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8:02:37

후투티

오디새에서 넘어옴
후투티(오디새[1], 추장새, 대승)
Eurasian hoopoe
파일:Upapa epops.jpg
학명 Upupa epops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신조상목(Neoaves)
코뿔새목(Bucerotiformes)
아목 후투티아목(Upupi)
후투티과(Upupidae)
후투티속(Upupa)
후투티(U. epop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파일:후투티.jpg
새끼에게 먹이를 주는 성체 후투티.

1. 개요2. 특징3. 기타

[clearfix]

1. 개요

코뿔새목[2] 후투티과의 조류로 한국 중부 이북에서 볼 수 있는 흔하지 않은 여름 철새이다. 의외로 명칭이 외래어가 아닌 순우리말이다. 기존에는 뽕나무숲에서 잘 보인다고 오디새라고 불렀으나, '훗 훗'하면서 우니까 '후투티'라는 명칭을 1950년 발간된 한국조류명휘에서 제시한 뒤로 그대로 정착한 듯하다.[3]

북한에서도 비슷하게 후투디라고 부른다.

2. 특징

몸길이 약 28 cm, 날개길이 15 cm로 깃털은 검은색과 흰색의 넓은 줄무늬가 있는 날개와 꽁지, 그리고 검은색 긴 꽁지 끝을 제외하고는 주황색을 띠는 갈색이다.

머리의 길고 아름다운 깃털은 우관을 형성하며 경계를 하거나 놀랐을 때 혹은 날 때 곧게 선다. 우관의 깃털 끝은 검고 흰띠가 있으며, 부리는 길고 밑으로 조금 굽어있다. 먹이로는 주로 곤충을 잡아먹으며 성장기에는 땅강아지지렁이 등을 먹는다. 안을 뒤져서 먹이를 찾는 경우가 있어 몸에는 고약한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다.

야산이나 숲에서 번식하며 때로는 민가의 지붕이나 처마 밑에서 번식하기도 한다. 단독 또는 암수가 함께 생활하며 4~6월 암컷이 알 5-8개를 낳아 품고 새끼는 부화한 지 20-27일 후 둥지를 떠난다.

북위 약 58 °이남 유라시아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 분포하는데, 북부의 번식 집단은 열대지방까지 내려가 겨울을 난다. 한국에는 아시아 동부의 번식 집단이 찾아오지만, 지구온난화로 점점 텃새화되는 추세이다. 낙동강에서도 한겨울인 1월에 발견될 정도로 2017-18년 무렵부터 텃새가 되려는 조짐이 보였는데#, 새덕후가 촬영한 영상에 따르면 여의도공원에서까지 목격될 정도로 한반도 내 영역이 넓어진 모양이다.# 계명대학교에선 학교 교조(校鳥)이며 박물관 앞 잔디밭에 자주 출몰한다. 경북대학교 사범대 앞에서도 자주 보인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인문경영관 뒤에도 종종 관찰된다. 포항공과대학교 폭풍의언덕 근처에서도 가끔 볼 수 있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 녀석도 의외로 독을 지녔다. 천적에게 대항하기 위한 방어 무기로 냄새가 역한 분비물을 뿜는데, 이 분비물을 사람이 섭취할 경우에도 중독 증세가 일어날 수 있다.

3. 기타

  • 그리스 로마 신화에 후투티와 제비, 밤꾀꼬리에 얽힌 신화가 있는데, 상당히 막장이다.
    트라키아의 왕 테레우스는 아테네의 공주 프로크네와 결혼하여[4] 아이도 낳고 잘 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프로크네가 남편에게 여동생을 못 본 지 너무 오래 되어 보고 싶으니 이곳으로 데려와 며칠 묵었다 가게 해달라고 청했다. 그래서 테레우스가 아테네로 간 것까진 좋았는데, 문제는 이 작자가 못 본 사이 어여쁘게 잘 자란 처제 필로멜라를 보고 욕정을 품어버린 것. 시커먼 속내를 숨기고 장인의 허락을 얻어 필로멜라를 데려간 테레우스는 트라키아 땅에 닿자마자 그녀를 겁탈한 후, 이 일을 발설하지 못하도록 혀까지 잘라 감금하고는 뻔뻔스럽게도 프로크네에게 아테네에 가 보니 처제가 병으로 죽었다고 거짓말을 했다.

    그러나 필로멜라는 흰 바탕에 붉은 실로 글씨를 짜넣은 천을 짜서 몸종을 통해 언니에게 전달했고, 프로크네는 그 소식을 받고서야 제 남편이 천하의 개쌍놈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동생을 구해올 기회를 노리던 프로크네는 트라키아의 명절인 디오뉘소스 축제날 술을 마시고 미쳐 날뛰는 디오니소스 광신도로 위장해 필로멜라가 갇혀 있는 곳을 찾아내고, 그녀를 구출해 데려오는 데 성공한다. 필로멜라의 처참한 모습을 본 프로크네가 이를 갈며 테레우스에 대한 복수를 궁리하고 있을 때 들어온 것은 어린 아들 이티스. 아이가 뭘 알겠냐만 그저 제 아비와 너무 똑같이 생긴 것이 죄라 프로크네는 잔인한 마음을 먹었고, 칼을 들고 골방으로 아들을 끌고 갔다.

