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11:47:10

앵그리버드

앵그리버드(2009)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게임의 재출시 버전}}}에 대한 내용은 [[Rovio Classics: Angry Birds]]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Rovio Classics: Angry Birds#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Rovio Classics: Angry Birds#|]]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게임의 재출시 버전: }}}[[Rovio Classics: Angry Birds]]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Rovio Classics: Angry Birds#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Rovio Classics: Angry Birds#|]]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앵그리버드 시리즈 로고.svg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시리즈 목록 ]
{{{#!wiki style="margin:0px -1px"
주요 시리즈
파일:Angry Birds(game) icon.png 파일:ABSeasons icon.png 파일:ABSpace_icon.png 파일:ABFriends_icon.png
파일:AB2_icon.webp 파일:AB Reloaded icon.png 파일:Rovio Classics_Angry Birds icon.png
콜라보레이션
파일:ABRio icon.png 파일:Angry Birds Starwars.png 파일:AB SW2 icon.png 파일:AB Transformers icon.png
스핀오프
파일:Bad Piggies icon.png 파일:Angry Birds GO!.png 파일:ABEpic icon.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tella_Pop_Icon.png
파일:Angry Birds Blast.png 파일:Angry Birds Evolution.png 파일:ABMatchIcon8.png 파일:ABDB_icon.png
앵그리버드 드림 블래스트
* 일반적인 방법으로 다운로드할 수 없는 게임
서비스 종료 <colcolor=#000,#fff>앵그리버드 파이트 · 앵그리버드 액션 · 앵그리버드 스텔라 · 앵그리버드 아일랜드 · 앵그리버드 다이스
미디어 믹스 앵그리버드 툰즈 · 피기 테일즈 · 앵그리버드 스텔라 · 앵그리버드 더 무비 · 앵그리버드 블루스 · 앵그리 버드 2: 독수리 왕국의 침공 · 앵그리버드 여름 캠프 대소동 · 앵그리버드 더 무비 3 · 기타
설정 캐릭터(스텔라 시리즈) · 피기 아일랜드 · 골든 아일랜드
그 외 시리즈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a3535> 파일:Angry Birds(game) icon.png앵그리버드 (2009)
Angry Birds
}}}
파일:attachment/Loading_screen.png
<colbgcolor=#ba3535><colcolor=#fff> 개발 로비오 엔터테인먼트
유통
장르 아케이드, 퍼즐
플랫폼
[ 펼치기 • 접기 ]
Android
iOS
Windows Phone
Mac
PC
노키아
Symbian^3
PlayStation Network
Samsung Smart TV
WebGL
킨들 파이어
블랙베리 OS
Series 40
Roku
MeeGo
HP WebOS
Maemo
출시 2009년 12월 11일(iOS, 노키아)
2010년 1월 18일(Maemo)
2010년 10월 15일(한국, Android)
2011년 1월 4일(PC)
2011년 6월 29일(Windows Phone)
한국어 지원 미지원
엔진 Ka3D
Box2D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 전체 이용가
파일:애플 앱스토어 이용 등급 만 4세 이상.jpg 만 4세 이상

1. 개요2. 재출시3. 스토리4. 게임 플레이
4.1. 새&돼지 종류4.2. 장애물 종류4.3. 에피소드4.4. 황금알4.5. 강화 아이템
5. 메인화면6. 여담

1. 개요

로비오 엔터테인먼트(Rovio Entertainment Ltd.)에서 제작한 앵그리버드 시리즈의 초대작. 2009년 12월 11일에 발매되었다. 한국 안드로이드에선 2010년 10월 15일 발매.

실로 간단한 조작법과 인 게임의 텍스트를 철처하게 배제한 결과, 현재 앵그리버드 시리즈는 그야말로 현재진행형으로 기록을 갈아치운 업적을 달성하게 되며 스마트폰 초창기 가장 큰 성공을 거둔 게임이다. 이에 대해선 앵그리버드 시리즈 참고. 앵그리버드 시리즈의 장기화가 진행되어 구분을 위해 앵그리버드 오리지널 또는 앵그리버드 클래식이라고도 불린다.

