동)를 기반으로 성장한 유력 가문인 호조씨, 일명 후호조씨(고호조씨)도 계보를 거슬러 올라가면 마찬가지로 간무 헤이시계 가문이었다. 정확히 구분하면 싯켄(집권) 호조씨는 타카모치류 반도 헤이시 중 타이라노 사다모리의 장남쪽 가문의 후손이었고, 후호조씨는 사다모리의 차남 쪽 가문 후손인 이세 헤이시(헤이케) 계통 분가 중 하나인 이세씨를 조상으로 하는 가문이었다.

그래서 겐페이(源平, 원평)라고 하는 말은 '겐지 대 헤이시'가 아니라 겐지 대 헤이케로 '헤이케'와 '헤이시'는 구별해서 불러야 한다고 설명되어 있다.

당연히 무사만 있었던 것은 아니고, 시인이나 구교(公卿)도 많았는데, 헤이안 시대의 36가선(歌仙)으로 꼽히는 타이라노 가네모리(平兼盛)가 대표적이었다.

카와치 겐지(하내 원씨)에게 멸망한 이후로는 그 후손들이 다이묘가 되거나, 혹은 신흥 다이묘들이 자신의 혈통을 각색하기 위해 헤이시를 자처하는 경우가 왕왕 있었다.[18] 한국 측 기록을 보면 쓰시마 도주와 그 가신의 이 '평'(平)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타이라 가문의 후손을 자처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평수길(平秀吉)로 불린다거나 하는 게 그 예시로, 조선 초에 귀순한 항왜 가운데 평도전(平道全), 평망고(平望古) 부자가 있기도 했다.

여담으로 류큐계 성씨에도 타이라라는 성씨가 존재한다. 한자로는 '平良'으로 표기하며 본래 발음은 '데라'(てーら)였다고 한다.

4. 타이라 성을 쓰는 인물

4.1. 실존 인물

  • 일본 영화 배우 - 타이라 아이리(平愛梨), 타이라 유우나(平祐奈)[19]

4.2. 가상 인물

5. 타이라를 본성으로 칭한 가문

  • 호조(北条)[20]
  • 오다(織田)[21]
  • 우에스기[22]
  • 소마(相馬)[23]
  • 소(宗)[24]
  • 다네가시마(種子島)[25]
  • 하타케야마[26]
  • 지바(千葉)
  • 구마가이(熊谷)
  • 이와키(岩城)[27]

