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15bf69><colcolor=#fff> 인스티즈 instiz | 音思提资[1] | |
| |
종류 | 인터넷 커뮤니티 |
국가 | [[대한민국| ]] |
회원가입 | 선택[2] |
개설 | 2009년 8월 3일 |
설립자 | 김준혁 |
링크 |
[clearfix]
1. 개요
2009년 8월 3일에 오픈한 유료 회원제[3] 연예오락 커뮤니티 사이트. 주로 아이돌 덕질을 다루는 여초 사이트 중 하나이다.2. 이름
사이트 제목은 '본능'이라는 뜻의 영단어 instincts에서 유래했다. 줄여서 인티라고도 불리며, 사이트 슬로건은 덕질은 본능, 많은 연예계 이슈가 여기서 시작!이다.인스티즈 익명게시판 회원을 지칭하는 단어는 익인이다.
3. 특징
- 게시판은 주로 연예계 연관 여부, 그리고 익명 여부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으로 여러 이슈나 유머글이 주로 올라오는 인티포털이 있다. 운영진은 주르륵[4]을 포함해 여러 명이고 상근이라는 봇도 있다. 포인트 제도가 있어 아이템을 구매해 댓글이나 T홈을 꾸밀 수 있고 코어 유저들을 위한 등급 시스템까지 있다.
- 가입비를 지불하고 가입하는 유료 사이트이다.[5] 주로 새벽에 가입창이 열려 무료가입도 가능하다.# 가입하지 않아도 공포, 성인인증 게시판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글은 열람 가능하다. 클린정책 도입으로 신고로 정지되면 글 자체를 볼 수 없고[6]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5900원을 지불하거나 6개월을 기다려야 한다.[7]
- 주기적으로 회원들이 불만에 대해 토로하는 일명 '농민봉기'가 일어나지만 운영진에 의해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인스티즈가 욕 먹는 제일 큰 이유.[8]
- 악의적 게시물은 사실적시 명예훼손, 모욕, 영업방해 등으로 고소할 수도 있는데, 클린한 이미지를 지향하기 때문인지 그러한 사례는 없다. 아마도 조용히 고소하는 듯.
- 이용규칙에 입각한 사용자 징계가 철저하므로 이용규칙#을 꼼꼼히 읽지 않는다면 제재를 당할 수 있다.
3.1. 성향
- 인스티즈 운영진이 강조하는 가치가 자유로운 글쓰기이다. 디시인사이드에서 무규율성 하에 다양한 성향이 나타는 것과 유사하게, 인스티즈에는 다양한 성향이 병존하고 있다. 다만, 운영진의 강력한 통제로 상대방에 대한 비방성 표현이 철저하게 금지되므로 대놓고 성별이나 성향에 대한 혐오를 드러내지는 않는다.
- 연예·오락 커뮤니티를 표방하는 만큼, 주된 콘텐츠는 연예오락. 특히 아이차트와 익명 연예 게시판이 많이 활성화돼 있고 유저들이 인티를 드나드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다. 연령대는 10대 중후반에서 20대 초중반 정도로 어린 편이며, 유저들의 대부분이 여성인 여초 사이트이다.[9] 아이돌 덕후들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배우, 애니/만화, 외국 연예인, 영화/드라마/뮤지컬, 웹툰, BJ 덕후들도 의외로 많이 모여 있다.
- 인스티즈는 욕설, 비속어가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순해 보인다. 처음 인스티즈를 들어온 몇몇 유저들은 사이트 유저들 반응에 심히 답답해하기도 했었다.[10] 하지만 타 커뮤 유입이 증가하면서 육두문자만 없지 사실상 쌍욕에 가까운 언행을 하는 일들이 많아지고 있다.
- 대부분의 유저들이 연예인 덕질하려고 들어온거지 젠더이슈와 정치이슈로 투기장 열기 위해 온 유저들은 사실상 여쭉메워에서 건너온 사람들이 대부분이라 보면 된다. 젠더 관련 사상 피력 활동을 하러 오는 사람은 드물다 보니, 여쭉메워의 미러링에는 반대하는 이들이 다수이다.** 인스티즈 내 다수의 유저들은 여쭉메워에 대한 시선이 곱지도 않으나, 모두 그렇지는 않고 이에 동조하는 유저들도 있다. 친여쭉메워 유저와 반여쭉메워 유저간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한다. 다만 본질적으로는 여초 커뮤니티이기에 정부의 여성정책 등에 대한 반응은 상당히 호의적이다.
