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6 01:39:42

유운성


블로그

1. 개요

한국의 영화평론가. 유운성은 필명이고 본명은 김기현이다.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를 졸업했고, 영화 연구회 얄라셩의 멤버로 지냈으며, 2001년 제6회 《씨네21》 영화평론상을 통해 영화평론가로 데뷔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전문사 과정)를 수료하였다.[1]

인터뷰를 보면 1973년생이다.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문지문화원사이 기획부장으로 재직했다.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에서 해임될때 잡음이 좀 있었다. 전주 지역 언론들과 많이 다투었으며 지역의 투자자들하고도 불화가 있었다고. 언론에서는 영화제 운영이 개판이라고 깠고 유운성은 블로그에서 언론을 비판했다.

프로그래머에서 해임된 시기와 맞물렸는지 더 이상 《씨네21》에는 비평을 기고하지 않고 있다. 이후 KMDB에서 간간이 글이 올라오는 정도.

2016년에 임경용 더북소사이어티 대표와 함께 《오큘로》라는 영상전문지를 창간했다. 정기적이지는 않지만 현재까지도 발행되고 있다.

2018년에 평론집 《유령과 파수꾼들: 영화의 가장자리에서 본 풍경》을 펴냈다.

2021년에 저서 《어쨌거나 밤은 무척 짧을 것이다》을 펴냈다.

2. 출간된 저서

저서
  • 2018년 / 2020년[2] 《유령과 파수꾼들: 영화의 가장자리에서 본 풍경》(미디어버스)
  • 2021년 《어쨌거나 밤은 무척 짧을 것이다: 세기의 아이들을 위한 반(反)영화입문》(보스토크프레스)[3]
  • 2023년 《식물성의 유혹, 사진 들린 영화》(보스토크프레스)

공저 ※ 책 제목 뒤에 표시된 것은 공동 집필된 저작물에서 유운성이 담당한 챕터의 제목
  • 2001년 《오슨 웰스》(한나래) - "<거짓과 진실>: 《돈키호테》의 작가가 들려 주는 거짓과 진실"
  • 2002년 《감독 장 르누아르》(문화학교서울) - "랑주씨의 범죄 : 인민전선기의 이상을 담은 르누아르의 인생전서" & "코르들리에 박사의 유언장 : 지속에의 매혹이 낳은 위험한 실험"
  • 2003년 《칼 드레이어》(한나래) - "드레이어의 삶과 영화 세계" & "드레이어의 초기 영화들"
  • 2003년 《김기덕, 야생 혹은 속죄양》(행복한책읽기) - "범상함, 망설임, 그리고 침묵"
  • 2003년 《한국 단편영화의 쟁점들: 작가, 여성, 디지털》(소도) - "숭고한 불가능성 혹은 불가능한 숭고: 동시대 한국 단편영화의 역사적 상상력에 관한 소고"
  • 2003년 《월경하는 지식의 모험자들》(한길사) - "디지털 시대 영화의 시체를 응시하기: 하모니 코린"
  • 2004년 《쌈마이 블루스: <넘버 3>》(이가서) - "농담과 독설로 카오스를 가로지르기"
  • 2004년 《로베르토 로셀리니》(한나래) - "로셀리니, 영화 영년: 로베르토 로셀리니의 삶과 영화 세계"
  • 2013년 《스튜디오 지브리 레이아웃 전》(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상출판사) - "애니메이션과 리얼리즘의 처소 : 스튜디오 지브리의 애니메이션"
  • 2016년 《필립 가렐, 찬란한 절망》(국립현대미술관, 현실문화A) - "내 곁에 있어줘"
  • 2016년 《오큘로 002: 이미지, 먼지와 기념비 사이에서》(오큘로, 미디어버스) - "지하로부터의 수기: 페드로 코스타의 <호스 머니>"
  • 2017년 《오큘로 004: 카운터-픽션, 내게(다시) 거짓말을 해봐》(오큘로, 미디어버스) - "특집2: 아메리칸 언더커런츠 - 사프디 형제 Safdie Brothers"
  • 2018년 《빨강, 파랑, 그리고 노랑》(국립현대미술관, 현실문화A) - "무명(無名)의 역사: 영화평론가 Y와 영상작가 P의 두 번째 대화"
  • 2018년 《다공성 계곡, 이동식 구멍들》(일민미술관) - "페트라의 계곡 저편에서: 김아영 작가에게 보내는 편지 (참조: 페트라 제네트릭스)"
  • 2021년 《사진에 관한 실험》(보스토크 프레스) - "에세이 도래할 사진을 위한 에스키스"

