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22:19:17

조던 힉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bd3039>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bd3039><colcolor=#ffffff> 투수 22 휘틀록 · 35 크로셰 · 38 해리슨 · 43 산도발 · 44 채프먼 · 46 힉스 · 47 모란 · 50 크로포드 · 57 와이서트 · 63 슬레이튼 · 64 크리스웰 · 66 베요 · 70 톨리 · 71 얼리 · 73 도빈스 · 76 켈리 · 89 하우크 · 93 페랄레스 · # S.그레이 · # 드로한 · # 샌들린 · # 우버스타인
포수 12 · 75 나바에스
내야수 5 그리솜 · 10 스토리 · 17 해밀턴 · 20 소가드 · 23 곤잘레스 · 28 캠벨 · 36 카서스 · 39 마이어 · # T.그레이
외야수 3 라파엘라 · 7 요시다 · 16 듀란 · 19 앤서니 · 40 이튼 · 51 가르시아 · 52 아브레우
''''''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알렉스 코라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라몬 바스케스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 팻츠 파일:미국 국기.svg 딜런 로슨 · 파일:미국 국기.svg 존 소테로풀로스 파일:미국 국기.svg 앤드류 베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플로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카일 허드슨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홀트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배리텍 파일:미국 국기.svg 찰리 매든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우스터 레드삭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46번
브래드 켈러
(2024)
조던 힉스
(2025~)
현역
파일:힉스 레드삭스.jpg
<colbgcolor=#bd3039><colcolor=#fff> 보스턴 레드삭스 No.46
조던 힉스
Jordan Hicks
본명 조던 매킨리 힉스
Jordan McKinley Hicks
출생 1996년 9월 6일 ([age(1996-09-06)]세)
텍사스 주 휴스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사이프러스 크릭 고등학교
신체 188cm | 99kg
포지션 중간 계투[1]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5년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105번, STL)
소속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18~2023)
토론토 블루제이스 (2023)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4~2025)
보스턴 레드삭스 (2025~)
계약 2024 - 2027 / $44,000,000
연봉 2025 / $12,000,000
파일:MLB 로고.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보스턴 레드삭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조던 힉스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조던 힉스/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3 STL 23 TOR 2024년 25 SF 25 BOS

3. 피칭 스타일

선발 투수 전향 이전엔 평균 구속 100마일, 최고 구속이 무려 105마일[2]에 육박하는 강속구를 던지는 파이어볼러였다. 현존하는 MLB 투수들 중 압도적으로 빠른 구속을 보유하고 있었다.[3] 구속이 가장 빨랐던 2018 시즌 싱커의 평균 구속은 100.4 마일, 포심의 평균 구속은 100.9마일로 측정되었다.

다만, 충격적인 데뷔 시즌에도 BB/9이 5.21에 달할 만큼 볼넷을 어마어마하게 내줬을 정도로 제구에 애를 먹었다. 이 영향으로 데뷔시즌 K/9도 가진 구위에 비해 낮은 편인 8.11을 기록할 정도였다.

투수치고는 작은 체구 역시 지적받았는데, 문제는 마른 체구인 이유와 벌크를 늘리기도 힘든 게 1형 당뇨병 환자다.[4] 이미 고등학교 시절에 진단받고 지금까지 선수로 생활한 것도 대단한 수준이다. 만약에 힉스가 실수로라도 인슐린 접종 주기를 놓치거나 혹은 인슐린 접종 후 혈당을 높이는 음식을 안 먹을 경우 라커룸이나 경기장에서 돌연사까지 할 수 있는 무서운 병이다.[5]

샌프란시스코로 팀을 옮긴 2024 시즌부터는 선발 투수로 전향하며 패스트볼 평균 구속을 4마일 정도 줄여 컨트롤에 집중하고 스플리터 구사율을 높여서 던지기 시작했는데 불펜 투수 시절과 달리 구속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정교한 커맨드와 변화구를 적극 활용한 기교파 땅볼 유도형 선발 투수로 변화하여 제구력에서 비약적인 기량 향상을 보였다.

하지만 선발 전향 첫 해라 그런지 시즌이 진행될수록 구속이 지속적으로 떨어져 94마일 정도에서 형성되던 평균 구속이 91마일 정도로 심하게 줄어들어 7점대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고, 이후 불펜으로 이동하면서 다시 구속을 되찾았다.