아쉽게도 출시 10주년 뒤인 2019년 기준으로 App Store 및 플레이 스토어에서 앱이 내려갔다. 워낙에 인기가 있던 게임이기는 했지만 그만큼 너무 오랫동안 서비스되던 게임이라 컨텐츠 자체도 노후화에 심각하게 접어들었는데, 이로 인해 로비오 측에서 자체적으로 내렸거나 스토어 측에서 레거시 프로그램이라고 내린 것일 수 있다. 다만 스토어 계정에 구매 내역이 남아있다면 재설치는 가능하며, 꼭 그렇지 않아도 로비오 측에서 자체로 올린 APK를 설치해 플레이할 수 있었다.

2022년 4월 기준 기존의 레거시 앱은 실행을 할 수 가 없게 되고 새로운 앱을 구매후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앱 데이터를 지우고 네트워크 연결을 안하면 이용이 가능하나 네트워크를 레거시 앱을 실행중에 활성화를 하면 잠시후에 레거시 앱이 즉시 종료되고 다시 앱 실행을 시도하면 바로 종료된다. 새롭게 출시한 유료 앱을 쓰라고 강제종료 코드를 넣어두는 것으로 보인다.

2. 재출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vio Classics: Angry Birds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vio Classics: Angry Bird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vio Classics: Angry Bird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스토리


을 보살피던 중 알 위에 앉은 모기를 실컷 응징하는 데에 한눈을 팔다가 정신을 차리고 보니 둥지의 알이 사라진 것을 발견한 들이 킹 피그를 중심으로 한 녹색 돼지[1][2]이 알을 훔쳐갔음을 알고 돼지들을 응징한다는 내용. 원작인 스타워즈의 스토리를 따르는 스타워즈 시리즈를 제외한 메인 게임 시리즈의 스토리가 이런 법칙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거나 '알'이라는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다.[3]


2013년 7월에 추가된 Red's Mighty Feathers에서는 돼지들이 알들을 모두 훔쳐갔으나 레드가 자기 능력을 이용해 알 하나를 지켜내자 돼지들이 구조물을 만들어서 나머지 알 하나를 훔친다는 설정으로 진행되며 마지막으로 남은 알 하나를 돼지들로부터 지키기 위한 것으로 조금 다르게 나온다.[4] 돼지들을 전부 처치해야 되는 건 변함없다.

그런데 실제로 새들 못지 않게 돼지 캐릭터들도 큰 인기를 얻고 있어서, 항상 빡친 새들에게 당할 수만 없지 않느냐는 의견들이 생기게 되면서 돼지들의 응징을 보고 싶어하는 팬들이 생겼고, 이것이 배드 피기스가 만들어지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그 후 앵그리버드 스타워즈 2에서 제국군 역할을 하는 돼지무리로 새들에게 응징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외에도 앵그리버드 트랜스포머에서는 로봇이 된 새들과 돼지들이 변이된 알 로봇을 무찌르기 위해 연합을 하기도 한다. 이후 앵그리버드 2때는 대놓고 돼지가 돼지를 쓰려뜨리는 하극상이 발생하였으며 하술된 리메이크판에서도 돼지 사용이 가능하다.

4. 게임 플레이

파일:노여운 새.jpg
새들은 새총에 직접 끼워 쏘며, 플레이어가 조준해 발사한다. 여기서 새총은 새를 맞추는 총이 아니라, 새를 날리는 총이라는 의미다. 일부 종류의 새는 발사 후 한 번 더 클릭해 특수 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 전반적인 방식은 포트리스 같은 포물선 탄도 게임과 유사하다.

