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16:38:46

쿤밍 우자바 국제공항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국의 공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555> 화베이지구
베이징 서우두 · 베이징 다싱 · 시자오군용 · 사허군용 · 난자오군용 · 장자완군용 · 량샹군용 · 바다링통용 · 베이징 난위안폐쇄
톈진 빈하이
스자좡 정딩 · 친황다오 베이다이허 · 친황다오 산하이관군용 · 탕산 산뉘허민·군용 · 한단 · 장자커우 닝위안민·군용 · 싱타이 다롄 · 청더 푸닝
타이위안 우수 · 윈청 옌후 · 창즈 왕춘민·군용 · 린펀 야오두 · 뤼량 다우 · 숴저우 쯔룬 · 다퉁 윈강 · 신저우 우타이산민·군용
후허하오터 바이타 · 후허하오터 성러공사중 · 어얼둬쓰 이진훠뤄 · 후룬베이얼 하이라얼 · 바오터우 둥허 · 만저우리 시자오 · 퉁랴오 · 비커치군용 · 시린하오터 · 우란하오터 이러리터 · 우하이 · 츠펑 왕룽민·군용 · 얼렌하오터 사이우쑤 · 바옌나오얼 톈지타이 · 아얼산 이얼스 · 우란차부 지닝 · 자란툰 징기스칸 · 훠린궈러 훠린허 · 아라산 좌기 바옌하오터 · 아라산 우기 바단지린 · 어지나기 타오라이
둥베이지구
다롄 저우수이쯔 · 다롄 진저우완공사중 · 다롄 푸란뎬군용 · 선양 타오셴 · 차오양 · 선양 둥타군용 · 단둥 랑터우민·군용 · 선양 베이링군용 · 안산 텅아오민·군용 · 진저우 진저우완 · 진저우 샤오링쯔군용 · 잉커우 란치
창춘 룽자 · 창춘 다팡선군용 · 연길 조양천민·군용 · 창바이산 · 쓰핑군용 · 퉁화 싼위안푸민·군용 · 바이청 창안민·군용 · 쑹위안 차간후
하얼빈 타이핑 · 하얼빈 핑팡통·군용 · 자무쓰 동지아오 · 헤이허 아이후이 · 무단장 하이랑민·군용 · 치치하얼 싼자쯔민·군용 · 모허 구롄 · 이춘 린두 · 다칭 싸얼투 · 지시 싱카이후 · 다싱안링 어룬춘 · 푸위안 둥지 · 졘싼장 스디 · 우다롄츠 더두민·군용
화둥지구
상하이 푸둥 · 상하이 훙차오 · 충밍군용 · 다창군용
난징 루커우 · 루허 마안군용 · 창저우 번뉴민·군용 · 난퉁 싱둥 · 우시 숴팡 · 양저우 타이저우 · 쉬저우 관인 · 렌윈강 바이타부군용 · 렌윈강 화궈산 · 옌청 난양 · 쑤저우 광푸군용 · 화이안 롄수이 · 난징 다샤오창폐쇄
항저우 샤오산 · 항저우 젠차오군용 · 닝보 리서 · 원저우 룽완 · 저우산 푸퉈산 · 리수이 · 자싱 난후민·군용 · 타이저우 루차오민·군용 · 이우민·군용 · 취저우민·군용 · 창싱군용
허페이 신차오 · 허페이 뤄강폐쇄 · 황산 툰시 · 푸양 시관 · 보저우공사중 · 안칭 톈주산민·군용 · 츠저우 주화산 · 벙부 텅후공사중 · 우후 쉬안저우 · 우후 완리군용
푸저우 창러 · 샤먼 가오치 · 샤먼 샹안공사중 · 취안저우 진장민·군용 · 우이산민·군용 · 롄청 관즈산민·군용 · 싼밍 샤셴 · 푸저우 이쑤군용
난창 창베이 · 징더전 뤄자 · 주장 루산민·군용 · 지안 징강산 · 간저우 황진 · 간저우 루이진 · 이춘 밍웨산 · 상라오 싼칭산 · 난창 샹탕군용
지난 야오창 · 칭다오 자오둥 · 옌타이 펑라이 · 옌타이 라이산군용 · 린이 치양 · 웨이하이 다수이보민·군용 · 웨이팡민·군용 · 짜오좡 이윈공사중 · 둥잉 성리 · 지닝 다안 · 르자오 산쯔허 · 허쩌 무단 · 칭다오 류팅폐쇄 · 지닝 취푸군용
중난지구
정저우 신정 · 뤄양 베이자오민·군용 · 난양 장잉 · 상추 관탕공사중 · 신양 밍강민·군용 · 안양 훙치취 · 정저우 둥자오폐쇄
우한 톈허 · 어저우 화후 · 샹양 류지 · 이창 싼샤 · 엔시 쉬자핑 · 선농자 훙핑 · 스옌 우당산 · 징저우 샤스 · 우한 난후폐쇄 · 우한 왕자둔폐쇄
창사 황화 · 창더 타오화위안 · 장자제 허화 · 융저우 링링민·군용 · 화이화 즈장 · 헝양 난웨 · 샤오양 우강 · 웨양 싼허 · 천저우 베이후
