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color=#fff><colbgcolor=#EF7C1C> 지축기지선 紙杻基地線 | Jichukgiji Line 삼송지축선 三松紙杻線 | Samsong-Jichuk Line | |
| | |
| 소유자 | 서울시(구파발~지축기지) |
| 대한민국 정부(지축기지~삼송)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
| 운영기관 | 서울교통공사(구파발~지축기지) |
| 한국철도공사(지축기지~삼송) | |
| 노선번호 | - |
| 노선명 | 지축기지선(구파발~지축기지)[1] |
| 삼송지축선(삼송~지축기지) [2] | |
| 종류 | 인입선, 지선철도 |
| 광역전철 노선 | - |
| 역수 | 2[3] |
| 기점 | 구파발역 |
| 삼송역 | |
| 종점 | 지축기지 |
| 개업일 | 1985년 2월 |
| 입선차량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중정비 수행 기간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차량 입·출고선 |
| 노선 제원 | |
| 영업거리 | 2.2㎞(구파발~지축기지) |
| 1.4㎞(삼송~지축기지) | |
| 궤간 | 1,435㎜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4] |
| 신호장비 |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 |
| 선로구성 | 복선 |
| 통행방식 | 우측통행 |
1. 개요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인입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쪽에서는 구파발역, 일산선 쪽에서는 삼송역에서 분기된다. 지축역에 있는 외선이 바로 지축기지선이다. 하지만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지축기지 입/출고 열차는 지축역에 정차할 수 없다.2. 역 목록
| 역번 | ㎞ | 역명 | 승강장 | 분기선 | 소재지 | |||
| 형태 | 횡단 | |||||||
| 318 | 0.0 | 삼 송 | 三 松 | ■││■ | × | 일산선 | 경기도 고양시 | |
| 1.8 | 지축기지 | 紙杻基地 | ||||||
| 319 | (1.8) | | 紙 杻 | │■│ | ○ | |||
| 320 | 3.3 | 구파발 | 舊把撥 | │■│ | ○ | 서울 지하철 3호선 | 서울특별시 은평구 | |
[1] 참고[2] 참고[3] 삼송역 및 구파발역[4] 코레일 담당 구간임에도 직류 방식을 사용한다.[5] 지축역을 지나가긴 하지만 지축기지선에는 승강장이 없어서 입출고열차들이 무정차 통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