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21:17:37

코드 기아스: 탈환의 로제/등장인물

1. 개요2. 주인공3. 조연
3.1. 네오 브리타니아3.2. 칠황성단3.3. 흑의 기사단3.4. 레지스탕스3.5. 카페
4. 특별 출연

1. 개요

코드 기아스: 탈환의 로제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분류한 문서이다.

2. 주인공

= 스메라기 사쿠야([ruby(皇, ruby=すめらぎ)]サクヤ/Sakuya Sumeragi) (CV: 우에다 레이나)
}}}
하루야나기노미야 사쿠라([ruby(春柳宮, ruby=はるやなぎのみや)]サクラ/Sakura Haruyanaginomiya) (CV: 우에다 레이나[1])
}}}

3. 조연

3.1. 네오 브리타니아

  • 카리스 알 브리타니아 (CV : 이치노세 카나)
    네오 브리타니아 제국의 황제이자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 100대 황제. 놀란드 폰 뤼네베르크에 의해 어린 나이에 괴뢰정권인 네오 브리타니아의 황제로 옹립된다.
    {{{#!folding [ 스포일러 ]
일본인 레지스탕스한테 살인 미수를 당한 적이 있어서 일본인을 무서워한다. 그러나 본인 왈, 놀란드를 더 무서워하는 걸지도 모른다고. 3화에서 갑자기 사망하는데 모기같은 작은 기계가 강조되는 묘사를 봐선 누군가에게 암살 당한듯.
}}}
  • 놀란드 폰 뤼네베르크 (CV : 야스모토 히로키)
    본작의 흑막이자 최종 보스로 추정되는 인물. 가면을 쓴 수수께끼의 금발의 청년으로, 제로 레퀴엠 직후 소국으로 쪼개진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에서 반발 세력을 모아 뤼네베르크라는 나라를 건국후 초합집국에 가입하지 않았다. 이후 카리스 알 브리타니아를 황제로 옹립해 일본의 홋카이도 블록을 점거하여 네오 브리타니아 제국을 건국, 자신은 네오 브리타니아 제국의 실권자로 군림하게 된다. 황제직속기사단인 아인베르크의 단장이기도 하며, 체스의 백색과 흑색의 말을 모티브로 한 바이스리터/슈바르츠리터 총 10명의 간부진을 수하에 두고 자신은 바이스리터의 백의 킹(바이스 킹)이라 칭하고 있다.[2] 비밀이 숨겨진 전용 나이트메어 프레임인 파울바우트를 조종한다.
    '가면을 쓴 수수께끼의 금발 청년'이라는 컨셉만 봐도 디자인 모티브는 가면의 남자의 시초이자 기동전사 건담메인 빌런더블 주인공샤아 아즈나블을 대놓고 오마주한 캐릭터. 다만, 작중 행적은 기동전사 건담 ZZ메인 빌런이자 그 샤아와 지독한 악연을 자랑하는 하만 칸을 그대로 오마주한 부분이 드러나 있다.[3]
  • 바이스리터
    노랜드 휘하의 아인베르크의 5간부진. 모티브는 체스의 백색 말.

    • 캐서린 사바스라 (CV : 토야마 나오[4])
      바이스리터의 백의 퀸(바이스 퀸). 강한 사람이 좋다는 신념을 갖고 있는 여성. 전용 나이트메어는 쿠인크래커. 전작의 락샤타, 비렛타를 잇는 검은 피부 캐릭터이다. 조연이지만 파격적인 가슴트임 배꼽티 복장과 코드기아스 시리즈 전통의 섹시한 파일럿 슈츠 디자인으로 시청자들의 주목을 한 몸에 받았다.
    • 스탠리 폰브라운 (CV : 히라카와 다이스케)
      바이스리터의 백의 비숍(바이스 비숍). 전투면이 아닌 연구개발에 특화된 재능을 노랜드가 높이 평가하고 있다.
    • 히스 로트(CV : 오오사카 료타[5])
      바이스리터의 백의 나이트(바이스 나이트). 젊은 나이에 아인베르크에 발탁되어, 흑의 나이트(슈바르츠 나이트) 아놀드에게 경쟁심을 갖고 있다. 전용 나이트메어는 2정 라이플을 주무기로 쓰는 흐레이프닐.
    • 디복 메르테(CV : 미즈나카 마사아키)
      바이스리터의 백의 루크(바이스 루크). 공을 세우는데 야심을 불태우는 성격으로, 2화 예고에서 테러리스트가 잠복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다모클레스를 발진시켜 프레이야로 삿포로 게토를 소멸시키겠다 선언한다. 전용 나이트메어는 포격전 사양의 엘카르마르.
    • 그리드 커크웨인(CV : 노지마 히로후미)
      바이스리터의 백의 폰(바이스 폰). 전략을 세우는 담당으로 흑의 폰(슈바르츠 폰) 그란 커크웨인과는 형제사이이며 형이다. 둘이서 함께 영지를 다스리고 있다.
      {{{#!folding [ 스포일러 ]
과거 사쿠야의 어머니 셰리 메 브리타니아의 측근이었던 커크웨인 가의 자식. 하지만 일본인을 혐오하여 일본이 브리타니아의 지배 하에 있던 시기에는 일본인을 괴롭혔다. 그리고 그랜과 함께 네오 브리타니아가 침공할 당시 내부 조력자로서 네오 브리타니아에 붙고 사쿠야와 사쿠라를 떼어놓게 만들어버린 당사자이기도 하다.

