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1:45:51

조선사편수회

[[일제강점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
일제강점기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31c31> 상징 국기(일장기) · 국가(기미가요)
통치기관 조선총독부(청사)
언어 일본어 · 조선어
무단 통치(1910년대) 조선 주둔 일본군 · 헌병경찰제도 · 토지 조사 사업 · 회사령 · 광업령 · 어업령 · 조선물산공진회
문화 통치(1920년대 ~ 1930년대 초반) 보통경찰제도 · 비밀경찰제도 강화 · 치안유지법 · 산미증식계획 · 민의창달 · 조선사 왜곡
민족 말살 통치(1930년대 중반 ~ 1945년) 2 경찰서 2 주재소 · 북선개척사업 · 농공병진 · 남면북양 · 자작농창정계획 · 농촌진흥운동 · 국가총동원법 · 교련 · 국민징용령 · 육군특별지원병제 · 학도 특별지원병 제도 · 전시증세령 · 조선임시보안령 · 내선일체 · 일선동조론 · 창씨개명 · 황국신민서사 암송 · 궁성요배 · 신사참배 · 정오묵도 · 가미다나
기타 악법 조선 사상범 보호관찰령 ·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 · 개정치안유지법 · 군기보호법 · 보안법
독립운동 유형 외교 독립 운동 ·  무장 투쟁 운동 · 실력 양성 운동 · 민족 문화 수호 운동 · 사회 운동 · 종교 운동
주요 독립운동 신민회 105인 사건 · 3.1 운동 · 6.10 만세 운동 · 물산장려운동 · 광주학생항일운동 · 신간회 · 조선어학회 사건 · 일장기 말소사건
주요 사건 제암리 학살사건 · 관동대학살 · 간도참변 · 연해주 4월 참변 · 일본군 위안부
학설 식민지 수탈론 · 식민지 근대화론 · 식민지 근대성론 · 자본주의 맹아론 · 근대화 회의론 · 식민사관
단체 조선사편수회 · 식량영단 ·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 조선임전보국단
}}}}}}}}} ||
※ 조선인을 대상으로 한 강제징병은 1944년부터 실시됨

1. 개요2. 설립 목적3. 조직 구성4. 활동5. 해산6. 참여 인물
6.1. 일본인6.2. 조선인

1. 개요

일본 제국이 조선의 역사를 편찬하기 위해 만든 연구기관으로, 1925년 6월 8일 설치되었다.[1]

2. 설립 목적

3.1 운동 발발 이후, 일제는 조선인들을 유화적으로 통치할 필요성을 느끼고 이른바 문화통치를 실시한다. 이때, 유화책의 일환으로 조선의 역사 편찬을 기획함에 따라 조선사편수회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한국사를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왜곡하고,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3. 조직 구성

구성원들은 고위 관료, 경성제국대학 교수 등 모두 이름있는 사람들이였으며, 조선총독부 2인자인 정무총감이 회장직을 맡았다. 회장 밑으로는 고문, 위원, 서기 등이 있었다고 한다.

민족별 구성을 따져보면 대다수는 일본인 출신이였고, 일부 한국인들이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한국인 출신으로는 을사오적에 해당하는 이완용권중현, 변절자 박영효, 최남선 등이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고문직을 맡았다.

4. 활동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C%A1%B0%EC%84%A0%EC%82%AC-17.jpg
일제강점기 조선사 편수회에서 펴낸 조선사
해당 인물들은 작업 끝에 1938년 "조선사" 35권을 발행해낸다. 그 뒤 조선사권수총목록(1938.10), 조선사총색인(1940), 근대조선사연구(1944), 조선통치사논고(1944)를 차례대로 발행하였다.

5. 해산

조선사편수회는 1946년 5월 31일에 해산되면서 막을 내린다.

6. 참여 인물

6.1. 일본인

  • 구로이타 가쓰미
  • 나카무라 히데타카
  • 마쓰이 히토시
  • 아리요시 주이치
  • 오다 미키지로
  • 오다 쇼고
  • 이나바 이와키치
  • 이마니시 류
  • 후지타 료사쿠

6.2. 조선인

  • 신석호
  • 어윤적
  • 유맹
  • 이능화
  • 이병소
  • 정만조
  • 홍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본래 이름은 조선사편찬위원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