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드라마 시상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한국방송대상 | 백상예술대상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 | |||||
한국PD대상 | ※숨피어워즈 | *서울 드라마 어워즈 |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 아시아태평양 어워즈 |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 *아시아콘텐츠어워즈 & 글로벌OTT어워즈 | 청룡시리즈어워즈 | 디렉터스컷 어워즈 | 벡델데이 | ||||||
일회성 폐지 | ||||||
* 국제 시상식, ※ 가요 시상식을 겸한다. |
대한민국의 예능 시상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한국방송대상 | 백상예술대상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 | |||||
한국PD대상 |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 청룡시리즈어워즈 |
<colbgcolor=#002266><colcolor=#ffffff> 청룡시리즈어워즈 Blue Dragon Series Awards | |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주최 | 스포츠조선 |
첫 시상 | 2022년 7월 19일 ([dday(2022-07-19)]일, [age(2022-07-19)]주년) |
링크 |
[clearfix]
1. 개요
2022년 7월 19일에 처음으로 개최한 시상식으로 청룡시리즈어워즈(Blue Dragon Series Awards, 이하 BSA)는 대한민국 최초로 시도하는 새로운 시리즈 콘텐츠 대상 시상식이다.급속도로 변화하는 영상 시장 속 높아진 오리지널 시리즈 제작·투자 콘텐츠에 대한 관심에 주목, 기존 방송국별 드라마나 예능 등에 머물러 있던 시상식을 한국에서 서비스하는 스트리밍사들의 새로운 제작·투자 콘텐츠로 확장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전문/단독 시상식을 표방하고 있다.[1]
넷플릭스, 디즈니+, Seezn, 애플TV+, 왓챠, Wavve, 카카오TV, 쿠팡플레이, TVING에 이르기까지 한국에서 서비스되는 국내 드라마와 예능을 대상으로 한다.
2. 시상 부문
드라마, 예능 통합드라마
예능
3. 연도별 청룡시리즈어워즈
3.1. 제1회
3.2. 제2회
3.3. 제3회
4. 여담
- 2022년 7월 19일 처음으로 개최되며 남녀를 막론하고 주연상과 조연상(드라마 기준), 예능인상과 신인예능인상(예능 기준) 후보가 모두 겹치게 되었다.
- 2022년 제1회 청룡시리즈어워즈에서 수상한 수상자들은 모두 최초의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 트로피는 청룡영화상 트로피를 축소한 모습이다. 청룡영화상 트로피와 비교하면 청룡영화상 트로피는 크고 아름답고 청룡시리즈어워즈는 청룡영화상보다 아담한 모습이다.
- 2023년 제2회 청룡시리즈어워즈는 시상식 최초 지상파 방송사인 KBS가 주관방송사로 참여하며 생중계로 진행된다.
- 2023년 제2회 청룡시리즈어워즈부터 대상 부문을 신설하여 드라마와 예능·교양을 통합해 최고의 영예를 얻게 되는 수상자(작)를 1팀 선정하게 된다. 이는 백상예술대상의 대상 시상 방식과 유사한 형태이다.[3]
5. 시청률
- 닐슨 전국 유료 가구 기준.
<rowcolor=#f7d801> 연도 | 1부 | 2부 |
2022 | U+ TV와 네이버에서 방영[4] | |
2023 | - | 3.0% |
2024 | - | 2.7% |
[1] 백상예술대상이 TV부문과 영화 부문을 둘다 진행하며 점차 영향력이 올라가자 이에 대응한 것으로 보인다[2] 제2회 시상식부터 신설되었다.[3] 백상예술대상 대상의 시상 범위는 모든 매체를 통틀어 영화와 TV부문을 구분지어 선정하는 것에 비해 청룡시리즈어워즈 대상의 시상 범위는 OTT 플랫폼을 통틀어 드라마와 예능을 통합해 선정하기 때문에 다소 차이는 있다.[4] "개최까지 단 하루!" 청룡시리즈어워즈, 레드카펫 직관 이벤트부터 관련 영상 콘텐츠까지 대중들 관심 '폭발'(네이버 뉴스/스포츠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