이기면 못 본 체 넘어가겠다는 로제와 나이트메어로 체스를 두지만 전력을 드러낸 애쉬가 커크웨인 휘하의 나이트메어 부대와 동생인 그란 커크웨인까지 죽이며 어처구니 없이 패배한다. 이후 정체를 드러낸 사쿠야에게 '지금까지 죽인 일본인의 100배를 구하겠다고 맹세하면 살 것이고 거부하면 죽을 것이다'라는 기아스가 담긴 기회를 받지만 단칼에 거절, 사쿠야에게 방아쇠를 당기려고 하나 절대준수의 힘을 거스르지 못해 그대로 자기 자신의 머리를 겨누게 되고 즉사한다.
}}}
  • 슈바르츠리터
    노랜드 휘하의 아인베르크의 5간부진. 모티브는 체스의 흑색 말. 다만 이쪽은 킹이 공석이다.

    • 나라 본(CV : 우치야마 유미)
      슈바르츠리터의 흑의 퀸(슈바르츠 퀸). 전황을 냉정히 판단하는 여성 지휘관. 전용 나이트메어는 쿠인크래커와 동형기인 쿠인아스라.
    • 발터 빈슈테드(CV : 카세 야스유키[6])
      슈바르츠리터의 흑의 비숍(슈바르츠 비숍). 주인인 노랜드를 충실히 섬기는 기사.
    • 아놀드 렝크(CV : 사이토 소마)
      슈바르츠리터의 흑의 나이트(슈바르츠 나이트). 노랜드를 걱정하는 참모역할. 전용 나이트메어는 3장의 실드로 무장한 발프니르. 3장의 실드를 무장한 만큼 방어력을 중시한 나이트메어이며 그렇기에 아놀드 스스로도 자신의 나이트메어를 '철벽'이라고 부르며 상당한 자신감을 품고 있다.
    • 크리스토프 시저맨 (CV : 요시노 히로유키)
      슈바르츠리터의 흑의 루크(슈바르츠 루크). 교활하고 능글맞은 성격이나 전투, 전술면은 물론 연구자로서도 탁월한 재능을 갖고 있으며, 아인베르크의 간부진 중 노랜드와 제일 오랫동안 함께한 자이기도 하다. 3화에서는 사쿠야를 이용해 기아스를 만들어내겠다고 한다. 전용 나이트메어는 근접전 특화형인 엘그리프스.
    • 그랜 커크웨인 (CV : 오노 유우키[7])
      슈바르츠리터의 흑의 폰(슈바르츠 폰). 그리드 커크웨인과는 형제사이이자 동생. 나이트메어를 능숙하게 다룬다. 전용 나이트메어는 한 쌍의 대형검이 장비된 레빌테인.
      {{{#!folding [ 스포일러 ]
과거 사쿠야의 어머니 셰리 메 브리타니아의 측근이었던 커크웨인 가의 자식. 하지만 일본인을 혐오하여 일본이 브리타니아의 지배 하에 있던 시기에는 일본인을 괴롭혔다. 그리고 그리드와 함께 네오 브리타니아가 침공할 당시 내부 조력자로서 네오 브리타니아에 붙고 사쿠야와 사쿠라를 떼어놓게 만들어버린 당사자이기도 하다.

칠황성단의 테스트로써 하루카에게 커크웨인 형제를 처리해달라는 의뢰를 받은 로제와 애쉬의 등장에 나이트메어 부대와 자신의 나이트메어 레빌테인을 이끌고 애쉬의 아폴로를 추적, 궁지에 몬 듯한 모습에 기세등등하지만 진짜 실력을 드러낸 애쉬에게 나이트메어 부대가 전멸하고 그란 자신 또한 애쉬에게 자신의 쌍검을 무기력하게 뺐기고 그 쌍검에 콕핏째 반으로 갈라지며 확인사살로 폭사한다.
}}}

3.2. 칠황성단

네오 브리타니아에 점령당한 홋카이도 현지의 레지스탕스 그룹.