4. 여담

  • 5월 3일 필라델피아 필리스 원정경기 4회말 등판 때 외야의 이정후가 장타성 타구를 잡아내는 호수비를 보였는데, 놀라서 아예 대놓고 "Holy fuck! (와, X바!)"라며 감탄하는 입모양이 그대로 카메라에 잡혔다. 흥분한 해설자는 이를 못 본 척하기는커녕 센스 있게 "Yes, Jordan Hicks - I agree! (맞아요, 조던 힉스 - 저도 같은 생각이에요!)"라고 덧붙였다.
  • 고등학교 때 무려 1형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고 한다. 참고로 이 병은 메이저리그를 대표하는 유리몸 투수 브랜든 모로우[7]와 역사상 최초의 흑인 메이저리거 재키 로빈슨이 앓거나 앓았던 것으로 유명한 병이며 일본프로야구의 투수 이와타 미노루도 앓고 있는 병이다. 이 병은 야구 선수로 뛰는 것조차 기적일 정도로 심각한 병으로 체질 문제인 2형 당뇨병과는 달리 이쪽은 이자 자체가 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중병이라 하루라도 인슐린 주사를 맞지 않으면 고혈당으로 큰 위험이 따르며, 결국 사망하게 된다. 게다가 식이관리도 철저하게 해야 되는데, 인슐린을 맞고 바로 당을 섭취하지 않으면 저혈당으로 사망하게 된다. 현재 기준 병역판정검사에서는 5급(전시근로역)이 뜬다.
  • 2023년 트레이드를 통해 토론토 블루제이스로 이적한 이후에도 등번호 12번을 사용했는데, 이는 블루제이스 최초의 영구결번[8]로베르토 알로마의 것이었다. 하지만 알로마가 2014년에 있었던 성추문으로 인해 2021년 자격정지 처분을 받자, 공식적으로 영구결번 취소를 발표하지 않았지만 로저스 센터와 구단 홈페이지 등에 내걸렸던 각종 기념물을 모두 삭제한 상태였다. 블루제이스가 2023년 트레이드로 이적해온 힉스에게 등번호 12번 사용을 허가하면서, 알로마의 영구결번 취소를 공식화하였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조던 힉스의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49번
블레이스 일슬리
(2013~2017)
<colbgcolor=#000066><colcolor=#ffffff> 조던 힉스
(2018~2019)
웨이드 르블랑
(2021)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12번
폴 데용
(2018~2019)
조던 힉스
(2020~2023)
에릭 페디
(2024~2025)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12번
로베르토 알로마
(영구결번 해제)
조던 힉스
(2023)
스펜서 턴불
(2025)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12번
엘리엇 라모스
(2023)
조던 힉스
(2024~2025)
결번
}}} ||

[1] 2022년에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5선발로 로테이션에 합류하며 불펜과 선발을 오가며 뛰다가 2024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계약 후 전업 선발 투수로 경기에 나섰다. 시즌 후반기에 로비 레이, 알렉스 콥이 부상에서 복귀하며 불펜으로 보직을 옮겼다가 2025 시즌 개막 후 다시 선발 로테이션을 돌았다. 그러나 부진이 이어지자 개막 두 달만에 다시 중간 계투로 보직이 변경되었다.[2] 약 169km/h[3] 기네스 기록 보유자인 아롤디스 채프먼과 비견된다.[4] 1형 당뇨병을 가지고 선수생활을 한 사례로는 브랜든 모로우가 있다.[5] 참고로 1형 당뇨병 특성상 인슐린을 맞고 혈당을 높이기 위해 사탕이나 음료수 등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고혈당 스파이크가 오는 경우도 많아서 더 안 좋다. 한국의 10~20대 당뇨병 환자들 기준으로 연구한 결과 2형 당뇨 환자들의 기대 수명이 그래도 70대 초반 정도라면 1형 당뇨 환자들의 기대 수명은 60세 언저리로 많이 짧은 것은 이 이유. 참고로 당뇨가 아예 없거나 죽기 몇 년 전 늙어서 당뇨 판정을 받은 사람들의 경우 기대 수명이 80~85세 정도이다.[6] 힉스 본인은 이 일에 대해 아직까지 언급한 적은 없다.[7] 공교롭게도 둘 다 강력한 스터프를 주무기로 하는 우완 파이어볼러이다.[8] 1997년 전 구단 영구결번으로 지정된 재키 로빈슨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