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사전투표일 : 2018년 6월 8일(금) ~ 2018년 6월 9일(토) 오전 6시 ~ 오후 6시 투표일 : 2018년 6월 13일(수) 오전 6시 ~ 오후 6시 | |||||
광역자치단체장 (후보군 · 경선) | 광역의회의원 (선거구) | 교육감 (후보군) | ||||
기초자치단체장 (후보군 · 경선) | 기초의회의원 (선거구) |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 ||||
공약 | 여론조사 | 이야깃거리 | ||||
진행 | 지역별 · 정당별 · 출마 선언 | |||||
결과 | 지역별 · 정당별 · 당선인 통계 | |||||
민선 7기 지방자치단체장 목록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군산 | 김제 | 남원 | 익산 | 전주 |
강임준 | 박준배 | 이환주 | 정헌율 | 김승수 | |
정읍 | 고창 | 무주 | 부안 | 순창 | |
유진섭 | 유기상 | 황인홍 | 권익현 | 황숙주 | |
완주 | 임실 | 장수 | 진안 | ||
박성일 | 심민 | 장영수 | 전춘성 | ||
선거 결과 | |||||
* 진안군수 이항로 군수직 상실 (2019.10.17.) | |||||
◀ 민선 6기 민선 8기 ▶ |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 |
1. 종합 결과
전라북도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
더불어민주당 | 민주평화당 | 무소속 |
10석 | 2석 | 2석 |
1.1. 전주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주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주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승수(金承洙) | 204,515 | 1위 |
| 64.21% | 당선 | |
4 | 이현웅(李顯雄) | 85,458 | 2위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 26.83% | 낙선 | |
5 | 오형수(吳炯洙) | 28,522 | 3위 |
[[정의당| 정의당 ]] | 8.9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24,203 | 투표율 61.81% |
투표 수 | 324,018 | ||
무효표 수 | 5,523 |
1.2. 군산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산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산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임준(姜任駿) | 64,704 | 1위 |
| 49.15% | 당선 | |
2 | 이근열(李根烈) | 2,653 | 5위 |
| 2.01% | 낙선 | |
3 | 진희완(陳熙浣) | 15,284 | 3위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 | 11.61% | 낙선 | |
4 | 박종서(朴鍾瑞) | 14,758 | 4위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 11.21% | 낙선 | |
6 | 서동석(徐棟錫) | 32,954 | 2위 |
| 25.03% | 낙선 | |
7 | 김용경(金容敬) | 1,291 | 6위 |
| 0.9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23,434 | 투표율 60.18% |
투표 수 | 134,455 | ||
무효표 수 | 2,811 |
1.3. 익산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익산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익산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영배(金英培) | 72,169 | 2위 |
| 48.09% | 낙선 | |
4 | 정헌율(鄭憲律) | 77,889 | 1위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 51.90%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45,566 | 투표율 62.42% |
투표 수 | 153,282 | ||
무효표 수 | 3,224 |
1.4. 정읍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읍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읍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유진섭(兪鎭燮) | 25,585 | 1위 |
| 40.86% | 당선 | |
4 | 정도진(丁濤鎭) | 12,212 | 3위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 19.50% | 낙선 | |
5 | 한병옥(韓秉玉) | 3,630 | 5위 |
[[정의당| 정의당 ]] | 5.79% | 낙선 | |
6 | 김용채(金容埰) | 796 | 6위 |
| 1.27% | 낙선 | |
7 | 강광(姜廣) | 5,986 | 4위 |
| 9.56% | 낙선 | |
8 | 이학수(李學洙) | 14,400 | 2위 |
| 22.9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96,002 | 투표율 67.00% |
투표 수 | 64,326 | ||
무효표 수 | 1,717 |
1.5. 남원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원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원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환주(李桓朱) | 27,153 | 1위 |
| 55.54% | 당선 | |
| | 등록무효[1] |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 | |||
4 | 강동원(姜東遠) | 21,733 | 2위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 44.45% | 낙선 | |
| | 사퇴 | |
| |||
계 | 선거인 수 | 69,930 | 투표율 73.69% |
투표 수 | 51,531 | ||
무효표 수 | 2,645 |
1.6. 김제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제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제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준배(朴俊培) | 33,427 | 1위 |
| 66.72% | 당선 | |
4 | 정성주(鄭聖柱) | 16,673 | 3위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 33.2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4,992 | 투표율 68.89% |
