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세대 콘솔 게임기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가정용 | ||||
| 아타리 2600 · 5200 | |||||
| 페어차일드 채널 F | RCA 스튜디오 II | 발리 아스트로케이드 | 마그나복스 오디세이 2 | ||
| APF-MP1000 | 인텔리비전 | 슈퍼 비전 8000 | 카세트 비전 · Jr. | ||
| 아카디아 2001 | 콜레코비전 | 벡트렉스 | TV 보이 | ||
| 휴대용 | |||||
| 게임 & 워치 | |||||
| 마이크로비전 | 컴퓨터 마작 역만 | 게임 포켓 컴퓨터 | 타이거 일렉트로닉스 | ||
| 각 세대별 콘솔 게임기 둘러보기 1 | 2 | 3 | 4 | 5 | 6 | 7 | 8 | 9+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e60012,#e60012><tablebgcolor=#e60012,#e60012> | 닌텐도 콘솔 게임기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가정용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64DD · iQue | 파나소닉 Q | RVL-101 · mini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휴대용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Lite | XL | |||||
| XL · 2DS | XL · 2DS XL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하이브리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개선판 · Lite휴대용 · OLED | }}}}}}}}} | |||||
파일:Computer_Mah-jong_Yakuman.jpg
1. 개요
コンピュータ マージャン 役満Computer Mah-jong Yakuman
컴퓨터 마작 역만은 1983년 10월 18일에 닌텐도가 일본에서만 발매한 휴대용 게임기이다. 마작 게임을 시뮬레이션하는 기기로, LCD 화면을 내장하고 있으며 게임 & 워치 시리즈와 유사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싱글 플레이어 모드 외에 링크 케이블을 통해 두 대를 연결하여 4인 마작(2인 인간 플레이어 + 2인 CPU)을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게임 기기 중에서 최초로 두 대 연결을 지원한 사례로 알려져 있다.
2. 역사
닌텐도는 더 간단한 게임 & 워치 시리즈의 성공에 이어 더 복잡하고 전략적인 장치로 나이든 고객을 유치하고자 했다. 개발은 요코이 군페이의 R&D1 팀에서 담당했으며, 1980년 게임 & 워치 시리즈 발매 후 3년 만에 출시되었다. 그러나 높은 가격(16,800 엔)과 제한된 기능으로 인해 상업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게임 & 워치보다 거의 3배나 비싼 가격이었고, 같은 해에 14,800엔에 출시된 가정용 콘솔 패미컴 의 가격을 넘어서기도 했다. 거기다 패미컴에도 마작 게임이 있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닌텐도는 이 기기를 통해 휴대용 게임기에서 보다 복잡한 게임을 구현하려는 시도를 했고, 이는 통신 기능과 함께 6년 후 출시되는 게임보이 개발에 중요한 경험적 기반이 되었다. 또한 닌텐도의 마작 비디오 게임 시리즈 의 시작을 알렸으며, 패미컴, 게임보이, 슈퍼 패미컴 등 후속 기종으로 꾸준히 마작 게임을 출시하며 하나의 시리즈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1989년 게임보이 런칭 타이틀로 발매된 야쿠만은 이 기기의 정신적 후속작이라 할 수 있다.
3. 사양
- 화면: LCD (마작 패 표시)
- 배터리: AA 배터리 4개
- 형태: 직사각형 케이스
- 컨트롤: 버튼 기반 (패 선택, 버리기 등)
- 연결: 링크 케이블 지원 (2대 연결로 4인 플레이)
- 플레이어 수: 1인 (싱글) 또는 4인 (멀티, 2인 인간 + 2인 CPU)
사양은 간단하지만, 당시 기술로 마작의 복잡한 룰을 구현한 점이 주목받았다. 디스플레이는 게임 & 워치와 유사하게 고정된 이미지로 패를 표현한다.
닌텐도는 이 게임기가 가정에서도 많이 쓰일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를 위해 AC 어댑터를 사용하여 게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어댑터는 1,000엔에 별도 판매되었다.
4. 게임 내용
전용 마작 게임 하나만 탑재되어 있으며, 일본식 리치마작 룰을 기반으로 한다. 플레이어는 CPU 세 명과 대전하며, 역만 같은 고득점 패를 노릴 수 있다.- 1인 플레이: 플레이어는 3명의 CPU를 상대로 마작 대국을 펼친다. CPU의 인공지능은 비교적 단순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숙련된 플레이어에게는 그 패턴이 예측 가능하기도 했다.
- 2인 플레이 (통신 대전): 전용 링크 케이블로 두 대의 '컴퓨터 마작 역만'을 연결하면 4인 마작을 즐길 수 있다.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기기 화면을 통해 자신의 패를 보며 게임을 진행하고, 나머지 두 명의 자리는 CPU가 채우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