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3:29:3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경상북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전투표일 : 2018년 6월 8일(금) ~ 2018년 6월 9일(토) 오전 6시 ~ 오후 6시
투표일 : 2018년 6월 13일(수) 오전 6시 ~ 오후 6시
광역자치단체장
(후보군 · 경선)
광역의회의원
(선거구)
교육감
(후보군)
기초자치단체장
(후보군 · 경선)
기초의회의원
(선거구)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공약여론조사이야깃거리
진행지역별 · 정당별 · 출마 선언
결과지역별 · 정당별 · 당선인 통계
민선 7기 지방자치단체장 목록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포항 경주 구미 김천 안동
이강덕 주낙영 장세용 김충섭 권영세
경산 영주 영천 영양 문경
최영조 장욱현 최기문 오도창 고윤환
예천 군위 고령 상주 칠곡
김학동 김영만 곽용환 강영석 백선기
의성 청송 성주 울진 영덕
김주수 윤경희 이병환 전찬걸 이희진
청도 봉화 울릉
황영호
[[권한대행|
권한대행
]]
엄태항 김병수
* 청도군수 이승율 임기 중 사망 (2022.1.2.)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8기 }}}}}}}}}}}}}}}

1. 종합 결과

경상북도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자유한국당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17석 1석 5석
포항시,영덕군(!), 칠곡군에서 40% 이상의 득표율을 올려 선전하고, 무엇보다도 구미시에 더불어민주당 시장이 입성해서 보수의 심장에 민주당 후보가 입성하게 되었다.

1.1. 포항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항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포항시 CI_White.svg 포항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허대만(許大萬) 108,127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2.41% 낙선
2 이강덕(李康德) 127,592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50.05% 당선
3 이창균(李昌均) 7,988 3위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3.13% 낙선
6 손성호(孫聖昊) 3,329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30% 낙선
7 모성은(牟聖恩) 7,869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08% 낙선
선거인 수 421,806 투표율
61.49%
투표 수 259,375
무효표 수 4,470

1.2. 울릉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울릉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울릉군 CI_White.svg 울릉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영희(朴永熙) 459 4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23% 낙선
2 김병수(金秉洙) 2,615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5.54% 당선
6 최수일(崔樹一) 1,92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6.20% 낙선
7 김현욱(金絃郁) 440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98% 낙선
8 남한권(南漢權) 1,915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6.02% 낙선
선거인 수 9,057 투표율
82.59%
투표 수 7,480
무효표 수 123
여담으로 민주당의 박영희 후보는 10%도 얻지 못하고, 경북 지역에서 민주당 소속 최저 득표율로 낙선했다. 이때 낙선한 남한권 후보는 4년 뒤 울릉군수에 당선된다.

1.3. 경주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주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주시 CI_White.svg 경주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임배근(林培根) 30,494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2.38% 낙선
2 주낙영(朱洛榮) 47,656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4.99% 당선
3 손경익(孫慶翼) 8,436 5위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6.19% 낙선
6 최길갈(崔길갈) 2,253 3위


[[대한애국당|
파일:대한애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14% 낙선
7 박병훈(朴炳勳) 28,42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86% 낙선
8 최양식(崔良植) 19,632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41% 낙선
선거인 수 218,273 투표율
63.75%
투표 수 139,158
무효표 수 2,961
손경익, 최길갈, 박병훈, 최양식의 출마로 인하여 보수 표가 갈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주낙영이 34.99%의 득표율을 받고 당선되었다. 여담으로 최길갈은 낙선 후 제명되었다.

1.4. 김천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천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김천시 CI_White.svg 김천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김응규(金應奎) 27,098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3.75% 낙선
6 박건우(朴喜住) 12,405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5.45% 낙선
7 김충섭(金忠燮) 40,775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0.79% 당선
선거인 수 119,511 투표율
69.93%
투표 수 83,572
무효표 수 3,294

1.5. 안동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동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안동시 CI_White.svg 안동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삼걸(李參杰) 29,173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1.74% 낙선
2 권기창(權奇菖) 27,806 3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0.25% 낙선
6 권영세(權寧世) 31,390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4.15% 당선
7 안원효(安原孝) 3,538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84% 낙선
선거인 수 137,423 투표율
68.73%
투표 수 94,454
무효표 수 2,547
상당히 보수성향이 강한 동네임에도 불구하고, 더불어민주당2위로 여기서 선전했다. 물론 3자구도에서의 이득을 누린 점이 크다. 여담으로 권영세는 훗날 민주당으로 입당하게 된다.