- 다만 타 여초 사이트들과 다르게 남성혐오, 군대이슈에 대해서는 비교적 중립적인 편이다. 특히 여초 사이트들 중에서 특이하게도 군인에 대한 비하가 거의 없는 사이트기도 하다. 다만 이러한 이슈 자체를 분쟁거리라 생각해 싫어하는 유저들도 많은 편.
- 혐오 발언이 드물다는 이유로 이 곳을 페미니즘과 거리를 두는 곳이라 말하기는 어렵다. 대표적인 이유는 탈코르셋에 대한 라이트한 지지 성향이 있다는 점인데, 이 영향으로 다른 여초 커뮤니티에서는 아주 흔한 본인 외모/몸매/화장품에 관해 조언 또는 평가해달라는 글이 일절 올라오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탈코르셋 여부는 자유로 치부하되 탈코르셋에 대한 비호감 표출은 혐오한다' 정도의 스탠스를 보인다. # 또한, 성적 대상화를 극도로 싫어한다. 성적 매력이 조금이라도 강조된 여성의 사진이 올라오면, 그 대상이 연예인이든 일반인이든, 글 내용이 무엇이든 가리지 않고 유저들은 생리적 거부 반응을 보이며, 신고로 삭제되는 경우도 많다.
- 아이돌 중심 커뮤니티임에도 이러한 성향을 보이는 점은 눈에 띄는 점이다. 아이돌이 어느 정도 대상화를 전제로 하는 직업임에도 유저들이 워낙 싫어하기 때문에, 아이돌 이야기를 할 때도 외모 이야기 자체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고, 특히 몸매 이야기는 그냥 암묵적으로 금지된다고 봐도 될 정도다.
- 혐오성 발언들이 난무한 반면 탈코르셋에 대해서는 상당히 부정적이고 다이어트 및 패션에 관심이 많고 사진도 자주 올라오는 여초 커뮤니티인 네이트판, 더쿠와는 정반대의 특성이다.
- 2023년 현재는 페미니즘의 이미지가 워낙 안 좋아져서 그런지 과거에 비해 해당 이슈를 꺼내는 글 자체가 많이 줄어들었다. 다만 성별갈등 이슈마다 중립적을 표방하며 여성을 두둔하거나 옹호하는 반응도 많아서 여성이 불리한 통계나 기사, 사건사고 등은 아예 언급조차 하지 않는 경향도 있다.
- 자유로운 글쓰기의 보장 아래에서 선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을 지닌 커뮤니티이기도 하다. 페미니즘 관련 유행어인 회사 안다녀와 '리스테린 소독'에 관한 카더라식 선동도 인스티즈에서 시작됐다. 커뮤니티 유저가 경각심을 가져야할 부분.[11]
3.2. 규정 준수 팁
- 의도가 있는지 불문하고 '광고/홍보/판매' 및 간접홍보가 되는 경우에 제재를 당할 수 있다.[14]
- 규정을 언급하며 질문형으로 답변하면 신고를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대의견을 피력 할 때 "자유로운 글쓰기 방해라 글쓴이 징계 받을 수 있다" 는 형태로 이용규칙을 인용하면 징계를 받지 않는다.
- 어그로가 의심 된다고 대응 할 경우 자유로운 글쓰기 방해로 7일 쓰기차단이라는 중대한 징계를 받을 수 있다.[17]
- 인스티즈 비방 혹은 커뮤니티를 전반 비판 또는 불평도 자제 하는 것이 좋다.[18]
- 여초 커뮤니티라도 대놓고 여자 편 들어달라고 애걸하는 글을 올린다면 성차별 및 성혐오 조장으로 6개월 정지 처분당한다. 설령 의도한 게 아니어도 남혐이라고 오해할만한 글은 당장 삭제된다고 볼 수 있다.[19][20]
- 논란의 소지가 있는 게시글은 주의할 점이 있다. 그것은 게시글 추천과 동조 그리고 무엇보다 묵시적 동의를 하면 안된다. 묵시적 동의는 난 별 생각 없음, 실제 부정적 경험담 제공하여 간접적 동조하기도 포함된다.[21]
- 병원추천과 외모 부정평가를 하지말자. 타 사이트에서 추천글 인증 이벤트를 진행해도 인스티즈에 글을 올리면 징계 당한다.[22]
3.3. 혜택 제공
- 공지사항 내 이벤트 코너에 가면 시사회, 도서, 전자제품 등 같은 다양한 금전적 이득을 볼 수 있다.[23]
- 장터 내 택배신청 버튼을 누르면 인스티즈 내 거래가 아니더라도 저렴한 가격으로 빠른 배송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회원일 때 상점에서 인스티즈 초대번호를 반값 이하로 구입할 수 있다.