* 쿠로토 켄세이 (CV : 쿠로다 타카야)
칠황성단의 단장. 수많은 싸움을 헤쳐온 역전의 용사로 단원들의 존경을 받고 있다. 1장에선 토도 쿄시로처럼 네오 브리타니아의 수용소에 갇힌 상태로 등장. 2화에서 그를 구출하기 위한 수용소 습격 작전이 전개된다.

* 모노베 이사오 (CV : 코니시 카츠유키[8])
칠황성단의 단원. 쿠로토 다음으로 활동 경력이 길다.

* 루타카 하루카 (CV : 토미타 미유)
칠황성단의 단원. 노력가의 일면을 지니고 있으며 나이트메어 조종이 특기. 구작의 오마주가 많은 본편에서 코우즈키 카렌과 같은 저항 세력의 여성 에이스 파일럿 포지션을 맡는다. 탑승 기체는 흑의 기사단에서 개발한 신형 나이트메어인 형설.

* 오다 토모오미 (CV : 치바 쇼야)
칠황성단의 단원. 동료를 생각하는 마음이 있지만 경박한 일면이 있다.

* 무네모리 쇼타 (CV : 반 타이토)
칠황성단의 단원. 오다와 함께 최전선에서 싸운다.

* 아라키 요코 (CV : 스기야마 리호)
칠황성단의 단원. 싸울 때는 오퍼레이터를 담당한다.

* 사노 유우리 (CV : 하루노 안즈)
칠황성단의 단원. 나이트메어 프레임의 정비 등을 담당하는 메카닉.

3.3. 흑의 기사단

  • 사자나미 시로 (CV : 야마모토 카네히라)
    홋카이도 블록과 대치하는 하치노헤 기지 소속의 일본인.
  • 시즈카 카오루 (CV : 코바야시 치카히로)
    홋카이도 블록과 대치하는 하치노헤 기지 소속의 단원. 사자나미의 부하.
  • 사카이 미나토[9] (CV : Lynn) 흑의 기사단 하치노헤 기지에서 니나의 호위로 파견된 여성.
  • 코넬리아 리 브리타니아
    제2장에서 등장 확정. 유튜브에 공개된 예고편에선 흑의 기사단 측 고관들과 통신으로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등장한다.
  • 니나 아인슈타인
    코넬리아와 마찬가지로 제2장에서 등장 확정. 프레이야를 삿포로 게토에 사용하려는 네오 브리타니아에 대항하기 위해, 그리고 이번에야말로 자신이 만들어낸 프레이야를 끝내버릴 각오로 신형 프레이야 엘리미네이터[10]를 개발, 제공한다고 한다.

3.4. 레지스탕스

3.5. 카페

4. 특별 출연


[1] 스메라기 사쿠야와 중복.[2] 총 11명인지라 일레븐이라 불리고 있다. 제복 디자인이나 역할(제국의 핵심전력)을 보면 전작의 나이트 오브 라운즈의 오마주인듯.[3] 하만은 멸망한 악의 조직 포지션인 지온 공국의 잔당을 이끌고 네오 지온을 건설한 뒤 데긴 소도 자비의 친손녀이자 우주공격군 사령관 도즐 자비의 어린 외동딸 미네바 라오 자비를 수반의 자리에 앉혀 실권자 역할을 했다. 놀란드도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의 잔당을 이끌고 네오 브리타니아 제국을 건설하고 어린 아이인 카리스 알 브리타니아, 제98대 황제 샤를의 외손녀 스메라기 사쿠야(=사실은 사쿠야로 위장한 사쿠라)를 연이어 옹립시켜 막후에서 실권을 휘둘렀다.[4] 망국의 아키토에서 클로에 윈켈을 맡은 전적이 있다.[5] 망국의 아키토에서 루네 로랑을 맡은 전적이 있다.[6] 반역의 를르슈에서 큐엘 소레시미나미 요시타카를 맡은 전적이 있다.[7] 망국의 아키토에서 프란츠 바로를 맡은 전적이 있다.[8] 망국의 아키토에서 요한 말칼을 맡은 전적이 있다.[9] 같은 선라이즈 출신인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사카이 미나토와 비슷한 이름이다. 다만 이쪽은 성인 사카이(坂井)가 한자.[10] R2에서 를르슈와 스자쿠가 프레이야 공략에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생긴 창 형태의 장비. 다만 거의 이론상에만 존재할 수 있고, 실전성은 거의 없었는데 를루슈와 스자쿠가 너무 먼치킨이라 기여코 사용에 성공했다. 예고에선 프레이야 탄두를 요격하기 위해 애쉬가 탄 아폴로가 투척하는 장면이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