1.6. 구미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미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장세용(張世龍) 74,917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0.79% 당선
2 이양호(李良鎬) 71,055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8.69% 낙선
3 유능종(劉能鍾) 13,849 4위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7.54% 낙선
6 박창욱(朴昌旭) 6,482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52% 낙선
7 김봉재(金奉在) 17,337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44% 낙선
선거인 수 332,873 투표율
56.25%
투표 수 187,244
무효표 수 3,604

1.7. 영주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주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영주시 CI_White.svg 영주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윤옥식(尹鈺植) 12,131 3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72% 낙선
2 장욱현(張彧鉉) 29,719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8.32% 당선
6 김주영(金宙榮) 19,653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1.95% 낙선
선거인 수 91,447 투표율
69.70%
투표 수 63,738
무효표 수 2,235

1.8. 영천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천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영천시 CI_White.svg 영천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정훈(李正勳) 9,974 3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7.14% 낙선
2 김수용(金守瑢) 20,145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4.63% 낙선
6 이남희(李南熙) 1,547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65% 낙선
7 최기문(崔圻文) 26,504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5.56% 당선
선거인 수 88,000 투표율
68.26%
투표 수 60,071
무효표 수 1,901

1.9. 상주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상주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주시 CI_White.svg 상주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송(鄭淞) 10,895 4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8.15% 낙선
2 황천모(黃天模) 15,394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5.65% 당선
6 김형상(金亨相) 750 6위


[[대한애국당|
파일:대한애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24% 낙선
7 이정백(李廷白) 12,972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1.61% 낙선
8 성백영(成百營) 6,377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0.62% 낙선
9 김종태(金種泰) 13,625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2.70% 낙선
선거인 수 87,109 투표율
71.17%
투표 수 61,997
무효표 수 1,984
전임 시장 성백영, 현임 시장 이정백, 전 상주시 국회의원 김종태 등 상주시의 정치 거물들이 무소속으로 출마하고, 대한애국당에서도 김형상이 출마했기 때문에 표 분산이 거하게 발생하면서 북부경북이자 자유한국당 텃밭에서 황천모 후보가 25.65%라는 낮은 득표율로 당선이 되었다.

1.10. 문경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경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문경시 CI(2002-2023)_White.svg 문경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영기(朴榮基) 3,931 3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8.79% 낙선
2 고윤환(高潤煥) 21,512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8.14% 당선
6 신현국(申鉉國) 18,723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1.90% 낙선
7 권칠경(權七敬) 514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5% 낙선
선거인 수 62,685 투표율
73.73%
투표 수 46,219
무효표 수 1,539
여담으로 민주당이 단 10%도 넘기지 못하고 낙선한 지역 중에서 그나마 10%에 근접한 지역이다.

1.11. 예천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예천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예천군 CI_White.svg 예천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김학동(金學東) 17,866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53.28% 당선
6 이현준(李鉉濬) 15,660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6.71% 낙선
선거인 수 44,218 투표율
78.33%
투표 수 34,637
무효표 수 1,111

1.12. 경산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산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산시 CI_White.svg 경산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찬진(金燦振) 40,180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4.71% 낙선
2 최영조(崔永祚) 64,496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55.72% 당선
3 정재학(鄭在學) 11,068 3위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9.56% 낙선
선거인 수 215,139 투표율
55.09%
투표 수 118,511
무효표 수 2,767

1.13. 청도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도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청도군 CI_White.svg 청도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태율(金泰律) 10,251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7.07% 낙선
2 이승율(李承律) 17,399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62.92% 당선
선거인 수 39,294 투표율
72.19%
투표 수 28,368
무효표 수 718

1.14. 고령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령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곽용환(郭龍煥) 11,434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58.30% 당선
6 임욱강(林煜剛) 8,17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1.69% 낙선
선거인 수 29,462 투표율
68.90%
투표 수 20,298
무효표 수 688

1.15. 성주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주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강태(李康太) 4,340 3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5.68% 낙선
2 이병환(李炳桓) 11,299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0.83% 당선
6 배기순(裵基淳) 사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7 오근화(吳根和) 1,417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12% 낙선
8 전화식(全和植) 10,612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8.35% 낙선
선거인 수 40,239 투표율
71.75%
투표 수 28,870
무효표 수 1,202