- 타롯포인트 게임 이용 시 정지해제권이나 쓰기 차단 해제권이 종종 나온다.[24]
- 픽션에서는 작가활동이 가능한데, 여기서 구독료로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앞서 말한듯 이 포인트는 곧 금전이 된다.
3.4. 보안 및 이용자 보호
- 게시글을 쓰면 간혹 게시중단요청이 발생한다. 게시물의 원저작자(작가, 타사이트, 초상권자) 혹은 연예인이 본인 내용을 내리고 싶어할 때 가능한 조치이며, 이는 법적 효력을 갖지 않는 사이트 내 임시조치이므로 30일 이내 복구요청을 통해 다시 게시될 수 있다.
- 이용자를 고소하겠다는 협박을 당하더라도 인스티즈는 IP를 수집하지 않기에 회피할 수 있다. 익명성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기에 수사기관에서 연락이 오는 경우가 없다고 보면 된다.[25][26]
- 회원문의 시 가능하면 모든 상황을 캡처나 복사하여 첨부해야한다. 운영진도 이용자 익명성 보호를 위해 이용자의 활동 내역을 조회할 수 없다고 한다.[27]
- 회원가입시 클릭을 많이 하면 접속차단 문구가 뜰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메일로 온 초대번호 URL을 클릭하면 접속이 허용 된다.
3.5. SNS 활동
- 커뮤니티의 SNS 활동이 활발해 '인스티즈 연예소식' 트위터의 경우 88만, 페이스북의 경우 43만이 넘는 팔로워를 가지고 있다. 특히 트위터는 연예계 관련 소식을 받다보면 적어도 한 번 이상은 인스티즈 글을 접해볼수 있을 정도로 자료가 많이 나오는 곳중 하나다. SNS 팔로우 시 무료가입창 알람을 보내주기도 한다.[28]
4. 게시판 종류
게시판은 자유잡담, 예인잡담, 장터, 익명감상, 글잡담, 익명예잡, 익명잡담, 인티포털, 인티뮤직, 일정, iChart, 예인영상, 인티영상, 스포츠, 외국연예, 오싹공포, 투표, 좋은예감, 그림노래, 포토, 게임과 부속 게시판으로 되어있다.- 자유잡담 : 말 그대로 자유게시판. 익명잡담과 달리 글과 댓글에 닉네임이 남는다. 가끔 운영진이 방문하기도 한다. 새로 가입한 회원들이 먼저 찾는 장소이기도 하다. 레벨 제한이 없어서 바로 글을 쓸 수 있기 때문.
- 예인잡담 : 역시 연예계 관련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게시판이지만, 닉네임이 남는다. 크게 활성화되지는 않은 게시판.
- 장터 : 말 그대로 인스티즈판 미니 중고나라. 비 연예인 물품과 연예인 물품(굿즈) 둘다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고 공동구매도 가능하다. 전자는 옷이랑 책 등의 일상용품을 거래하고 후자는 연예인 관련 상품을 거래한다. 중고나라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거래량이 제법 되는듯. 글마다 판매자의 정보와 상근이의 주의문이 달려있으나 가끔 사기꾼도 출몰하니 유의가 필요하다.
- 익명감상 : 익명으로 TV드라마나 예능프로를 시청한 뒤 감상문을 남기는 게시판.
- 글잡담 : 팬픽, 소설, 사담 등등을 쓸 수 있는 게시판. 이전에는 19세 이상만 읽을 수 있는 수위글도 올라왔으나, 현재는 운영진에 의해 금지되었다.
- 익명예잡 : 연예계 관련 이야기를 익명으로 나눌 수 있는 게시판. 크게 (K)POP/예능과 드라마/영화/배우로 나눠지며 수 백개의 부속 게시판이 있다.[29]
- 뷰티 : 익명뷰티. 익명으로 뷰티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이다. 화장품, 패션, 성형, 다이어트 게시판 등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 공부 : 익공부방. 공부, 입시 등과 관련 이야기를 하는 게시판.