목표는 스테이지에 있는 돼지들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다. 돼지는 새의 직접 타격은 물론, 낙하나 구조물 붕괴로 인한 충격으로도 죽는다. 따라서 구조물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무너뜨리느냐가 클리어의 핵심이다.

클리어 시에는 점수에 따라 별 1~3개가 주어지며[5], 사용하지 않은 새 한 마리당 1만 점의 보너스를 획득한다. 즉, 최소한의 새로 최대한 많은 구조물을 파괴하는 것이 고득점 전략이다. 단순히 클리어만 해도 진행은 가능하지만, 도전 과제나 황금알 획득을 위해서는 모든 스테이지를 별 3개로 채우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별도로 '마이티 이글'을 이용해 스테이지를 클리어할 경우 별점이 아닌 % 파괴가 나오며, 100% 파괴를 달성할 경우 스테이지에 깃털 모양이 추가된다. 마이티 이글을 쓰는 순간 모든 돼지가 사망하므로 결국 100% 파괴는 구조물을 얼마나 많이 부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100% 파괴라고 해서 스테이지 내에 존재하는 모든 구조물을 다 부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전체 파괴가 가능한 스테이지보다는 불가능한 스테이지가 더 많기 때문에 특정 기준 이상으로만 파괴하면 100%가 된다.[6] 단, 드문 경우이지만 일부 스테이지는 주어진 새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마이티 이글로만 파괴할 것을 요구한다. 대표적인 예시가 6-15로, 100%를 받기 위해서는 맨 처음 밤 이외의 어떤 새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

4.1. 새&돼지 종류

항목 참고.