광저우 바이윈 · 선전 바오안 · 주하이 진완 · 제양 차오산 · 잔장 우촨 · 포산 사디민·군용 · 포산 가오밍공사중 · 후이저우 핑탄민·군용 · 메이저우 메이셴 · 싱닝군용 · 사오관 단샤민·군용 · 창싱군용 · 센춘군용 · 산터우 와이사군용 · 잔장 사샨폐쇄 · 구 광저우 바이윈폐쇄
난닝 우수민·군용 · 구이린 량쟝 · 구이린 치펑링군용 · 베이하이 푸청 · 류저우 바이롄민·군용 · 바이써 바마민·군용 · 허츠 진청강 · 우저우 시장 · 우저우 창저우다오군용 · 위린 푸몐
하이커우 메이란 · 싼야 펑황 · 충하이 보아오 · 싼사 융싱민·군용 · 융수다오
시난지구
충칭 장베이 · 완저우 우차오 · 첸장 우링산 · 충칭 우산 · 충칭 셴뉘산
청두 솽류 · 청두 톈푸 · 시창 칭산민·군용 · 몐양 난자오민·군용 · 주자이 황룽 · 다저우 허스 · 러산공사중 · 광위안 판룽 · 판즈화 바오안잉 · 난충 가오핑민·군용 · 간쯔 캉딩 · 다오청 야딩민·군용 · 아바 훙위안 · 루저우 윈룽민·군용 · 간쯔 거싸얼 · 이빈 우량예민·군용 · 바중 언양
구이양 룽둥바오 · 퉁런 펑황 · 퉁런 더장공사중 · 웨이닝 차오하이공사중 · 씽이 완펑린 · 리핑 · 안순 황궈수 · 판저우 관산공사중 · 리보 · 쭌이 신단 · 비제 페이슝 · 카이리 황핑 · 리우판수이 웨자오 · 쭌이 마오타이
쿤밍 창수이 · 시솽반나 가사 · 리장 싼이 · 디칭 샹그리라 · 바오산 윈루이 · 자오퉁 · 자오퉁 자오양공사중 · 푸얼 쓰마오 · 더훙 망스 · 루량군용 · 훙허 멍쯔공사중 · 다리 · 린창 보샹 · 원산 푸쩌헤이 · 텅충 퉈펑 · 닝랑 루구후 · 창위안 와산 · 란창 징마이 · 쿤밍 우자바폐쇄
라싸 궁가민·군용 · 창두 방다민·군용 · 아리 쿤사민·군용 · 아리 푸란민·군용 · 닝치 마인링민·군용 · 르카쩌 허핑민·군용
시베이지구
시안 셴양 · 시안 시관군용 · 위린 위양 · 안캉 푸창 · 한중 청구민·군용 · 옌안 난니완민·군용 · 푸구 푸저우공사중 · 딩볜 실리샤공사중 · 바오지 펑샹공사중 · 우궁군용
란저우 중촨 · 둔황 모가오 · 자위관 · 칭양 시펑 · 진창 진촨 · 장예 간저우민·군용 · 간난 샤허 · 룽난 청셴 · 텐수이 마이즈산민·군용
시닝 차오자바오 · 거얼무민·군용 ·위수 바탕 · 더링하 · 망야 화투거우 · 공허 칭하이후공사중 · 궈뤄마친 · 하이베이 치롄
인촨 허둥 · 인촨 시화위안군용 · 중웨이 사포터우 · 구위안 류판산
신장지구
우루무치 톈산 · 카슈카르 라이닝민·군용 · 투르판 자오허 · 호탄 쿤강민·군용 · 카라마이 · 코를라민·군용 · 하미 이저우민·군용 · 쿨자 · 아러타이 · 바리쿤 다허 · 룬타이 타중공사중 · 아크수 홍치보민·군용
타청 · 신위안 나라티 · 부얼진 카나쓰 · 보러 아라산커우 · 쿠처 쵸츠 · 스허쯔 화위안 · 푸윈 커커퉈하이 · 치에모 위두 · 야르칸드 예얼창 · 뤄창 로우란 · 툼슈크 탕왕청 · 위텐 완팡 · 자오쑤 톈마 · 아라얼 타리무 · 타스쿠얼간 훙치라푸
특별행정구
홍콩(첵랍콕) · 섹콩군용 · 홍콩(카이탁)폐쇄
마카오
}}}}}}}}}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
昆明巫家坝国际机场
Kunming Wujiaba International Airport
파일:In_Front_Of_Wujiaba_Airport.jpg
공항코드[1]
IATA KMG
ICAO ZPPP
개요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위치 윈난성 쿤밍시 관두구
종류 군·민용공항
공항 등급 4E
운영회사 윈난공항집단
관할기관 파일:중국 민용항공국 로고.svg 중국민용항공국 시난지구관리국
허브 항공사 중국운남항공 · 중국동방항공 윈난공사 · 럭키 에어 · 쿤밍항공
활주로
활주로 03/21 (3,400m × 45m)
고도 1,895m (6,217 ft)
좌표 24°59′32″N 102°44′36″E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개항
1923년
폐항
2012년 6월 28일
지도
1. 개요2. 역사3. 폐쇄 이후4. 기타5. 참고 자료