- 마성의 방 : 성 고민이나 민감한 경험담들을 얘기하는 게시판.[30]
- 만애 : 익명으로 만화애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이다. 2016년 8월 기준으로 남성향 애니인 하이큐, 은혼 등이 메이저이고 히로아카, 쿠농, 명탐정 코난, 다이에이, 새연, 몹싸,
앙스타[31],수메[32] 등등의 글이 자주 올라오는 편이다. 익명만애에서 유명한 캐릭터는 다이에이의 아카마츠.# 합작도 다른 게시판에 비해 많은편이다. (글+그림을 합쳐 약 30글 이상의 합작을 했다. 프리방에서도 종종 합작을 한다.) 2016년 11월 기준으로는 하이큐, 문스독[33], 쿠농, 은혼이 메이저이다. 트위터에서 이슈였던 히나타 쇼요 흑발벽안짤과 하이큐 한국 남고딩 Ver.[34]도 이곳이 출처다. 음방 얘기는 하지 않는것이 좋다.[35] 사실상 인티 내에서 제일 단합력 있는 게시판이다. 익명만애의 생일날은 프로필 사진과 꼬릿말을 만들고, 익명만애 공식 캐릭터도 있다.
- 익명잡담 : 모든 글과 댓글을 익명으로 달 수 있는 자유잡담의 익명판 잡담 게시판. 익명감상, 뷰티, 만애, 익촉 게시판은 이 게시판의 부속게시판이다. 최근 2분 사이의 인기글에 인티포털과 함께 자주 올라오는 게시판으로, 인티포털에 이어 유동인구가 높은 게시판으로 추측된다. 그만큼 참 다양한 떡밥들이 오고간다. 회원들의 일상이야기가 주로 올라온다.
- 인티포털 : 사회적 이슈, 유머, 연예계 일거수 일투족, 생활&문화&시사&스포츠, 외국 이슈등 각종 정보/볼거리를 제공한다. 펌글이 주를 이루며 레벨 7 이상만 글 작성이 가능하다. 인스티즈의 대동맥과도 같은 게시판.
- 외국연예 : 외국연예계에 대한 잡담을 나누는 곳으로, 닉네임이 남는다.
- 인티영상 : 국내외 유머/이슈 영상과 음성을 올리는 멀티미디어 게시판. 인티포털에 동영상 같은걸 올리고 싶으면 여기에다 올리면 된다. 다만 활성화는 인티포털보다 조금 덜된편.
- 예인영상 : 팬 전용 영상 전용 게시판.
- 인티뮤직 : 음악 방송, 뮤직비디오 업로드 게시판. 신곡 뮤비, 티저, 미리듣기는 물론이고 웬만한 음악방송 무대가 TV에 나오면 3~5분 이내에 자체 서버로 다시보기를 제공해준다. 부속게시판중 회원이 직접 노래를 녹음해서 올리는 회원노래 게시판이 있는데, 잘 부르면 메인에 올라가기도 한다.
- 일정 : 연예인들의 기념일, 컴백일 등등 여러가지 주요 일정을 한눈에 보여준다. 회원들이 직접 추가할 수 있다.
- iChart : 해당 문서 참조. 6개 음원사이트 순위를 통합해서 정리해준다.
- 오싹공포 : 말 그대로 무서운 글들이 잔뜩 있다.회원전용으로 운영
- 인티재주 : 회원이 직접 부른 노래나 그림을 올릴 수 있는 곳, 등업시 노래 감상평을 하나 이상 달아야 한다
- 좋은예감 : 사이트 내부에서 점괘를 봐주고 포춘쿠키도 까준다. 그외에도 타롯포인트, 1시간의 기적, 빈칸채우기에서 포인트를 벌 수 있다. 타롯과 1시간의 기적은 사실 복권(?)에 가까운지라 한번에 많은 포인트를 벌 수 있어서 인기가 많다.
대한민국의 영화 커뮤니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웹사이트 | |||
| | | | |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
영화 | 누벨바그 | 넷플릭스 | 상업영화 | |
오리지널 티켓 | 필로 | 해외영화 | 할리우드 | |
BBS | ||||
에펨코리아 영화/TV | 루리웹 영화정보 | 더쿠 드영배 | 디미토리 영화방 | |
네이버 영화 카페 | 키노라이츠/커뮤니티 | 플레이어스/미디어/도서/음악 | 개드립넷/영상판 | |
아카라이브/영화 채널 | 인스티즈/드라마/영화/베우 | 침하하/영화&영상 | 이토랜드/영화 |
- 드라마/영화/배우: 속칭 드영배라고 불리는 게시판이다. 국내 여초 드라마-영화 커뮤니티 중에서는 더쿠 영화게시판과 함께 상당한 규모와 글리젠을 보여주고 있다.
