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12 08:18:15

야콥 반 헤임스케르크 해방함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네덜란드 왕립 해군 함정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86722> 잠수함 즈바르디스흐급, 제이혼트, 돌페인, K XIV급, K XI급, K VIII급, K V급, O 21급, O 19급, O 16, O 12급, O 9급
어뢰정MTB418급, MTB222급, MTB202급, TM4급, TM51급
구잠함퀸 빌헬미나
포함판 킨스베르헌, 플로레스급, 브리니오급
해방함더 제번 프로빈시엔, 코닝긴 레헨테스급, 야콥 반 헤임스케르크
초계함아렌트급, 메럴, 포말하우트, 헤마, 시리우스, 에리다누스
호위함요한 마우리츠 판나사우
구축함판 할런급, 헤라르트 칼런뷔르흐급, 어드미랄렌급
순양함트롬프급, 더라위터르, 자바급, 홀란트급
순양전함프로젝트 1047 순양전함
전함1913년 네덜란드 전함 제안안
호위항공모함하딜라급
기뢰전함다우어 아우커스급, 노틸러스
기타폴스테르 수상기 모함
※ 윗첨자R: 퇴역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파일:헤임스케르크2.jpg
HNLMS Jacop van Heemskerck

1. 개요2. 제원3. 특징4. 상세5. 운용
5.1. 1908년 네덜란드-베네수엘라 위기5.2. 제2차 세계대전
6. 기타7. 둘러보기


1. 개요

네덜란드와 나치 독일이 운용했던 해방함. 1척만 건조되었다.

2. 제원

야콥 반 헤임스케르크
Jacop van Heemskerck
배수량 4,920톤
전장 98m
전폭 15.19m
흘수 5.69m
최고 속력 16노트 (30.6 km/h)
출력 6,400 HP의 2축 피스톤 엔진
승조원 340명
무장
(개장 전)
주무장 240mm 함포 2문
부무장 150mm 부포 6문
75mm 부포 6문
37mm 대공포 4문
어뢰 450mm 어뢰 발사관 2문
무장
(개장 후)
주무장 105mm 함포 8문
부무장 40mm 대공포 2기 4문, 1기 1문
20mm 대공포 4문
레이더 FuMO 213
장갑 측면 15cm
포탑 및 고정포탑 20cm

3. 특징

전반적인 성능과 디자인, 무장은 코닝긴 레헨테스급과 유사하다. 그러나 장갑은 더 약해졌고 속도는 그대로여서 달라진 점이 없어 보일수도. 본래 구경이 큰 무장이 많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함선을 노획한 독일군이 대공포대로 개장하기 위해 무장을 통째로 바꿔버렸다. 전후에 네덜란드로 반환되었고 숙박선으로 개조되고 개칭된 뒤 재취역, 1974년까지 쓰이다 퇴역했다. 네덜란드군 소속이었을 때는 대외활동에 참여했었다.

4. 상세

HNLMS 야콥 반 헤임스케르크[1]
(Jacop van Heemskerck)
에이마위던[2]
(IJmuiden)
운디네[3]
(Undine) [4]
넵투누스[5]
(Neptunus)
기공 1905-??-??
  • 전후 반환 이후 숙박선으로 개장 후 재취역. 1974년 9월 27일 퇴역 및 스크랩됨
진수 1906-09-22
취역 1908-04-22
재취역 1939-04-19[6], 1947-10-04[7]

5. 운용

5.1. 1908년 네덜란드-베네수엘라 위기

베네수엘라가 일방적으로 퀴라소와의 무역을 단절하자 네덜란드는 헤임스케르크를 파견해 무력시위와 베네수엘라 해안에서 정찰임무를 했다.

5.2. 제2차 세계대전

여러 대외 활동을 마친 헤임스케르크는 고정식 포대로 개조된 후, 1939년 4월 19일, 에이마위던으로 개칭되어 재취역한다. 그러던중 독일군이 침공해 왔고 그대로 독일군이 노획해 간다. 독일군은 에이마위던을 대공포대로 개조시켰고, 이름도 운디네로 개칭시켜 사용했다. 전후 네덜란드군에 반환되었다.[8]

6. 기타

여러모로 코닝긴 레헨테스급의 3번함인 헤르토그 헨드릭과 함생이 비슷하다. 독일군에게 노획 되었고, 네덜란드군에게 반환된 뒤 숙박선으로 개조되었고, 1970년대 까지 운용되다 퇴역했다.비슷하게 생겨서 그런가

무려 60년 동안 운용되었다. 이정도면 코닝긴 레헨테스급의 3번함인 헤르토그 헨드릭과 같이 노인학대 수준이다...