4.2. 장애물 종류

  • 돌 : 레드와 척으로 직격 3방. 블루즈, 버블, 스텔라는[7] 방향을 틀 수 있지만 부술 생각은 안 하는 게 좋다. 밤, 마틸다, 테렌스로는 직격 1방에 없어지며 특히 밤은 작은 돌 정도는 부수고 나서도 제 속도를 유지할만큼 돌을 부수는데 특화되어 있다. 할은 회전할 때와 그냥칠 때와 차이가 있지만, 그냥 치는 것도 척 보다는 충격을 많이 준다. 앵그리버드에서 가장 많이 활용해야 할 점이 바로 이 돌이다. 돌이라는 장애물을 어떻게 떨구느냐에 따라서 돼지들의 안전지대가 만들어지느냐 아니면 돼지들의 무덤비석이 세워지냐가 갈린다. 떨어진다고 바로 부숴지지는 않지만, 그래도 적절한 충격에 적절히 부서진다. 또한 다른 구조물에 비해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떨어질 때 지면에 주는 충격도 나무나 유리에 비해 현저히 높고(밑에 눈이 있으면 계속 뚫고 내려가기도 한다.) 돼지는 떨어지는 돌에 맞으면 대부분 한 방에 죽는다. 바리에이션으로 둥근 모양의 돌덩어리가 있는데(작은 돌과 큰 돌이 존재) 이는 보통 돌에 비해 내구력이 장난이 아니며 그에 맞게 파괴력도 어마어마하다. 밤이나 마틸다로 작정하고 노리지 않으면 파괴가 거의 불가능할 정도. 이런 돌덩어리들은 폭약 옆에 있어서 폭약을 터뜨리면 날아가도록 되어 있거나 경사면에 나무 등으로 막혀 있어 나무를 부수면 굴러 떨어지는 구조가 많다.
  • 나무 : 레드, 척, 버블로 직격 1방. 특히 척과 버블은 나무를 부수는 데 특화되어 있다. 블루즈, 스텔라도 부수는 것은 가능하지만 안하는 것만 못하다. 밤, 마틸다, 할, 테렌스는 어떻게 하든 한방에 부수는 게 가능. 의외로 파괴력이 막강한 밤, 테렌스에게 강하다. 장애물 중 가장 많이 등장하며, 포인트가 되는 지점이 보통 나무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한 곳만 정확히 명중하면 위에 있던 구조물들이 모두 떨어지면서 돼지들을 여러 마리 죽일 수 있다든지. 그리고 알고 보면 가장 잘 부서지는 구조물이기도 하다. 특히 유리와 달리 땅에 떨어질 때 충격을 꽤 많이 받고, 나무로 된 구조물을 아래에서 무너뜨리면 위에 있는 나무들이 떨어지고 땅에서 구르다가 저절로 부서지는 경우가 흔하다. 그리고 부서질 때의 효과음도 화끈해서 스트레스가 풀린다. 즉,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잘 부서지는 나무를 최대한 많이 노리는 것이 좋다.
  • 유리 : 유리인지 얼음인지 헷갈리게 생겼지만 로비오에서는 유리로 보고 있다. 도전과제를 보면 얼음 XXX개씩 깨기 라고 적혀있지만, PC 버전의 데이터에서 glass로 나오고, Piglantis에서는 물에 가라앉으므로 유리로 볼 수 있다. 중수 얼음은 가라앉는다 블루즈, 버블은 직격 1방이며 작은 유리인 경우 파괴 후에도 계속 전진한다. 레드, 척은 1방에 부서지기는 하지만 블루즈와 달리 파괴 직후 속도가 급격히 줄어든다. 밤, 마틸다, 테렌스는 당연히 1방. 할도 1방에 부수는 게 가능하고, 척에 비해 깬 뒤 파괴력 변화가 적다.
    스텔라는 이것도 제대로 못 부순다단, 둥근 유리는 블루즈로도 잘 깨지지 않는다. 구조물이라기보다는 보통 장식형태로 많이 등장한다. 사실 고득점을 노리는 사람들에게는 그리 달갑지 않은 장애물이기도 하다. 나무와는 달리 유리를 잘 부수는 새의 종류가 적은 편인데다 자체 무게도 가벼워서 유리를 아무리 돼지들 위로 떨어뜨려도 돼지들이 잘 죽지 않고 심지어 폭약 위에 떨어졌는데 폭약이 터지지 않을 때도 많다. 게다가 나무와 달리 땅에 떨어질 때 충격을 많이 받지 않기 때문에 추가 파괴를 노리기가 매우 어려워 여러 가지로 스코어 어택을 불리하게 만든다.