4.1. 익명연예 독방 별 호칭
공식적인 팬덤명과 똑같은 호칭을 사용할 수 없다.4.2. 익명잡담 독방 별 애칭
독방 | 애칭 | 독방 | 애칭 |
통상 | 익인 | 사랑방 | 둥이 |
만화애니 | 닝겐 | 사랑방(동성) | 우동 |
웹툰[115] | 투니 | 소설 | 쏘니 |
연극·뮤지컬 | 호떡 | 게임 | 겡 |
감성 | 낭자 | 디자인 | 딩 |
뷰티 | 쀼 | 글잡담 | 독자 |
메이플스토리 | 용사[116] | 오버워치 | 영웅 |
배틀그라운드 | 치킨 | 테일즈런너 | 런너 |
in My | 먀 | 익게이머[117] | 게미 |
루나틱하이 | 루게미 | 방송국 | 심청이 |
테이프2[118] | 해피 | 양띵 | 양떼 |
늪지대 | 솜 | 선바 | 노각 |
스포츠 | 익스니 | 이삼십대 | 잇 |
해외거주 | 행 | 주식 | 개미 |
5. 문제점
6. 논란 및 사건 사고
7. 아이차트
주목할 만한 기능은 아이차트#라는 것인데, 아이차트만으로도 유명하여 인스티즈가 운영하는 서비스인지 모르는 사람도 더러있다. 국내 최초이자 유일하게 6개 음원 사이트 차트를 하나로 묶어서 보여주고 있다. 이 때문에 모든 차트를 통틀어서 어느 음원이 인기가 많은지 실시간으로 볼 수 있으며, 6개 음원차트에서 실시간/일간 1위(총 9개 차트)를 석권하면 AK(All Kill), iChart 주간 1위(총 11개 차트)까지 석권하면 PAK(Perfect Kill) 딱지를 붙여준다.8. 인스티즈 페이스북
주소페이스북 페이지를 운영 중인데, 주로 유머 자료 위주로 올리지만 종종 정치 관련 게시물이 올라오기도 한다. 다만 똑같은 글을 실수로 두번 올린다던가 1, 2 제목과는 다른 글을 올린다던가 하는 실수가 꽤 잦다.
인스티즈 페이스북의 존재 의의를 파악해보자면 인사이트, 위키트리 등의 댓글이 젊은 남성층의 여론을 많이 보여주는 것과 반대로 이곳은 젊은 여성층의 의견이 많이 반영되어 나타나는 점을 들 수 있다. 실제로 비슷한 주제에 대해 글이 올라왔을 때 미묘한 여론 차이를 느낄 수 있다.
9. 기타
- 많은 여초사이트가 그렇듯, 인스티즈에서도 다양한 은어들이 있다. 은어 정리글
- 2015년 5월, 커뮤니티 사이트로서는 이례적으로 지하철 광고를 건 적이 있다. 최근에는 중국어로도 광고를 시작했다.
- 또한 인스티즈 내에서 한 줄 짜리 의미있는 문구를 내걸며 회원들에게 알리는 캠페인을 하고 있는데 이 문구들의 의미가 인스티즈에서 행해지는 각종 행위들과 반하는 경우가 많아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실소를 자아내게 하고 있다.
- 2017 설특집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의 현수막 제작을 지원해준다.
- https 보안 접속을 적용했었다가 모종의 이유로시작한지 며칠만에 다시 http로 되돌아간 전적이 있다.