역서

3. 큐레이션

큐레이팅을 통해 한국 시네필들에게 벨라 타르라브 디아즈 그리고 페드로 코스타를 알린 것으로 유명하다. 한국 영화평론가 중에서는 가장 아카데믹하고 복잡한 평을 쓰는 평론가로[5], 정성일이나 허문영보다도 글이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활동 영역도 일반적인 상업 영화보다는 예술 영화와 현대 미술과 겹쳐 있어서 대중적 인지도는 낮은 편.

3.1. 전주국제영화제

3.2. 한국영상자료원

3.3. 국립현대미술관

  • 2019년 4월 26일부터 5월 19일까지 필름앤비디오에서 진행된 "디어 시네마: 차이와 반복"에서 협력 큐레이터로 참여하여 "영화라는 기억 Memories of Cinema"이라는 주제로 큐레이션을 하였다. 프로그램 페이지

3.4.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3.5. 국립아시아문화전당

4. 강연 및 GV

2017년 11월 29일 《영화는 어떻게 투명한 초상에 도달할 수 있을까?》(인디포럼 월례비행 2017년 11월 인디스페이스)[9]

2018년 10월 21일 ~ 11월 25일 《동시대 영화의 쟁점들 : 여섯 개의 변주》(대전아트시네마 - 시네마테크대전)소개문

2019년 5월 4일 《큐레이터 토크: 차이와 반복》(국립현대미술관 필름앤비디오) 대담 참여

2019년 6월 29일 《전용의 계보: <정도>에서 <당수태권도>로, 그리고 <변증법은 벽돌을 깰 수 있는가?>까지》(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부천시청 판타스틱큐브)관련 글 1 관련 글 2

2019년 7월 27일 《[영화를 말하다] 유운성이 〈김군〉을 말하다 | 〈김군〉에 대한 다섯 개의 물음》(인디스페이스)유튜브 영상

2019년 9월 29일 《유운성이 〈너무 많이 본 사나이〉를 말하다 | 시네필리아, 비디오필리아》(인디스페이스)유튜브 영상

2020년 7월 25일 《기관의제 심포지엄 SeMA Agenda 2020 ‘수집’: “미래의 소장품: 유물에서 비트로” - 영상 작품의 비물질적 소장에 관하여》 원고[10]

2020년 8월 3일 ~ 8월 24일[11] 《반反영화입문: 연명하지 않는 영화의 삶》(아트선재센터) 소개 페이지

2020년 9월 18일 《사실의 우화, 하나의 작은 계보》[12](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메가박스 백석 컴포트6관)

2020년 10월 25일 <그림자 열차>(1997)(호세 루이스 게린) 상영 후 시네토크(대전아트시네마 - 시네마테크대전)

2020년 11월 4일 <내언니전지현과 나>(2019)(박윤진) 상영 후 시네토크(서울아트시네마)

2020년 11월 10일 <마틴 에덴>(2019)(피에트로 마르첼로) 상영 후 시네토크(서울아트시네마)[13]

2021년 5월 16일 《“스크린으로서의 세계: 키아로스타미의 버추얼리티”》(시네마테크 영화학교-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세계 / 서울아트시네마)

2021년 7월 8일 ~ 8월 12일 《에이젠슈테인을 다시 읽는다》(대전아트시네마 - 시네마테크대전)소개문

2021년 10월 30일 《영화-기능에 대하여: 매체로서의 영화를 넘어서》(국립아시아문화전당)유튜브 영상

2021년 11월 2일 ~ 12월 7일 《에이젠슈테인을 다시 읽는다》(판타스틱 씨네 클래스: 비평적 영화 읽기Ⅱ / 부천시민미디어센터)소개문[14]