  • 사각틀 : 돌, 나무, 유리로 이루어진, 속이 빈 사각형 모양의 틀. 주로 탱커 역할을 하여 새들이 더 깊숙한 곳을 공격하기 어렵게 만든다. 나무로 된 사각틀의 경우 척과 테렌스의 속도를 크게 낮추어 파괴력을 크게 떨어뜨리므로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추락에 대한 내구력은 같은 재질의 일반 블록과 비슷하므로 가능하다면 어떻게든 땅으로 떨어뜨려 그 충격으로 사각틀이 저절로 부서지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
  • 폭약 :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 폭발력은 그리 강하진 않지만 폭약의 진가는 폭발 자체로 인한 파괴보다는 폭발에 의한 폭풍으로 주변에 있는 모든 물체들을 강하게 날려버린다는 데 있다. 이 때문에 장애물을 처리하기 좋고 약한 새로도 파괴력을 지니기 쉬우며 잘 이용하면 동시에 여러마리의 돼지를 사냥할 수 있다. 단, 약한 충격에는 터지지 않고 멀쩡할 때도 있다. 리오에는 좀더 약한 충격에도 폭발하는, 종이로 된 폭약 상자가 등장하고, 시즌스에서는 아이템으로 좀 더 폭발력이 좋은 알라카 밤이 등장하며, 스타워즈에서는 내구가 더 좋은 대신 폭발력도 더 좋은 남색 폭약 상자가 등장한다. 폭약을 터뜨리면 스페이스에서만 1000점을 주고 다른 시리즈에서는 500점을 준다.
  • 풍선 : 레벨이 높은 스테이지에서라면 정말 볼 때마다 질색할만한 장애물. 어떤 새든 풍선을 건드리면 공격력을 잃고 추락하기 때문에 풍선은 엄청 성가신 장애물이 된다.(능력을 사용한 척으로 맞히거나 기타 경우 제외) 새로 직접 터뜨리는 것 외에 떨어지거나 날아가는 구조물을 이용해서 제거할 수도 있다. Birdday Party와 리오에서는 풍선을 매단 줄이 끊어지면 공중으로 떠오른다. 풍선이 주는 점수는 100 내지 300점 정도로 낮은 편이지만, Rio 한정의 돼지 모양 풍선은 자기도 돼지라고 5000점을 준다.
  • 분홍색 튜브 : 일종의 점프효과를 일으킨다. 많은 스테이지에 등장하지는 않고 거의 극소수 스테이지에만 나온다. 오리지널 및 시즌에서는 알이 여기 닿아도 폭발했지만 리오에서는 알도 튕겨낸다. 타 시리즈에서 튜브 역할을 하는 장애물로 Rio의 튜브, 파라솔, 빨간 버섯, Space의 젤리, 스타워즈의 드럼이 있다.
  • 바퀴 : 말 그대로 바퀴. 굴러가는 효과가 나며, 둥근 블록이기 때문에 내구가 좋은 편이다.
  • 안전모 : 에피소드 4(챕터 9~11)에서 돼지들이 쓰고 있는 모자. 이 모자가 돼지를 죽일 수도 있지만 죽이지 않고 보호해주는 역할이 강해서 꽤 성가신다. 에피소드 5(12~14)에서는 카우보이 모자가, 에피소드 6(15~17)에서는 광산모가 같은 역할을 한다. 에피소드 4 이후로도 가끔씩 등장한다.
  • 물약 : Short fuse에서만 등장하는 구조물로 돼지들에게 근접하면 연기가 나면서 주변의 돼지들에게 상태이상을 걸어준다.(다만, 돌 등 단단한 구조물에 맞으면 그 자리에서 깨진다.) 총 3종류로, 각각 새들의 능력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또한 효과를 중복으로 걸어주는 게 가능하다. 다만 주황 물약이나 분홍 물약에 의해 커진 상태에선 파란 물약에 닿아도 파란 물약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 주황색 물약 : 모티브는 버블. 주변에 있는 돼지들을 부풀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부푼 돼지는 잠시 후에 바람이 빠지며 5000점을 주고 사라진다.
    • 분홍색 물약 : 모티브는 스텔라. 주변에 있는 돼지들을 비눗방울로 만들어 구조물과 함께 높이 올려보낸다. 방울 돼지는 잠시 후에 터져 5000점을 주고 사라진다.
    • 파란색 물약 : 모티브는 블루즈. 주변에 있는 돼지들을 3마리로 분열시킨다.[8]