[1] 그중에서도 주로 카와치 겐지와 대립했다.[2] 간무 덴노의 4남 카츠가하라 친왕(葛原親王, 786~853)의 아들은 타마키 왕(高原王, 804~867)이었으며, 그의 아들인 타카모치 왕(高望王)이 간무 헤이시(桓武 平氏)의 시조인 타이라노 타카모치(平高望)였다.[3] 헤이안쿄는 음독이다.[4] 다만 사성받자마자 후손이 단절된 이름뿐인 유파도 포함된다.[5] 대표격인 타카모치류 간무 헤이시 계통만 간략히 정리[6] 아시가라고개(足柄峠の)와 우스이고개(碓氷峠の)의 동쪽. 지금의 칸토 지역에 해당한다.[7] 쿠니카(国香)류 나오카타(平直方)가 타카타군 호죠 지역에 정착한 걸 기원으로 삼는, 가마쿠라 막부의 싯켄 호죠 가문.[8] 이세 헤이시의 일문이 칸사이로 흘러들어가 정착한게 후쿠하라 헤이케에 해당한다. 세월이 지나 먼 훗날 이세 헤이시의 또다른 일문이 이즈반도로 흘러들어가 정착하게 된 게 센고쿠 다이묘 오다와라 호죠씨라고 한다.[9] 카즈사에 정착한 아버지나 형제들과는 별도로 사가미노쿠니 카마쿠라군에 정착해 반도 8헤이시의 시조가 되었다.[10] 겐페이 전쟁 때는 히타치 겐지 사타케 가문을 토벌하는 등 맹활약하지만, 전쟁이 한창이던 도중, 콩가루 본능과 토사구팽 만렙 카마쿠라도노의 마수를 피하지 못하고 모반의혹이 일어나 당주 카즈사 히로츠네와 그 적장자가 숙청, 사실상 멸문한다. 이때 카즈사 잡는 칼로 활약한 인물이 아래에 나오는 카지와라 카게토키. 이미 이 시절부터 망나니칼 본능이 솟구치는 인물이다.[11] 무사시는 사이타마와 도쿄 일대를 포괄하는 개념이지만, 치치부 헤이시가 터를 잡은 곳은 그 중에서도 무사시 북부(사이타마현) 일대로 좁혀진다.[12] 원래는 헤이케(홍군)쪽에 더 가까운 집안이었지만, 당주 하타케야마 시게타다(畠山重忠)의 눈부신 줄타기로 백군으로 참전, 겐페이 전쟁을 승리로 이끈 개국공신 가문 중 하나다. 당주 시게타다는 싯켄 호죠 토키마사의 딸과 결혼하고, 막부의 대형 내전이었던 히키 요시카즈의 난(1203) 때도 호죠 편에 붙어서 활약하는 등 가마쿠라 막부의 여당 중진이었으나, 토사구팽과 콩가루의 전통을 자랑하는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과학을 피하지 못하고 누명을 쓰고 숙청당해 멸문한다. 일명 하타케야마 시게타다의 난(1205). 하지만 아시카가 요시즈미(足利義純)가 죽은 시게타다의 아내와 재혼하고 그 성과 영지를 물려받으며 하타케야마씨는 아시카가 가문의 방계로 족보를 바꿔 존속되었다.[13] 겐지군(백군)의 기세에 가문이 멸문 직전까지 간 후, 카마쿠라 막부 시절 관동으로 낙향한 후지와라 방계 관동관령 우에스기 가문의 가신이 되어 가문을 존속시켰다. 이후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가문의 지류였던 에치고 슈고 우에스기 가문을 따라 에치고 슈고다이 나가오 가문으로 이어지다가, 하극상으로 에치고 일대를 장악하고 나중에는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가문의 관동관령 작위까지 승계받은 나가오 카게토라가 이 가문의 후손이다.[14] 뉴도쇼고쿠가 무장으로 한창 활약하던 헤이지의 난 시절, 당주 오오바 카게치카(大庭景親)는 헤이케 쪽에 붙어 헤이케 직계가신(代官)으로 스루가-사가미 일대에서 권세를 누린다. 세월이 흐른 후 요리토모가 거병하자 이번에도 헤이케(홍군) 쪽에 붙었다가 결국 패전, 당주 카게치카는 참수 당하지만 카게치카의 형인 카게요시가 겐지 측에 붙었기에 가문은 존속했다.[15] 콩가루 분위기와 토사구팽, 그리고 숙청으로 유명한 카마쿠라 막부 초기 시절 2대 쇼군 요리이에의 망나니칼로 활약한 심복 카지와라 카게토키가 이 가문의 당주였다. 겐페이 전쟁 직후, 전쟁의 일등공신 중 한명이었던 차나왕 요시츠네를 참소해 몰락시킨 것이 이 사람의 대표 작품. 물론 카게토키 본인도 막부 특유의 격랑을 피하지 못하고 숙청당하고 (일명 카지와라 카게토키의 난, 1199-1200), 심복을 잃은 주군 쇼군 요리이에도 숙청당해 권력을 잃고, 끝내 이즈 슈젠지(修禪寺)에서 암살당한다.[16] 도히 라고 읽기도 한다.[17] 치바씨는 간무 헤이시의 분가로 타카모치류 반도 헤이시의 8개 분가 중 하나인 보소 헤이시의 종가였다. 센고쿠 시대 초기까지 현재의 치바현 일대를 지배했다.[18] 이는 겐지와 헤이시가 번갈아가며 천하의 주인이 된다는 독특한 관념 때문이었는데, 실제로 헤이안 말~무로마치 시대는 헤이케-미나모토 요리토모와 그 직계-싯켄-무로마치 막부 순으로 권력이 바뀌었으니 순서대로 헤이시-겐지-헤이시-겐지 순이었다. 그러다 보니 센고쿠 시대에는 이번에는 헤이시 순인가? 하는 생각이 있었다고 하며, 결과론적으론 헤이시의 우에스기 겐신(다만 이쪽은 본래 성인 나가오가 헤이시고 입적받아 사용한 우에스기 성은 후지와라 계통이다.), 겐지의 타케다 신겐, 헤이케 후손을 자처한 오다 노부나가, 역시 겐지의 아케치 미츠히데 등이 엎치락뒤치락하더니, 잠시나마 헤이시를 자처했던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천하통일을 하고 그 뒤에 겐지를 자처한 토쿠가와 이에야스가 천하의 주인이 되어 묘하게 징크스가 이뤄지긴 했다.[19] 둘은 자매관계다.[20] 가마쿠라 싯켄 가문 호조씨는 다이라노 사다모리의 2남 고레마사의 자손임을 했고, 센고쿠 다이묘인 후호조씨는 사다모리의 4남 고레히라의 자손인 이세 헤이시에 속한다.[21] 실제로는 에치젠국의 츠루기 신사 신관 가문이 무사로 전직하면서 헤이시로 족보를 위조했다는 설이 정설이며, 본성은 후지와라, 또는 인베(忌部)씨라는 설이 있다.[22] 우에스기는 헤이시가 아니라 후지와라 북가(藤原北家) 가주지류(勧修寺流)의 지파로 후지와라를 본성으로 자처한 집안이다. 다만, 종가인 야마노우치 우에스기씨가 전국시대 말기에 반강제로 헤이시 출신인 나가오 카게토라를 양자로 받아들이면서 일시적으로 실질적 부계 혈통으로는 헤이시였던 시기가 있었다.[23] 반도 하치헤이시의 서류라고도 하고, 다이라노 마사카도의 일족이라고도 한다.[24] 쓰시마 도주 가문. 하지만 원래는 하타(秦)를 본성으로 고레무네(維宗)가 진짜 본성이라고 하는 주장이 있으며 후자가 좀 더 신빙성이 있다.[25]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손자인 유키모리(行盛)의 아들이 다네가시마 씨의 시조라고 전해진다.[26] 이쪽은 겐지를 본성으로 하는 하타케야마도 존재한다.[27] 이쪽 또한 실제로 다이라 일족이라는 증거가 빈약하며 몇몇 학자들은 무쓰 남부의 토착 세력인 이와키 구니노미야쓰코(石城国造)의 후예로 후에 명예를 위해서 헤이시 쪽에 입양된 것이라고 추정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