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15:53:51

욤자깅 체뎅발

윰자긴 체덴발에서 넘어옴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장.svg
몽골 인민공화국 국가원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 #B9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가대후랄 의장 국가소후랄 상임위원회 위원장
<rowcolor=#fff>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rowcolor=#000> 나반도르진 자담바 펠지딘 겐덴 잠찬긴 담딘수렌 허를러깅 처이발상
국가소후랄 상임위원회 위원장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rowcolor=#000> 로솔린 라간 아난딘 아마르 단스란딜레진 도그솜 곤치긴 붐첸드
국가대후랄 상임위원회 위원장 대인민후랄 상임위원회 위원장
<rowcolor=#fff> 임시 제9대 임시 임시
<rowcolor=#000> 수흐바타린 얀즈마 잠스란긴 삼부 차간라민 두게르수렌 소노민 루브산
대인민후랄 상임위원회 위원장 대통령
<rowcolor=#fff> 제10대 임시 제11대 제12대
<rowcolor=#000> 욤자깅 체뎅발 냐민 자그바랄 잠빈 바트몬흐 푼살마긴 오치르바트
몽골 제국 · · 몽강국 · 복드 칸국 · 몽골국 }}}}}}}}}
몽골 인민공화국 제11대 대인민후랄 상임위원회 위원장
욤자깅 체뎅발
ᠶᠠᠭᠤᠮᠠᠵᠢᠭ᠎ᠠ ᠶᠢᠨ ᠼᠡᠳᠡᠨᠪᠠᠯ | Юмжаагийн Цэдэнбал
파일:Юмжаагийн_Цэдэнбал.jpg
이름 몽골 문자:ᠶᠠᠭᠤᠮᠠᠵᠢᠭ᠎ᠠ ᠶᠢᠨ ᠼᠡᠳᠡᠨᠪᠠᠯ
키릴 문자:Юмжаагийн Цэдэнбал
로마자: Yumjaagiin Tsedenbal
출생 1916년 9월 17일
대몽골국 옵스 맹[1] 다브스트 소목
(現 몽골 오브스 주 다브스트)
사망 1991년 4월 20일 (향년 75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국적
[[몽골 인민공화국|]][[틀:국기|]][[틀:국기|]]
묘지 몽골 울란바토르 국립묘지 알탄 울기
정당 몽골 인민혁명당
배우자 아나스타샤 이바노브나 필라토바
복무 몽골 인민군 (1936년~1984년)
최종계급 원수

1. 개요2. 행적3. 평가4. 여담

[clearfix]

1. 개요

몽골 인민공화국의 총리, 대후랄 주석, 몽골인민혁명당 총비서.

1940년~1954년 몽골 인민혁명당 총비서, 1952년~1974년 몽골의 내각수상, 1974년~1984년 몽골 대인민후랄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허를러깅 처이발상 사후 그 자리를 승계받았고 32년간 몽골 권력의 정점에 있었다.

2. 행적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sedenbal_BundesArchiv.jpg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138e3d98f5a890f5d8964d2af6de5114.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sedenbal.jpg
전성기 당시 모습 제복을 차려입은 노년기 모습 욤자깅 체뎅발의 동상

1916년 가난한 유목민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이후 소련 이르쿠츠크로 유학을 떠나 그곳에서 고등학교와 대학, 대학원까지 마쳤다. 전공은 재정학이었고 이후 1930년대 후반 울란바타르에 돌아와 경제학 교수를 하다가, 건국 초기 새국가를 이끌 인재가 드물었던 몽골 인민공화국 정부에 발탁되어 경제 관료가 되었고, 고속 승진하여 30대에 이미 재정성 부상과 재정상을 거쳤는데 이는 기존의 식자층인 승려들은 몰살당했고, 공산주의자들도 상당수 스탈린과 처이발상의 숙청으로 목숨을 잃은터라 인구 50만 밖에 안되는 몽골에 전문가가 턱없이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소련 유학파인 체뎅발은 소련과 처이발상의 신임을 동시에 받게 되었고 1940년, 24세의 나이에 몽골 인민혁명당 중앙위원회 총비서에 선출되어 처이발상의 뒤를 이은 2인자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 스탈린도 체뎅발을 신임하여 그를 수차례 모스크바에 초청하기도 했다.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몽골군 부총참모장을 겸하여 중장으로 승진했고 1952년, 허를러깅 처이발상이 사망하자 체뎅발은 자연스럽게 내각수상을 겸직하게 되었고 스탈린 사후 1954년에 일시적으로 총비서에서 사임하지만 이후 다시 총비서를 겸직하게 된다. 수상 취임과 함께 몽골군 원수 칭호도 받게 된다.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당내 권력투쟁에서 승리하여 정적들을 "민족주의자" 혹은 "스탈린주의자"로 몰아 은퇴시키고 일인 권력을 확립했다. 하지만 처이발상과는 달리 사법살인이나 피의 숙청은 자제했으며, 그저 지방 도시의 한직으로 추방하는데 그쳤다. 전반적으로 언론과 문화를 억압하는 독재를 펼쳤지만, 그의 치세에서 스탈린식의 공포정치는 없었다.

중국소련의 분쟁이 표면화된 상황에서 소련을 옹호하고 중국을 비판해 중국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이 때문에 중국이 몽골에 원조하던 여러 프로젝트는 취소되었다. 하지만 2차대전 전까지 소련과만 외교관계를 맺고 있었던 몽골 인민공화국은 동유럽 그의 치하에서 동유럽 공산국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었던 이후에는, 서방국 및 비동맹국과 대거 외교관계를 맺었으며, 영국, 프랑스, 일본과도 수교를 했다.[2]

소련의 입장을 충실히 지지한 결과 소련의 전폭적 지원을 얻게 되었고, 그의 재임기에는 소련의 경제가 좋았기 때문에 이런 원조로 교육시스템을 정비하고, 여러 주택이 건설되었다.