4.3. 에피소드

초기 버전에서는 Poached Eggs(1번 에피소드)를 모두 클리어하지 않았으면 다른 에피소드로 갈 수 없었지만 이후 맨 처음 앵그리버드를 실행할 때부터 모든 에피소드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버전에서는 어째서인지 다시 예전처럼 돌아왔다.
  • O. Tutorial (챕터 0, 15스테이지)
    튜토리얼이다. 15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8스테이지까지는 쉬운 레벨로 구성되어 있고, 9스테이지부터는 파워업 아이템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 1. Poached Eggs (챕터 1~3, 63스테이지)
    최초의 에피소드. 알이 사라졌는데 알고보니 돼지들의 짓이었기 때문에 털어버린다는 내용. 스테이지는 제일 많지만 난이도는 처음이라 당연히 쉽지만, 별 3개 획득 난이도는 무난한 편.
  • 2. Mighty Hoax (챕터 4~5, 42스테이지)
    2010년 2월에 업데이트. 돼지들이 판자떼기로 새들을 속여 알을 훔치지만, 마지막에도 판자로 변장한 걸 보면 이 에피소드에서 유일히 돼지가 피해를 안 본 편에 속한다.[9]
  • 3. Danger Above (챕터 6~8, 45스테이지)
    2010년 4월에 업데이트. 주로 공중에 매달린 돼지나 시설물이 많이 등장하며 챕터 6에서 이 처음으로 등장한다.[10] 풍선을 타고 하늘로 날아서 도망치는 돼지들을 처리하러 간다는 내용.
  • 4. The Big Setup (챕터 9~11, 45스테이지)
    2010년 6월에 업데이트. 테렌스(빅 브라더 버드)가 첫 등장하는 에피소드로, 돼지들에게 붙잡힌 새들을 구출하러 공사현장으로 달려간다. 이후 9-5에서 할을 구한 이후에는 11챕터 끝까지 이 둘로만 진행된다. 이 챕터의 경우 각 스테이지마다 여태 나왔던 스테이지를 재건축한 모습.[11] 또한 배경도 챕터 1~7까지의 배경에 건설 기기가 있는 모습이다. 나머지는 클리어 이후에 구조된 것 같다.[12]
  • 5. Ham 'Em High (챕터 12~14 + f, 48스테이지)
    2010년 12월에 업데이트. 무대는 서부의 총싸움을 연상케하는 사막으로 처음엔 챕터 12만 있었으나 각각 2011년 2월, 3월에 챕터 13, 14[13]가 뚫렸다.
  • 6. Mine and Dine (챕터 15~17, 45스테이지)
    2011년 6월에 업데이트. 알을 훔쳐 땅을 파고 도망치는 돼지들을 잡으러 탄광을 들쑤시는 에피소드로, 이쪽도 시작할 땐 15챕터만 있고 16, 17챕터는 한달 단위로 추가되었다.
  • 7. Surf and Turf (챕터 18~20, 45스테이지)
    2012년 3월에 업데이트된 에피소드. 원래 앵그리버드 프렌즈에 먼저 나왔던 에피소드이다. 스페이스의 Danger Zone, 스타워즈의 Path of the Jedi처럼 처음에는 보너스 에피소드였기 때문에 첫 챕터가 18챕터가 아니었다.[14] 해변에서 해수욕을 즐기다가 돼지들이 알을 훔쳐가자 새들이 돼지들을 응징한다는 내용이다. 2012년 8월 2일에 두 번째 챕터 (현 19챕터)가, 10월 9일에 마지막 세 번째 챕터 (현 20챕터)가 업데이트가 되었다. 첫 번째 18챕터는 난이도가 쉬운 편인데 두 번째 19챕터부터 난이도가 급상승하기 시작한다.[15]
  • 8. Bad Piggies (챕터 21~23, 45스테이지)
    2012년 10월 9일에 업데이트된 같은 회사에 만든 게임인 배드 피기스와 동명인 에피소드. 원래 챕터 19~21이었으나 2012년 12월 11일 Birdday Party의 2챕터가 업데이트되면서 챕터 20~22로 바뀌었고, 그와 동시에 챕터 21이 업데이트되었다. 그리고 2013년 3월 7일 마지막 챕터 22가 업데이트 되었다. 2014년 3월 5일 4.1.0 업데이트에서는 챕터 21~23으로 바뀌었다. 스테이지 선택시에 밑에 배드 피기스 광고가 등장한다. 난이도는 클리어 자체는 쉬운 편이지만 별 3개를 획득하기가 매우 어렵다.
  • 9. Red's Mighty Feathers (챕터 24 + 알 지키기 챕터, 30스테이지)