1. 개요

파일:kmg old.jpg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이 생기기 전 쿤밍의 관문 역할을 했던 국제공항으로 현재는 우자바중앙공원(巫家坝中央公园) 등으로 재개발되어 있다.

2. 역사

청나라 광서 33년 (1907년), 군대를 육성하기 위해 우자바 일대에 포병막사를 새웠으나 1917년 호법전쟁으로 운남성의 지역군벌 이었던 탕지야오(唐继尧)가 윈난지역을 장악하면서 윈난지역의 항공산업 발전을 위해 1922년도에 그 자리에 조종사를 양성하는 윈난항공학교(云南航空学校)을 설립하고 활주로를 건설한게 모태다.

중화민국 26년(1937년)의 루거우차오 사건으로 항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일본군에 의해 항저우가 폭격을 당하자 항저우에 있었던 중앙항공군관학교(中央航空军官学校)가 이곳으로 이전을 하고 조종사의 양성과 군사편제가 개편이 되면서 이곳에 남아 있는 학생들은 모두 광시에 위치한 중앙항공학교 류저우분교로 옮겨가서 훈련을 받게 되어 윈난항공학교의 역사는 막을 내렸지만 공항의 기능은 군사적인 필요에 의해 너비 1300m 이상으로 확장되여 1938년 말에 완공된다. 1941년 태평양전쟁이 발발하고 일본군이 동남아전역에 영향을 미치자 1945년도에 총 길이 2,500미터, 평균 폭 1,300미터 규모로 확장하였지만 일본군의 패망으로 1947년도에는 민간공항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1949년 신중국 건국이후인 1958년1993년, 1999년에 3차례 확장공사를 진행하였는데 당시 승객처리량은 중국 전역에서 4위였다고 한다. 2011년 도심에 위치한 공항특성상 제약이 많고 추가적인 확장이 필요한 까닭에 항공당국은 신공항 건설계획을 착수하고, 2012년 6월 27일 마지막 상업 항공편으로 중국동방항공 5903편(쿤밍(우자바)-시솽반나)이 22시 7분에 이륙하면서, 공항의 역할은 마지막으로 끝났다. 90여 년간 쿤밍의 관문으로 활약해준 우자바 국제공항은 2012년 6월 28일에 완성한 외곽의 신공항에 역할을 넘기고 문을 닫았다.

3. 폐쇄 이후

현재 공항 부지는 현재 신도시로 재개발되는 중으로 위 사진에서 반원 모양의 건물이 여객청사가 남아 있었으나 바이두지도상의 룽후톈제(龙湖天街) 라는 상업시설과 아파트시설로 재건되어 남아있지 않는 상태다.

4. 기타

2024년 현재 진행중인 중국-인도 국경분쟁으로 양국의 직항로가 없는 가운데 중국동방항공이 2007년 10얼 30일, 이곳에서 인도 서벵골 콜카타를 잇는 직항노선에 신규 취항한 바가 있다.#

5. 참고 자료


[1]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이 계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