    그날 저녁 프로크네는 축제날이니 나도 우리 고향 풍속으로 대접하겠다고 말하며 테레우스를 홀로 불렀고, 고기 요리를 내주었다. 요리를 맛있게 먹던 테레우스가 이티스도 불러와 함께 식사하자고 했을 때, 프로크네의 대답은 "당신이 찾는 아이는 당신 뱃속에 있소". 뒤이어 이티스의 목을 든 필로멜라가 방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본 테레우스가 격노하여 둘을 죽이려고 칼을 들었을 때, 신들이 개입하여 처제에게 욕정을 품고 겁탈한 테레우스는 후투티로, 복수를 위해서라고는 하나 죄 없는 아이를 살해한 프로크네와 필로멜라는 각각 제비와 밤꾀꼬리로 만들었다는 이야기.
    • 위의 테레우스 신화에서 영감을 얻어 고대 그리스 희곡 작가 아리스토파네스는 <새>라는 희극을 쓰기도 했다. 지긋지긋한 인간의 삶을 그만두고 새가 되기 위해 새들의 왕이 되어 있던 테레우스를 찾아간 두 인간 주인공의 얘기인데, 어찌하다 보니 둘은 테레우스 및 새들과 함께 하늘에 '구름뻐꾹나라'[5]라는 새들의 나라를 세워 지상에서 신계로 가는 제물의 연기를 차단하여 신들을 아사 직전까지 몰고 가고[6], 결국 프로메테우스의 조언까지 얻어 제우스의 딸과 결혼하여 신들의 권력까지 차지해 잘 먹고 잘 산다는 얘기다.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곡답게 풍자적이고 세태비판적인 풍조가 강하다. <개구리>에서 디오뉘소스의 우스운 행태를 보면 알 수 있듯 이 양반은 신들마저 까내리고 풍자하던 사람이라... 당대 풍조가 경건함과는 점차 거리가 멀어져 가던 것도 있고.
  • 인터넷에서 신기하게 생긴 새를 봤다거나 처음 보는 특이한 새를 봤다고 하면 거의 대부분 이녀석이다. 디시인사이드동기갤이나 조류 마이너 갤러리에서는 제목에 '신기한'이나 '특이한'을 검색하면 거의 항상 후투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열대림에서나 볼 것 같이 특이하게 생기긴 했는데 사람이 가까이 가도 길바닥에서 먹이를 찾아 먹고 있어 쉽게 발견하고 사진을 찍을 수 있어서 그런 듯 하다. 조류 마이너 갤러리 2대 갤주이다.
  • 2021년 5월 경주시에 하얀 후투티가 새끼를 기르고 있는 모습이 사진에 찍혔다. 기사 해당 개체는 알비노로 추측된다. 알비노 개체는 야생에서 짝을 찾기 어렵고 천적에게 노출될 위험이 보통 개체들보다 더 크기 때문에 기사에 나온 하얀 후투티같이 알비노 개체가 번식해서 새끼를 양육하는 사례는 드문 편이라고 한다.
  • 박인로가사 누항사에서 '대승(戴勝)'이라는 이름으로 잠시 언급된다. 서정문학이라는 특성상 이야기의 내용이 아닌 작가의 감정을 실어주는 객관적 상관물로 나오는데 농사지을 소를 못 빌리고 돌아오는 화자가 개 짖는 소리를 들으며 동시에 후두티를 보며 씁쓸한 감정이 심화되는 것으로 등장.


[1] 과거 50~60년대에는 도감에서 오디새로 표기되는 등 이것이 표준명칭이었으나 이후 후투티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2] 파랑새목으로 분류하거나 아니면 후투티목이라는 별개의 목이라는 주장도 있다.[3] 훗훗이 -> 훋훋이(음절 끝소리 규칙) -> 후투디(자음축약 및 연음) -> 후투티[4] 그런데 이들의 결혼식에는 결혼을 축복하는 신 휘메나이오스 대신 에리뉘에스가 횃불을 들고 서 있었다고 한다. 이들의 혼인으로 인해 뭔가 천벌받을 일이 생기리라는 예고인 셈.[5] 그리스어로 네펠로콕퀴기아(Νεφελοκοκκυγία), 영어로는 Cloud Cuckoo Land로 번역된다.[6] 올림포스의 신들 외에도, 올림포스보다도 더 위쪽(그리스인들에겐 북쪽 보이오티아 지방) 하늘의 이방 신들 역시 이로 인해 제물을 받지 못하고 있어 제우스에게 문제를 속히 해결하지 않으면 올림포스를 공격하겠다며 위협하고 있었다. 주인공 인간 둘 중 피스테타이로스는 프로메테우스로부터 이 정보를 입수하여 올림포스와 협상하는 패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