7. 둘러보기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해군 함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구축함 <colbgcolor=white,#191919>구축함 1934, 구축함 1936, TA16급, 구축함 1937, 구축함 1938, 구축함 1942, 구축함 1944, 구축함 1945
잠수함 1형, 2형, 7형, 9형, 10형, 14형, 17형, 21형, 23형, 기타 유보트 계획, 네거 반잠수정
보조순양함 아틀란티스
경순양함 엠덴급, 쾨니히스베르크급, 라이프치히급, M급, 슈페크로이처
중순양함 아트미랄 히퍼급, 도이칠란트급, D급, P급
항공모함 자이틀리츠, 그라프 체펠린급, 경항공모함 계획(클라이너), 오이로파, 야드급, II파일:프랑스 국기.svg
항공순양함 A II급, A III급, A IV급, A IIa급, E IV급, E V급
전함
전노급
도이칠란트급
노급
샤른호르스트급, 비스마르크급, H급
순양전함
O급
어뢰함 어뢰함 1923, 어뢰함 1924, 어뢰함 1935, 어뢰함 1937, 어뢰함 1939, 어뢰함 1940, 어뢰함 1941, 어뢰함 1944
어뢰정 슈넬보트
훈련함 브렘제
노획함 항공모함: 아퀼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파르비에로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순양함: 아리아드네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운디네파일:네덜란드 국기.svg, KH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KH2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드 그라스(II)파일:프랑스 국기.svg, 볼차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고리치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트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구축함: ZH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ZH2파일:네덜란드 국기.svg, ZH3파일:네덜란드 국기.svg, ZF2파일:프랑스 국기.svg, ZF4파일:프랑스 국기.svg, ZF7파일:프랑스 국기.svg, ZG3파일:그리스 국기.svg, ZN4파일:노르웨이 국기.svg, ZN5파일:노르웨이 국기.svg
기타 보르크바르트, 엔트워프 군함, 클로니얼 K급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현대 네덜란드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네덜란드 해군|
네덜란드 왕립 해군 (1945~현재)
Koninklijke Marine
]]'''
'''[[잠수함|
잠수함
]]'''
'''
SSK
'''
{오르카급} | 발루스급 | 즈바르디스급 | 돌페인급 | 발루스급(1953) | 즈바르디스흐급 | O 21급
어뢰정 (PT) 야흐트혼트급 | 스페르베르급
원양초계함 (OPV) 홀란트급(2012)
<colbgcolor=#FFF> '''[[초계함|
초계함
]]'''
<colbgcolor=#FFF> '''
PCE
'''
링스 | 발데르급 | 바찬급
'''[[호위함|
호위함
]]'''
FF 로프디르급 | 판 암스텔급 | 요한 마우리츠 판나사우
'''
FFG
'''
{FuAD} | {ASWF} | 더 제번 프로빈시엔급 | 카렐 도르만급(1991) | 야콥 판헤임스케르크급 | 판 스페이크급 | 코르터네르급 | 트롬프급(1975)
'''[[구축함|
구축함
]]'''
DD 프리슬란트급 | 홀란트급(1954) | 마르닉스 | 피에트 하인급 | 반커르트
'''[[순양함|
순양함
]]'''
CL 더 제번 프로빈시엔급(1953) | 트롬프급(1938)
경항공모함 카렐 도르만(1948)
'''[[상륙함|
상륙함
]]'''
'''[[상륙수송선거함|
LPD
]]'''
로테르담급
'''[[전차상륙함|
LST
]]'''
펠리카안 | LST Mk.3급
'''[[상륙정|
상륙정
]]'''
'''
LCU
'''
LCU Mk.II
'''
LCT
'''
LCT(3)
'''
LCVP
'''
LCVP Mk.Vc
'''
LCI
'''
LCA Mk 시리즈
'''[[소해함|
소해함
]]'''
'''
MCMV
'''
{플리싱언급}
'''
MHC
'''
알크마르급
'''
MSO
'''
온페르사흐트급
'''
MSC
'''
판스트라런급 | 도컴급 | 빌데르판크급 | 베임스터르급 | 보른디프급 | MMS급 | 얀 판암스텔급
'''
지원함
'''
'''
다목적
'''
카렐 도르만급(2015)
'''
급유함
'''
덴헬더르급 | 펠리카안급(2006) | 암스테르담급 | 자위더르크뤼스급 | 폴스테르
'''
잠수함 지원함
'''
메르퀴르
'''
수로 탐사함
'''
스넬리우스급
지원정
잠수지원정
케르베뤼스급 | 숨바
항만경비정
노르더하크스급
예인정
노르트제급 | 링어급 | 볼더르급 | 브레잔트급 | 스헬더급
'''
무인정
'''
'''
UUV
'''
REMUS 100 | 시폭스
훈련함 판 킨스베르헌(1999) | 우라니아
갈색 글자: 퇴역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1] 함명의 유래는 네덜란드의 탐험가이자 제독인 야콥 반 헤임스케르크[2] 함명의 유래는 노르트홀란트 주의 항구도시, 에이마위던[3] 함명의 유래는 서양 연금술에 나오는 물의 요정[4] 독일군에게 나포되었을 때의 함명[5] 함명의 유래는 넵투누스[6] 고정포대로 개조된 이후[7] 숙박선으로 개조된 후[8] 다시 숙박선으로 개조되어 1970년대(!)까지 사용했으며 이때 넵투누스로 개칭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