[1] 중국어 음차.[2] 글의 열람은 비로그인으로도 가능, 글 작성과 검색 등은 로그인 필요.[3] 2017년 11월부터.# 단, 인증을 거친 연예인 본인이나 업계 종사자에 한해 무료로 가입할 수 있다. 일반인 대상 무료 가입 페이지는 불시에 열리며, 인스티즈 앱으로만 접근할 수 있다.[4] 본명은 김준혁.[5] 업계 종사자는 예외.[6] 로그아웃 하면 열람 할 수 있다.[7] 해제권이든 가입비든 카드결제로 하는 것이 잔오류가 없고 반영이 빠르다.[8] 글을 쓴 사람은 물론, 그곳에 동조 댓글과 추천을 한 사람들, 파생글을 쓴 사람까지 모조리 정지 혹은 강제 탈퇴당한다.[9] 이 때문인지 게시글 제목에 남익(인스티즈의 남성 유저를 지칭하는 말. 여성 유저는 여익이라고 한다.)이라는 말이 있으면 그 게시글의 조회수나 댓글이 보통 게시글보다 훨씬 많은 경우도 볼 수 있다.[10] 인스티즈에서 정지당한 유저들이 개인 블로그나 지식iN에 남긴 글들을 보면 대부분 이러한 점을 토로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장난치다 정지먹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11] 사실 인터넷 커뮤니티 상 선동은 에펨코리아, 디시인사이드에서도 항상 벌어지는 일이고 모든 커뮤니티에서 발생할 여지가 있기에 인스티즈 만의 문제라기 보다는 인터넷 커뮤니티 전체의 문제다.[12] 실제 외부친목이더라도 동네 친구 또는 같은 덕질하는 지역 친구와 같이 표기하여 글을 쓴다면 징계 대상이 아니다. 인스티즈 친구라고 쓰면 무조건 징계.[13] 트위터 또는 장터를 통해 오픈카톡 교환이 가능하다 단, 사이트에서 회원을 보호하려고 외부친목을 금지한 이유가 있는 만큼 장시간 검증하여 안전하게 만나자.[14] 공유하는 사이트가 이득 창출을 하는지 살펴야한다. 또 외부친목의 소지가 있는 그림그리기를 통한 ID 정보교환이 가능하거나 채팅시스템이 있다면 무조건 외부친목 징계사유가 된다.[15] me2.kr, goo.gl 등[16] 최근 징계재검토 인원 채용으로 처리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17] 이건 돈이 있어도 못푼다. 글쓴이가 어그로 인것 같다면 신고를 하고, 의견을 남기면 글은 삭제 된다. 반대로 "이런 글은 아니지 않냐"고 눈치를 주거나 "이런글 내려 혹은 쓰지말자"라고 글이나 댓글을 쓴다면 7일 쓰기차단 될 뿐이다. 자유로운 글쓰기는 이용규칙에 의거하여 '타인의 자유를 침해'를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타인이 자유롭게 쓰고 싶은 단어나 내용을 내 생각과 다르다고 해서 저격하면 안된다. 이것은 참 어려운 일인데 이를 부드럽고 현명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면 진짜 인스티즈인이 될 수 있고, 실제로 다툼도 덜 하게 된다.[18] 이때 징계는 정지(6개월)이다. 돈을 내고 풀 수 있지만 5900원이 필요 하다. 수위가 높으면 강제탈퇴 될 수 있다. 한남더힐, 검사커플과 같은 논란이 있는 단어도 쓰는 순간에 자동정지 당한다.[19] 여자들은~ 남자들은~ 안된다. 성별이 아니라 ~한 사람은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성별에 중심을 두면 안된다.[20] 메갈리안 손가락 이모티콘, 도태남 단어는 쓰자마자 자동정지 당한다.[21] 실제로 우리나라 형법은 살인/폭력 행위가 발생했을때 보고도 모른척 하면 방조죄가 성립되기 때문이다.[22] 징계재검토시 의도가 없었다고 정중히 부탁하면서, 최초라고 말하면 2회 이하라는 이용규칙에 의거하여 경고로 변경 받을 수 있다.[23] 2021년에는 갤럭시 Z 플립과 Apple Watch를 제공했다. 2020년에는 iPad Pro(11형)(2세대), 에어팟 등을 제공 했다. 시사회 당첨확률은 높은 편이고, 장터내에서 양도 받을 수도 있다.