    2013년 7월 3일에 업데이트된 아홉째+보너스[16] 에피소드. 다른 에피소드들과는 달리 돼지들로부터 알을 지키고,[17] 정해진 수만큼의 돼지를 잡고, 새를 특정 수 이하로 사용하면 별이 하나씩 추가되는 형식으로, 구조물이 움직이는 Bird Frenzy를 스페이스의 레이저 척의 능력을 가진[18] 레드만 플레이하는 에피소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앵그리버드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원래의 앵그리버드와 플레이 방식이 너무 많이 달라져서 에피소드에 대한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고 있는 듯. 그것을 의식했는지 앵그리버드 스타워즈 2가 등장하기 3일 전인 2013년 9월 16일에 원래 방법으로 플레이하는 23챕터가 업데이트되었고, 보너스 에피소드에서 정식 에피소드로 승격되었다. 2014년 3월 5일 4.1.0 업데이트에서 챕터 24로 바뀌었다. 이 에피소드는 원래 24챕터, 알 지키기 챕터, 그리고 세 번째 챕터 (31~45스테이지)까지 포함해서 총 45스테이지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세 번째 챕터가 업데이트가 되지 못해 30스테이지밖에 없는 미완성 에피소드가 되어 버리고 말았다.
  • 10. Short Fuse (챕터 26~28, 45스테이지)
    2013년 11월 28일에 업데이트, 처음에는 챕터 25와 26만 업데이트되었으나 2014년 3월 5일에 챕터 25,26이 26,27로 바뀌고 챕터 28이 업데이트되었다. 테렌스와 레드에 이어 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에피소드로 테마는 실험실. Red's Mighty Feathers에서 레드가 특수능력이 있었듯이 밤에게도 새로운 특수능력이 생겼는데 폭발하면 밤 주위로 전기충격파가 나가며 돼지들을 감전시켜 지져버림과 동시에 주변 구조물을 밀어낸다. 그리고 맵 주변에 있는 물약을 이용해 돼지들에게 상태이상을 걸어줄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상태이상은 중복으로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잘만하면 렉이 걸릴 정도의 헬게이트를 만드는 것도 가능.[19]
  • 11. Flock Favorites (챕터 29~30, 30스테이지)
    팬들의 투표로 선정된 최고의 에피소드들을 기반으로 새로 만든 에피소드. 초기에는 15스테이지만 공개되었다가 5.1.0. 버전을 기준으로 15스테이지가 추가되었다. 각각 Poached Eggs(2, 4, 30), Danger Above(5, 16, 21, 22), Mine and Dine(6, 7, 17, 20), Surf and Turf(1, 3, 8, 18, 29), Bad Piggies(9, 10, 15, 19, 26, 27), Red's Mighty Feathers(12, 14, 25, 28), Short Fuse(11, 13, 24, 25)에 대한 7개의 에피소드가 사용되었다.
  • 12. Bird Island (챕터 31, 21스테이지)
    앵그리버드 무비 기념으로 만든 듯한 에피소드이다.
  • 13. Piggy Farm (챕터 32~34, 45스테이지)
    배경이 농가처럼 보이는 에피소드로 총 45개의 스테이지가 있다. 스테이지 올 클리어 이후 나오는 영상에 콧수염 돼지가 알을 가지고 -65M가 적혀져 있는 타임머신으로 보이는 기계 안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갑자기 스토리 퀄리티가 너무 높아졌다
  • 14. Jurassic Pork (챕터 35~37, 46스테이지)
    Piggy Farm에서 스토리가 이어지며, 쥬라기를 배경으로 한 에피소드. 특이하게도 마지막 챕터가 16스테이지다.
  • Birdday Party (보너스 에피소드)
    앵그리버드 시리즈의 n주년마다 업데이트되는 특별 에피소드이다. 첫 등장 시에는 7번째 에피소드로 일반 에피소드에 포함되어 있었지만 거듭되는 업데이트로 인해 이후 에피소드의 챕터 번호가 계속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현재는 일반 에피소드에서 이탈하여 보너스 에피소트로 취급된다.
    • 2011년 12월 11일에 2주년 기념으로 해당 에피소드가 최초로 공개되었다. 근데 2주년 기념이라면서 짜증나게 어렵다.[20]