투표 수 | 51,665 | ||
무효표 수 | 1,565 |
1.7. 완주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완주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완주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성일(朴成一) | 39,508 | 1위 |
| 76.83% | 당선 | |
4 | 박재완(朴宰完) | 11,912 | 2위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 23.1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8,531 | 투표율 67.29% |
투표 수 | 52,842 | ||
무효표 수 | 1,422 |
1.8. 진안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진안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진안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항로(李杭魯) | 12,048 | 1위 |
| 70.56% | 당선 | |
4 | 이충국(李忠國) | 2,983 | 2위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 17.47% | 낙선 | |
6 | 박수우(朴洙雨) | 2,042 | 3위 |
| 11.9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3,029 | 투표율 76.36% |
투표 수 | 17,585 | ||
무효표 수 | 512 |
그러나 이항로 군수는 1년후 선거법위반으로 당선무효형이 확정되면서 중도낙마하게 되었다.
1.9. 무주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주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주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백경태(白炅台) | 7,311 | 2위 |
| 43.19% | 낙선 | |
6 | 황인홍(黃仁洪) | 9,614 | 1위 |
| 56.80%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1,573 | 투표율 80.50% |
투표 수 | 17,366 | ||
무효표 수 | 441 |
1.10. 장수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수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수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장영수(張榮洙) | 6,461 | 1위 |
| 40.00% | 당선 | |
6 | 배한진(裵翰振) | 329 | 4위 |
| 2.03% | 낙선 | |
7 | 이영숙(李瑛淑) | 4,410 | 3위 |
| 27.30% | 낙선 | |
8 | 김창수(金昌洙) | 4,950 | 2위 |
| 30.6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0,072 | 투표율 82.66% |
투표 수 | 16,592 | ||
무효표 수 | 442 |
1.11. 임실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임실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임실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전상두(全相斗) | 7,119 | 2위 |
| 36.41% | 낙선 | |
6 | 박기봉(朴基鳳) | 1,976 | 3위 |
| 10.10% | 낙선 | |
7 | 심민(沈敏) | 10,453 | 1위 |
| 53.47%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5,942 | 투표율 77.37% |
투표 수 | 20,072 | ||
무효표 수 | 524 |
1.12. 순창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순창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순창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황숙주(黃淑周) | 10,270 | 1위 |
| 51.08% | 당선 | |
4 | 홍승채(洪承采) | 1,411 | 3위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 7.01% | 낙선 | |
6 | 강인형(姜仁馨) | 8,423 | 2위 |
| 41.8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5,441 | 투표율 80.99% |
투표 수 | 20,604 | ||
무효표 수 | 500 |
1.13. 고창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창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창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우정(朴禹廷) | 17,515 | 2위 |
| 48.48% | 낙선 | |
4 | 유기상(劉基相) | 18,607 | 1위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 51.51%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50,442 | 투표율 74.01% |
투표 수 | 37,332 | ||
무효표 수 | 1,210 |
1.14. 부안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안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안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권익현(權翼鉉) | 17,125 | 1위 |
| 50.73% | 당선 | |
3 | 김경민(金京旼) | 1,063 | 4위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 | 3.14% | 낙선 | |
4 | 김상곤(金相坤) | 1,373 | 3위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 4.06% | 낙선 | |
6 | 김종규(金宗奎) | 14,193 | 2위 |
| 42.0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8,572 | 투표율 71.73% |
투표 수 | 34,843 | ||
무효표 수 | 1,089 |
2. 둘러보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 |
[1] 공직선거법 제52조 제1항 제11호로 인한 등록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