소련의 전폭지원을 받은 것과는 별개로 몽골의 풍부한 지하지원이 사회주의 혈맹 우호가격이라는 헐값으로 소련에 넘어갔고, 몽골민족주의자들에게는 이점을 들어 비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코메콘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주의권 경제가 이런 모양이었는데 실질적으로 거부할 수 있던 것도 아니고, 또 척박한 몽골에서 소련의 경제원조를 받기 위해선 어느 정도 희생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었다.

이렇게 32년이나 집권하면서 안정적으로 정권을 유지해오던 체뎅발이었지만 1974년, 수상직을 바트뭉흐에게 넘긴 것을 시작으로 조금씩 권력일선에서 물러나기 시작했는데, 1982년 그의 강력한 후원자 브레즈네프가 사망하고 안드로포프-체르넨코 교체기가 오면서 체뎅발의 권력에도 위기가 찾아온다. 특히 체뎅발은 철저한 반중노선을 취했는데 중소화해가 시작되면서 당내에서 중국과의 관계를 개선하자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체뎅발은 즉시 친중파들을 숙청하였으나, 이에 대한 반감은 커졌고, 결국 1984년 모스크바 방문시 건강검진을 받았는데 치매 판정을 받았다. 몽골인민혁명당 내부의 반대파는 소련의 승인을 얻어 체뎅발의 모든 서훈을 박탈했고 당에서 제명하였으며 병을 이유로 굳이 재판에만 회부하지 않고 모스크바에 지내게 했다. 체뎅발의 뒷자리는 체뎅발의 수상 자리를 이미 승계한 바가 있는 바트뭉흐가 차지하게 된다.

이후 사망할 때까지 모스크바에 요양했으며, 1991년 병원에서 주사를 맞다가 쇼크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시신은 몽골에 묻혔는데 이에 대해 소련의 암살[3] 음모론이 도는 등 지금도 그의 죽음을 두고 논란이 많다.

3. 평가

선임자인 처이발상이 수만명을 처형하고 절들을 박살냈지만 체뎅발은 이 보다는 온건한 통치를 했지만 울란바타르비밀경찰들을 많이 배치해 감시하는 식의 통제정책을 펼쳤는데 불온한 언행을 보이면 어디론가 끌고가서 조사받는 일은 잦았다(...). 시골에서는 체뎅발과 공산당을 욕해도 대놓고 드러내지만 않으면 별탈이 없었던 데 반해 수도인 울란바토르에서 체뎅발과 인민혁명당을 욕하면 기관에 끌려가 며칠간 곤혹을 치르거나 혹은 직장을 잃을 가능성도 있었다.

체뎅발은 초등부터 대학원까지 소련에서 마쳤기 때문에 일관된 친소파의 면모를 보였다. 몽골 인민공화국 초기 문맹율을 낮추기 위해 지도부는 배우기 어려운 몽골문자를 원래 라틴문자로 대체하려고 했는데, 이를 러시아어에서 쓰이는 키릴문자로 바꾼 것은 체뎅발이 총비서로 재임하는 기간에 주도한 사업이다.

이렇게 친소 정책을 일관적으로 견지했다 보니 몽골에서도 안티들 사이에서는 소련의 꼭두각시를 자처한 매국노, 독재자, 국가 파탄의 원흉이라는 평가를 많이 받으며 특히 러시아인 영부인인 아나스타샤 체뎅발이 정치의 전면에 나섰으며, 이 때문에 더욱 욕을 먹는 측면도 있다. 하지만 오늘날엔 평가가 상당히 좋은 편인데, 우선 체뎅발이 공포정치를 완화하고 유연한 리더십을 취한 것은 여러 부족으로 나눠져 있던 몽골을 단일 민족국가로 통합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으며, 체뎅발 치하에서 몽골은 상당한 경제 성장을 이루며 50만에서 200만으로 무려 4배나 인구가 증가했고, 또 민족주의 정책을 도입하여 칭기즈칸과 복드 칸 재평가를 실시하고 복드칸 궁전과 같은 문화재를 보호한 것도 체뎅발이었다.

처음에는 중소분쟁 중립을 지켰지만, 이후 대놓고 소련을 지지하고 친소정책을 취했으며 소련군은 대군을 몽골영토에 주둔시켜 중국을 압박했다. 이 댓가로 소련은 몽골에 막대한 원조를 했고, 그리하여 몽골 경제도 좋아졌고 현대화 성과도 나타났다.

사후에 공산정권이 몰락하고, 전직국가원수로서의 지위나 예우가 모두 박탈되지만 2013년 다시 재활되었다. 울란바타르에는 이 때 세워진 그의 기념비가 있다.

4. 여담


[1] аймаг. 한국으로 치면 도(道)에 해당하는 몽골의 행정 단위로, 실제 발음은 '애맥' 에 가깝다.[2] 미국과의 수교는 냉전이 완화된 1987년에야 이루어진다.[3] 뭔가 비밀이 있는데 이를 은폐하려 들었거나 이용가치가 없어져서 암살했다는 설이 있다.[4] 본래는 허를러깅 처이발상이 가는 것이 맞는 편이나, 만주공세 당시 몽골이 장자커우 일대까지 남하하여 내몽골 통일을 시도하는 것을 스탈린이 반발하여 두 지도자가 사실상 결별했기 때문에 체뎅발이 대리로 파견되었다.[5] 여당인 몽골인민당은 체뎅발이 당수를 맡던 몽골인민혁명당을 전신으로 두고 있고, 아무래도 처이발상과 체뎅발에 대한 우호적인 의견이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