[24] 1시간의 기적 게임으로 포인트 대박이 날때도 있다. 포인트와 레벨이 올라갈 수록 징계를 당하더라도 무료화 되는 것이니 매일 즐기는 것이 좋다.[25] '내가 쓴 글이 아니다' 혹은 '계정이 도용된 것 같다' 이런 식으로 회피하면 잡을 방법이 없다.[26] 휴대전화로 인증 하지 않고 이메일 인증만 하되,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은 해외 이메일을 사용하면 완전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성인인증 시 페이팔로 1달러를 입금하고 회원문의를 통해 생년월일과 성별만 입력하는 수동인증을 요청하면 이용자를 추적하기 어렵다.[27] 애플코리아 유선상담 시 상담원이 조회할 수 있는 개인정보가 없어서 상담이 길어지는 것과 같다.[28] 인스타그램 링크[29] 익명으로 달리는 애칭도 다 다르다. 자세한 것은 아래 표 참고.[30] 참고로 성인인증을 받은 회원만 불마크 열람이 가능하다.[31] 게임인데 애니 게시판에서 대란을 일으키다 운영진에게 쫒겨난 전적이 있다.[32] 앙스타와 마찬가지로 대란글들이 사라진걸 보면 익게임방으로 옮겨진 듯 하다.[33] 일본 인기에 비해 한국 내에서의 인기가 저조했던 7월경 구글링으로 나오는 유일한 커뮤였을정도...진심반 장난반으로는 익만에서 정보를 모으는게 쉽다는 얘기까지 나올 정도였다.[34] 친오빠의 장난이라고 한다.[35] 음방을 올리면 친목이라며 180일 정지를 받는다. 절대 경험담이 아니다[36] 팬덤명 I GOT7(아이갓세븐)의 애칭. 통칭 새.[37] 공식색 주황색에서 따온 호칭.[38] 골든차일드 → 금 나와라 뚝딱 → 도깨비 → 깨비.[39] ASTRO가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컨텐츠의 이름.[40] 팬덤명 LOΛE의 뜻 사랑에서 따옴.[41] 아이콘.[42] 더보이즈 → 보 → 뽀[43] 업텐션.[44] DAY6 → DAY → 하루. 원래 윷이었으나 변경됨.[45] SF9. 에스에프 → 에세프 → 세프 → 셰프. 통칭 솊.[46] 공식색 펄 레드에 걸맞는 가장 붉은 보석.[47] 팀명의 뜻이 다섯 개의 보물섬.[48] 사슴을 뒤쫓는 사냥꾼들.[49] 외모 비하 논란으로 인해, 엑소가 마음을 울리는 징과 같다는 이유로 변경되었다.[50] 통칭 농. 몬스타엑스 → 몬엑 → 몬애긔 → 모내기. 고로 팬덤은 농부.[51] 팀명이 도시(City)를 연상시켜 시민으로 결정되었다. 공교롭게도 팬덤명 또한 엔시티즌이 되었다. 줄여서 "심"이라고 한다.[52] 방탄소년단. 통칭 탄.[53] 온앤오프=ON/OFF → 스위치를 연상시켜 깜빡이가 되었다. 빡이라고도 한다.[54] 팬덤명 베스트프렌드의 뜻인 친구의 순우리말.[55] 오늘 밤 주인공은 나야 나. 결성일인 6월 17일의 탄생석, 넵튜나이트에서 따온 것이기도 하다.[56] 라이머가 멤버들을 부르는 애칭이자 팬들 또한 애용하는 별명 똥깡아지에서 따왔다.[57] 위너人 → 위너인 → 위인 → 윈 → 윙.[58] 블락Bee. 그에 걸맞게 응원봉도 꿀벌 색인 검정 노랑 스트라이프로 장식되어 있으며, 블락비의 노래 〈Very Good〉에서도 '벌들아 더 세게 울어 웽웽'이라는 구절이 존재한다. 통칭 벌.[59] 엘이 아침에 일어났을 때의 외모가 상당히 부어있어 흡사 꼴뚜기왕자와 비슷하다 하여 뚜기로 정해졌으나, 외모 비하 논란이 일어나기도 하여 어떠한 힘든 일이 닥쳐도 극복해낸다 하여 오뚜기로 뜻을 바꿨다. 오뚜기가 엎어졌을 때 8자를 그려 무한대(∞)를 연상시키기도 하고.[60] B.A.P의 애칭 밥과 상응하는 단어 반찬을 사용하다가 타팬이 반찮으로 오타를 낸 뒤, 찮으로 굳어져버렸다.[61] 쟈니스의 설립자인 쟈니상이 평소 소속가수와 연습생에게 자주 쓰는 호칭.[62] 리즈시절, 화력이 텍사스 소떼 같다 하여 붙여졌다.[63] 통칭 결. 참조.[64] 팬덤명 멜로디의 뜻 가락에서 갉 → 각설이 → 설 → 설이가 탄생했다. 