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마약류·임시마약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문서가 있는 마약류 및 임시마약류 목록 | |||
| <colbgcolor=#bdbdbd,#111> 마 약 류 | <colbgcolor=#bdbdbd,#111> 마약[1] | 가목 양귀비 나목 아편 다목 미처리 코카 잎 라목 코카인, 데소모르핀, 헤로인, 히드로코돈, 히드로모르피놀, 모르핀, 옥시코돈, 코데인, 페치딘, 타펜타돌 마목 펜타닐, 메타돈 및 메타돈 제조중간체, 카르펜타닐 | ||
| 향정신성 의약품[2] | <colbgcolor=#d5d5d5,#222> 비의료용 | 가목 부포테닌, 디메틸트립타민, LSD, 사일로시빈, 사일로신, 펜사이클리딘 유사체, 메스케치논 및 유사체(카티논, α-PVP 등), 크라톰 및 미트라지닌, 고메오, 브로모-드래곤에프엘와이, 벤조디아제핀 계열 4종, 4-플루오로암페타민 | ||
| 의료용 | 나목 암페타민(애더럴), 메스암페타민, 메틸페니데이트, 펜메트라진, 펜사이클리딘, MDMA, 살비아 디비노럼, 케타민 다목 바르비투르산 계열(바르비탈, 펜토바르비탈 등), 알릴이소프로필아세틸우레아, 플루니트라제팜, 부프레노르핀, 펜타조신 라목 벤조디아제핀 계열(로라제팜 등), BZRA 계열(조피클론, 졸피뎀), 카틴, 클로랄히드레이트, 마진돌, 페몰린, 펜터민, 날부핀, 지에이치비, 덱스트로메토르판, 프로포폴 | |||
| 대마[3] | 가목 대마초와 그 수지(樹脂) 나목 이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모든 제품 다목 동일한 화학적 합성품(CBN, THC, CBD) | |||
| 임시마약류[4] | 리세르가미드(LSD 유사체) 일부, 합성칸나비노이드(HHCH 등) 일부, 암페타민 유사체 일부, 벤조디아제핀 유사체 일부, 랏슈, 감마부티로락톤 | |||
| 기타[5] | 환각버섯류, 데이트 강간 약물, 야바, 환각물질, 환각제 | |||
| [1] 법 제2조 제2호, 각 목별로 구분. 제2호의 성분을 포함한 혼합물질/제재는 바목에 의해 마약으로 분류되나, 한외마약은 제외됨. | }}}}}}}}} | |||
| |
| Etomidate |
1. 개요
아미데이트라는 이름으로 파울 얀센[1]이 개발한 전신마취제이다.이미다졸 유도체[2]로 진정-수면작용을 나타내며 형상은 프로포폴과 같이 백색의 유제성[3]이다.
프로포폴이 개발되기 전에 널리 사용되던 전신마취제로 대부분의 전신마취제나 수면제와 같이 GABA-A 수용체에 작용[4]한다.
다른 정맥마취제에 비해 호흡 억제작용이나 혈역학적 영향도 덜하기 때문에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에서 많이 사용되나[5][6], 마취에서 깨어난 뒤의 구역이나 구토의 발생률이 40%에 달할 정도로 높고, 근육경련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7].
2. 오용
심한 졸음을 유발하고 호흡을 느리게 하며 저혈압과 메스꺼움 증상을 동반한다. 근육경련이 일어나고 심할 경우 의식을 잃을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작용 기전이 프로포폴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프로포폴의 오용 사례에 모두 대입 가능하다. 때문에 제2의 프로포폴이라 불리기도 한다. 신종 마약인 '스페이스 오일'의 주성분.또한 에토미데이트를 범죄에 악용한 사례도 나왔는데, 에토미데이트를 성범죄에 악용한 병원 원장이 구속당했다. #
하지만 에토미데이트는 마약류관리법상 마약류로 지정되지 않아, 단지 약을 사용했다는 것만으로는 처벌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추후 마약류 지정이 시급해 보인다.
결국, 2024년 12월 30일에 식약처가 에토미데이트를 마약류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마침내 2025년 2월 28일에 마약류 중 향정신성의약품으로 지정되었다. #
더 나아가 2025년 4월 23일, 식약처는 공급중단 약품 목록에 에토미데이트를 추가했고, 기존에 에토미데이트를 사용하던 환자에 대해서는 프로포폴로 대체 가능하다는 답변을 남겼다. # 하지만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에토미데이트 공급 중단이 살릴 수 있는 환자를 못 살리게 되는 상황까지 만들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
2025년 초, 태국에서 에토미데이트를 함유한 전자담배가 일명 '좀비담배'로 불리며 유행하고 있다. 이후 중국, 홍콩, 싱가포르, 일본, 한국 등지로 확산되면서 사회 문제가 될 조짐이 보인다. #
[1] 벨기에 의사로 얀센제약의 설립자이다. 얀센제약은 1961년 존슨앤드존슨에 인수되었다.[2] 미국 특허 제3354173호 'Imidazole carboxylates'[3] "에토미데이트리푸로주" 의약품 정보 - 약학정보원[4] Evans RH, Hill RG. GABA-mimetic action of etomidate. Experientia. 1978;34:1325–1327.[5] Gooding JM, Weng JT, Smith RA, Berninger GT, Kirby RR.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responses following etomidate induction of anesthesia in patients with demonstrated cardiac disease. Anesth Analg 1979;58:40-41.[6] Criado A, Maseda J, Navarro E, Escarpa A, Avello F. Induction of anaesthesia with etomidate: haemodynamic study of 36 patients. Br J Anaesth 1980;52:803-806.[7] Fragen RJ, Caldwell N. Comparison of a new formulation of etomidate with thiopental: side effects and awakening times. Anesthesiology 1979;50:242-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