1.16. 칠곡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칠곡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칠곡군 CI_White.svg 칠곡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장세호(張世浩) 23,244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3.47% 낙선
2 백선기(白善基) 25,243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7.21% 당선
6 장재환(張在煥) 4,97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30% 낙선
선거인 수 96,894 투표율
56.61%
투표 수 54,849
무효표 수 1,389
사드 배치 문제와 석적읍으로 대표되는 칠곡군은 6회 지선이나 19대 대선에서나 보수의 우세지역이였다. 하지만, 이번엔 공단지역인 석적읍에서의 민주당의 압승과 북삼읍에서의 선전, 관외투표의 영향으로 장세호 후보가 3.74%라는 차이로 석패했다. 물론 이는 장세호가 전 칠곡군수라는 점이 한 몫 했다.

1.17. 군위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위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군위군 CI_White.svg 군위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김영만(金瑛晩) 8,770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8.20% 당선
6 홍진규(洪珍圭) 2,647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54% 낙선
7 장욱(蔣煜) 6,774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7.24% 낙선
선거인 수 22,753 투표율
81.93%
투표 수 18,642
무효표 수 426

1.18. 의성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의성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의성군 CI_White.svg 의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김주수(金周秀) 21,049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60.07% 당선
6 신광진(申光鎭) 2,312 3위


[[민중당(2017년)|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6.59% 낙선
7 최유철(崔宥徹) 11,675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3.32% 낙선
선거인 수 48,843 투표율
74.21%
투표 수 36,245
무효표 수 1,209

1.19. 청송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송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청송군 CI_White.svg 청송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윤경희(尹敬熙) 9,604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54.62% 당선
6 심상박(沈相博) 7,97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5.37% 낙선
선거인 수 23,522 투표율
77.17%
투표 수 18,152
무효표 수 569

1.20. 영양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양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영양군 CI_White.svg 영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상선(金相先) 997 3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95% 낙선
2 오도창(吳道昌) 5,798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6.23% 당선
6 박홍열(朴洪烈) 5,73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5.78% 낙선
선거인 수 15,686 투표율
82.26%
투표 수 12,903
무효표 수 369
민주당이 단 10%도 넘기지 못 하고 낙선한 지역 중 두번째로 10%에 근접한 지역이다.

1.21. 영덕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덕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영덕군 CI_White.svg 영덕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장성욱(張誠郁) 10,724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1.92% 낙선
2 이희진(李熙進) 13,845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54.12% 당선
6 박병일(朴秉一) 1,01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94% 낙선
선거인 수 34,366 투표율
76.64%
투표 수 26,338
무효표 수 759
북부경북에 농어촌이라서 자유한국당 세가 너무 강한 나머지, 민주당의 무덤으로 불리지만, 이번엔 장성욱이 41.92%를 얻어 선전했다.

1.22. 봉화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봉화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봉화군 CI_White.svg 봉화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두성(金斗星) 등록무효[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 박노욱(朴魯旭) 10,800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9.69% 낙선
6 엄태항(嚴泰恒) 10,934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0.30% 당선
선거인 수 29,582 투표율
78.91%
투표 수 23,342
무효표 수 1,608
실제로 엄태항 군수는 맨 처음 선거때 민주자유당으로 당선됐던 한나라당 계열의 정치인이지만, 현재는 순수 무소속으로 분류된다. 19대 대선 정국에서는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를 지지했던 사람이다. 즉 원래부터 한국당에 가까웠던 사람이 아닌 것.

1.23. 울진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울진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울진군 CI_White.svg 울진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진철(姜鎭澈) 2,520 4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87% 낙선
2 손병복(孫炳福) 8,542 3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6.67% 낙선
6 임광원(林光元) 8,82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7.57% 낙선
7 전찬걸(田燦傑) 12,129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7.88% 당선
선거인 수 43,356 투표율
76.54%
투표 수 33,183
무효표 수 1,164
민주당이 단 10%도 넘기지 못 하고 낙선한 지역 중 세번째로 10%에 근접한 지역이다.

2. 둘러보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svg
부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
파일:경기도 휘장(2005-2021).svg
경기
파일:강원도 휘장.svg
강원
파일:충청북도 휘장(1998-2023).svg
충북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남
파일:전라북도 휘장.svg
전북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남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북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남
}}}}}}}}}



[1] 책자형 선거공보 1만8000여 부를 기한까지 제출하지 않아 등록무효 처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