참고로 설은 4번째 댓이 설4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설이로 바뀌었다.[65] Just Be Joyful = 꿈이 현실이 되는 주문.[66] VIP 고객. 통칭 꽥, 객, 갱.[67] 김재중, 박유천, 김준수 → 김박김 → 김밥.[68] 팬덤명 ST★RLIGHT의 이명인 별빛에서 빛쟁이 → 비쨍이 → 쨍이 탄생했다.[69] 젝스키스가 팬들을 이르는 애칭 노랭이 → 랭.[70] 첫 앨범 《Voice To New World》 中 New World에서 따온 이름. 뉴워리, 워리 등의 애칭이 있다.[71] 크로스진.[72] 통칭 빙. 실제 화력에 비해 보이는 팬덤의 규모가 빙산의 일각 같다 하여 붙여졌다.[73] 팬덤명 Angel을 키보드 한/영 전환 후 치면 뭏디가 된다.[74] 통칭 봉. 세븐틴의 별명이 세봉이라 붙여진 호칭.[75] 펜타곤.[76] 팬덤명 아워(H:Our)를 24배하면 하루가 된다.[77] 新 비스트 사태로 이름 따라 간다의 예시가 되었다. 참고로 화력이 동에 번쩍 서에 번쩍이어서 만들어진 명칭이다.[78] 슈퍼주니어가 팬들을 이르는 애칭 파랭이 → 팡.[79] 에이티즈 팬덤 에이티니 = atiny 에서의 tiny를 빼와서 직역한 '작은'을 먼지에 비유했다.[80] TFN 팬덤 에델바이스를 멤버들이 줄여 부르는 호칭인 '에델'에서 따왔다.[81] 김재환 별명 중 킹재환에서 따왔다. 워너원 시절 싸인의 왕관표시, 과거 브이앱에서 '왕' 소리를 낸 이유도 있다.[82] 트레저 → 뜰레저('트레저 뜰거다'에서 유래됬다.트레저가 뜨면 뜬레저이다. → 뜰[83] 걸스데이 → 데이 → 뎅.[84] 지상에 내려온 천사라는 AOA의 컨셉에 따온 호칭. 날개 → 낡.[85] 구구단 → 뀨단 → 뀨 → 꾸.[86] AKB48의 싱글 〈포니테일과 슈슈〉에서 따온 호칭.[87] 팬덤명 마인에서 따온 호칭.[88] 에이핑크 → 핑크 → 분홍 → 부농.[89] 다이아 → 다이아몬드 → 몬 → 몽.[90] f(x) 노래 가사 속에 의사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91] 러블리즈의 데뷔곡 〈Candy Jelly Love〉에서 따온 호칭. 통칭 쩰.[92] 여자 → 女, 친구 → 友. 여우(女友).[93] 데뷔곡 행복(Happiness)에서 등장하는 구호.[94] 효정이 공식 팬카페에 남긴 글.[95] 팬덤명 무무를 변형시킨 호칭.[96] 팀명과 상응하는 호칭.[97] 데뷔일 8월 8일의 탄생화, 진달래.[98] 팬덤명 원더풀을 변형시킨 호칭.[99] 복숭아 맛 마이쮸.[100] 제시카가 자주 사용하는 말버릇.[101] 그 여름 (0805)의 구절 Sailing into the night. 공식 팬클럽 이름인 소원과 초성이 같다.[102] 공식색 펄 피치에서 따온 호칭.[103] 소유의 노래.[104] Twice. 두 번이라는 뜻이다.[105] 팀명의 뜻 Crystal Clear에서 따온 호칭. 크리스탈 → 보석.[106] 가요계의 카멜레온. 카멜레온 → 카레 → 칼.[107] 팀명 아이오아이의 줄임말이며 애칭이기도 하다.[108] 멤버들이 강아지 상이라서.[109] 아이유가 가장 좋아하는 단어.[110] 에이프릴의 마스코트인 사월이의 말투 "~했싹!"에서 따온 것.[111] 인디음악.[112] 지망생 → 생 → 쌩.[113] 프로듀스101.[114] 한때는 힙합언더 독방이 아닌 힙합인디 독방이었다. 힙인 → 히빈 → 희빈.[115] 만애와 분리된 독방이다.[116] 줄여서 '용'이라고 불린다.[117] 하위 카테고리는 현재 오버워치가 유일한데, 옵게미라고 불린다. 그리고 그 밑에 루나틱하이가 있다.[118]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출신 스트리머. 목소리때문에 한때 여성팬층이 상당히 많았었다. 자세한 사정은 tape2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