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Ἐνδυμίων/Endymion그리스 로마 신화의 등장인물. 달의 여신 셀레네의 사랑을 받은 것으로 유명하다.
2. 가족관계
비블리오테케 1권 7장 5에 의하면 그의 부모는 아이틀리오스(아에틀리오스) 왕[1]과 칼리케라고 하나, 친부가 제우스라는 전승도 기록됐다.[2] 여기서 엔디미온은 테살리아에서 아이올레이스족을 이끌고 엘리스를 세웠다.셀레네와의 사이에서 50명의 딸들을 둔 걸로도 유명하나, 비블리오테케 1권 7장 6에서는 이피아나사와의 사이에서 아이톨로스라는 아들을 얻었다고 한다. 아이톨로스는 포로네우스의 아들 이피스를 죽이고 쿠레테스족의 나라로 도망쳤으며, 그곳에서 프티아와 아폴론의 아들들이자 자신을 환대한 도로스, 라오도코스, 폴리포이테스를 죽이고 자신의 이름을 딴 나라 아이톨리아를 세웠다.
비블리오테케 1권 7장 7에서 아이톨로스는 포르보스의 딸 프로노에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 플레우론과 칼리돈울 얻었고, 아이톨리아에 있는 두 도시는 그 아들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손자 플레우론은 도로스의 딸 크산티페와 결혼해 아들 아게노르, 딸 스테로페, 스트라토니케, 라오폰테를 낳았다. 또다른 손자 칼리돈은 아미타온의 딸 아이올리아와 결혼해 딸들인 에피카스테, 프로토게네이아를 낳았으며, 프로토게네이아는 아레스와의 사이에서 옥실로스를 낳았다.
증손주들인 아게노르와 에피카스테가 결혼해서 포르타온과 데모니케를 낳는데, 데모니케도 아레스와의 사이에서 에우에노스, 테스티오스, 몰로스, 필로스를 낳았다. 비블리오테케 1권 7장 8에 의하면 에우에노스는 마르페사의 아버지로 기록됐다.
비블리오테케 1권 7장 10에 의하면 테스티오스는 클레오보이아의 딸 에우리테미스와 결혼해 레다, 알타이아, 히페름네스트라[3]의 아버지가 된다. 아들들로는 이피클로스[4], 에우입포스, 플렉십포스, 에우리필로스가 있다. 이 기록을 따르면 엔디미온은 레다가 낳은 네 쌍둥이 카스토르, 폴리데우케스, 클리타임네스트라, 헬레네의 조상이라는 소리다. 알타이아의 자식들인 멜레아그로스와 데이아네이라, 히페름네스트라의 아들인 암피아라오스도 엔디미온의 후손이다.
3. 상세
원래 목동이었다는 이야기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사냥꾼이었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심지어 소아시아 지방의 왕이었다는 전승도 있다. 더 나아가서 엔디미온이 여러 명이었다는 이야기까지 있다. 하지만 목동이라는 이야기가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는데, 이는 목동이 밤새도록 양을 지켜야 하므로 달과 가장 친숙한 직업에 해당되기 때문이다.엔디미온은 매우 훤칠하고 잘생긴 외모를 지닌 인물이었기 때문에 여신인 셀레네의 사랑을 받았으며, 그가 잠들었을 때는 셀레네가 그와 그의 양들을 지켜주었다고 한다. 엔디미온의 아름다움이 영원하도록 셀레네는 제우스에게 부탁해서 그에게 자는 동안에도 변함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했으며, 그와 동시에 영원히 깨어나지도 않는 잠을 선사했다.[5] 그리고 그가 잠에 빠져들어 있는 동안 그를 수면간해서 '메나에'라고 불리는 50명의 딸을 낳았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50명의 메나에들은 고대 그리스의 50개의 달(lunar month)의 이름을 나타낸다고 하는데, 불행히도 이들 메나에의 이름은 전혀 전해지지 않고 있다.
참고로 달의 이름이 50개나 되는 이유는 50 태음월 = 4년으로 계산했기 때문이다. 그리스에서는 4년을 '올림피아드'라고 불렀는데, 이 이름은 올림픽 경기와 관계가 있다.
때때로 아르테미스의 연인으로도 잘못 알려지기도 하지만 이는 셀레네가 '달의 여신'이라는 데서 오는 오류다. 그리스에서 엔디미온이 아르테미스와 연관되는 이야기는 전혀 전해지지 않는다. 애당초 아르테미스는 남자를 경멸하는 순결의 여신인 데다가 오리온과의 사랑 이야기도 후대에 덧붙여진 이야기이니 엔디미온과는 더더욱 연이 없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
4. 창작물에서의 엔디미온
4.1. 인명
- 룬의 아이들 윈터러 - 엔디미온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 치바 마모루(전생 프린스 엔디미온)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엔디미온
하술한 카드군의 이름이기도 하지만, 캐릭터로써의 엔디미온도 존재한다. 마기스토스의 일원(마기스토스 마스터 엔디미온)이며, 후에는 신성마도왕 엔디미온이 되어 마법도시 엔디미온을 세우게 된다. - 안즈 - 엔디미온 프레이
- SKT - Swallow Knights Tales - 엔디미온 키리안
- Warhammer 40,000 - 커스토디안 가드 '라 엔디미온'
미소녀전사 세일러문의 엔디미온은 여기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볼 수 있다. 프린세스 세레니티 역시 셀레네에서 모티브를 얻은 듯하다.
4.2.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극장판 및 무대가 되는 장소
극장판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엔디미온의 기적 문서 참조.학원도시 안에 건설된 궤도 엘리베이터. 허나 이 극장판이 만들어지기 전엔 본편, 외전 통틀어서 단 한 차례도 언급되지 않았던 설정.
실제로 작중에서도 인덱스가 이런 거 있었냐면서 토우마에게 물어보지만 토우마는 있었다면서 이제까지 있었던 장면에 은근슬쩍 끼워넣어서 보여준다.
4.3. 유희왕 OCG의 카드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엔디미온(유희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엔디미온(유희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4. 댄 시먼스의 SF 소설 엔디미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엔디미온(소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엔디미온(소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5.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ENDYMION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NDYMION#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NDYMION#|]]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6. 아인핸더의 플레이어블 기체
엔디미온 FRS Mk -II, 엔디미온 FRS Mk -III가 있다.4.7.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의 오브젝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Quuuuuu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Quuuuuu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