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10:22:03

유엔무역개발회의


유엔무역개발회의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國際聯合貿易開發會議
파일:downlfffffoad.jpg
<colbgcolor=#4b92db><colcolor=#fff> 가입국 195개국[1]
설립 1964년 5월
본부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제네바
사무총장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레베카 그린스판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구성
2.1. 총회
2.1.1. 역대 총회
2.2. 무역개발이사회
3. 그룹제4. 3대 기능

1. 개요

유엔무역개발회의는 개발도상국의 산업화와 국제무역 참여 증진을 지원하기 위해 1964년 설립된 유엔 산하 정부간기구로 무역 및 개발에 관한 정책 연구, 개발도상국 대상 기술협력 등을 지원한다.

2. 구성

2.1. 총회

전 회원국이 참석하는 최고의사결정회의로서 4년마다 개최하며, 다음 회의 개최까지 UNCTAD의 임무를 설정하는 결과문서를 채택한다.

2.1.1. 역대 총회

1차: 1964년 스위스 / 제네바
2차: 1968년 인도 / 뉴델리
3차: 1972년 칠레 / 산티아고 데 칠레
4차: 1976년 케냐 / 나이로비
5차: 1979년 필리핀 / 마닐라
6차: 198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베오그라드
7차: 1987년 스위스 / 제네바
8차: 1992년 콜롬비아 / 카르타헤나
9차: 199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 요하네스버그
10차: 2000년 태국 / 방콕
11차: 2004년 브라질 / 상파울로
12차: 2008년 가나 / 아크라
13차: 2012년 카타르 / 도하
14차: 2016년 케냐 / 나이로비
15차: 2021년[2] 바베이도스 / 브리지타운

2.2. 무역개발이사회

UNCTAD 주요 회의중 하나인 무역개발이사회(TDB)는 1년마다 개최하며, 총회 결정사항 이행 검토, 연구 및 보고 등을 추진한다.

3. 그룹제

공식적으로 UNCTAD 내 그룹은 1964년 UN 총회시 UNCTAD 창설 결의에 따른 그룹 A(아시아·아프리카), B(선진국), C(중남미), D(러시아, 동구)로 구성된다.[3] 다만 UNCTAD 내 협상은 유사입장국 그룹인 JUSSCANNZ[4], G77+중국, EAEU, 영국, 교황청 등 정치그룹 중심으로 진행한다.

4. 3대 기능

1. 무역, 투자, 금융, 개발 등 분야에서의 정책 분석 및 연구
2. 회원국간 컨센서스 형성
3. 개도국 기술 지원 제공
[1] 한국은 1964년 3월에 가입했다.[2] 코로나 19로 인해 1년 연기.[3] 우리나라는 가입 이후 2021년 7월 2일까지 그룹 A에 속하였으나, 제68차 무역개발이사회에서의 그룹 변경 후 현재 그룹 B 소속이다.[4] 한국, 미국, 일본,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노르웨이, 스위스, 터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