2022년 5월 7일 <리투아니아 여행의 추억>(1972)(요나스 메카스) 상영 후 시네토크 《“영원의 순간들: 요나스 메카스의 영화”》(서울아트시네마)

2022년 6월 28일 ~ 8월 16일 《에이젠슈테인을 다시 읽는다》(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소개문[15]

2022년 8월 14일 <메모리아>(2021)(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상영 후 시네토크 (서울아트시네마)

2022년 11월 6일 <영화사 3, 4부>(1998)(요나스 메카스) 상영 후 시네토크 《고다르의 서재》(서울아트시네마)

2022년 12월 22일 ~ 2023년 1월 26일 《고다르와 스트로브, 상상적 몽타주》(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소개문[16]

5. 여담

  • 김응수 감독의 <우경>(2017) 작품 제작에 도움을 주었다. 그래서 해당 작품의 크레딧 중 제작자 이름에 들어가있다고.

6. 외부 링크

한국 영상예술'人'을 만나다 : [OKULO] 유운성 영화평론가 _Interview
여름을 위한 반反추천도서 목록, 유운성[18]
씨네21에 기고했던 글 목록[19]
한국영상자료원 KMDb에 기고했던 글 목록
[영화전문매체 코아르] 유운성, 모험적 혹은 모범적 비평

[1] 유운성이 블로그 글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논문을 마무리하지 못해 졸업은 하지 못하고 퇴학당했다고 한다.#[2] 2018년에 출간된 1판의 재고가 모두 소진되어 2020년 4월에 개정판인 2판이 출간되면서, 「애니메이션과 리얼리즘의 처소(處所): 스튜디오 지브리의 애니메이션」, 「그저 하나의 얼굴: <제인에게 보내는 편지>」의 두 편의 글이 추가로 수록되었다.[3] 2021년 11월 11일 출간되었고, 그의 페이스북 글에 따르면 이 저서의 1장을 재구성하여 씨네21 창간 26주년(제1300호) 연속 기획 특집에 기고했다고 한다.[4]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5] 다만 대담이나 해설 자체는 의외로 쉽게 진행하는 편이다.[6] 페이스북에서 밝힌 내용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규모가 축소된 것이라고 한다.[7] 필리핀의 작가인 존 토레스 부부가 설립한 Los Otros의 일원이기도 하다.[8] 참고로, 국립아시아문화전당2020 시네마 펀드 최종 선정위원으로 위촉된 바 있는데, '필름' 부문의 지원 확정자 리스트에 미코 레베르자가 포함되어 있다. 유운성이 필리핀 감독 존 토레스와 공동으로 편집한 아시아 영화 전문지 <NANG> 제2호에도 미코 레베르자가 필진에 포함되어 있다. 참고로 NANG은 한국영상자료원 영상도서관에서 모든 호를 열람할 수 있다.[9] 김응수 감독의 <우경>(2017) 상영 후 변성찬 평론가의 진행으로 이뤄진 감독과의 대담이다.[10] 해당 발표문이 재편집된 것[11] 3일, 10일, 17일, 24일[12] 루카 코메리오, 비토리오 데 세타, 피에트로 마르첼로 3인에 대한 특별전 큐레이션과 연계된 강연이다.[13] 이용철 평론가와 함께 진행[14] 대전아트시네마에서 7~8월 동안 진행된 강의와 주제상 동일하다.[15] 대전아트시네마와 부천시민미디어센터에서 각각 7~8월, 11~12월 동안 진행된 강의와 주제상 동일하지만, 더 확장되었다.[16] "굿바이 고다르, 고다르, 고다르 - 장 뤽 고다르 영화 함께 이야기하기"라는 제목이었으나 장 마리 스트로브의 작고 이후 수정된 듯하다.[17] 놀라운 진실이라 부르기도 한다.[18] 히토 슈타이얼의 《스크린의 추방자들》에 대해서, 유운성의 '반反추천'이라는 것과 2020년 10월정성일인터뷰로 언급했던 것에서 각자가 가지고 있는 태도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 수 있다.[19] 그가 당사의 영화평론상으로 등단했던 2001년부터 2012년까지의 글들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