    • 앵그리버드 3주년 기념일인 2012년 12월 11일에 15스테이지가 더 업데이트되었다. 생일파티스러운 배경이다. 2012년 12월 11일 이전까지는 오리지널의 에피소드 중 스테이지 수가 가장 적었다. 시즌스에 먼저 등장했던 버블과 스텔라가 오리지널에 데뷔. 챕터 24의 새들은 모자를 쓰고 있다.

    • 2013년 12월 11일에 앵그리버드 4주년 기념으로 셋째 챕터가 업데이트되면서 챕터 24는 2주년 케이크, 챕터 19는 3주년 케이크로 바뀌었다.

    • 2014년 12월 11일에 업데이트로 앵그리버드 5주년을 기념해 총 30개의 스테이지로 전 세계의 팬들이 맵을 만들어서 올라 온 에피소드가 추가되었다. 대체로 난이도가 높은 편. 각 스테이지마다 작성자와 스테이지 제작기를 볼 수 있다. 이 당시에는 Birdday 5 라는 별도의 에피소드로 있었으나, 현재는 Birdday Party 에피소드에 통합되어 있다.

    • 2015년 12월 11일 6주년 기념 네번째 챕터가 업데이트 되었는데, 난이도가 매우 어렵다.

    • 2016년 12월 11일 7주년 기념 챕터까지 추가었고, 본 에피소드의 마지막 챕터이다.

7.9.2버전 기준으로 어째서인지 일부 에피소드의 순서가 뒤죽박죽이 되어있다.[21]

타이틀 화면에서 날아가는 것들은 게임의 진행상황에 따라 달라지는데, 지금까지 나온 모든 새 종류[22] 및 클리어한 에피소드를 상징하는 물체들이 날아간다. 해당 에피소드의 모든 스테이지에서 별 3개를 얻으면 이 물체들에 별이 추가로 붙는다. 에피소드 상징 물체는 다음과 같다.
에피소드 순번[23]에피소드상징 물체
1Poached Eggs프라이팬
2Mighty Hoax돼지 판자
3Danger Above풍선
4The Big Setup돼지코 마크가 있는 안전모
5Ham 'em High카우보이 모자
6Mine and Dine
7Surf and Turf오렌지주스
8Bad Piggies안전모
9Red's Mighty Feathers(상징 물체 없음)[24]
10Short Fuse파란 물약
11Flock Favorites선풍기
12Bird Island마이티 이글 동상
13Piggy Farm양상추
14Jurassic Pork화석
Birdday Party조각 케이크

4.4. 황금알

게임의 부가요소. 게임 내에 숨겨진 황금알이 여러 개가 있는데, 이 알을 하나씩 찾아낼 때마다 매우 특이한, 숨겨진 스테이지가 하나씩 개방된다. 오토플레이도 존재하고 스트레스 확 풀리는 스테이지 또한 머리 좀 쓰는 황금알도 있고 아예 퍼즐도 있다. 이 숨겨진 황금알들은 업데이트가 될 때마다 새로이 추가된다. 원래 황금알은 36개가 있었으나, 2022년 리메이크 버전에서는 28개로 줄었다. 크롬 웹 스토어 버전에서는 황금알 대신 구글 크롬 로고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 황금알 획득 공략법은 다음과 같다.

이중 1~7번 황금알까지는 황금알 선택 화면에 대략적으로 힌트를 제공해준다.
  • 2번 황금알
    • 5-19에서 오른쪽의 로켓 모양 장식 위에 황금알이 있다. 척이나 마틸다로 얻으면 된다. 왼쪽의 콧수염 돼지를 죽이면 된다는 공략도 있으나 이는 거짓. 아무래도 마틸다가 콧수염 돼지에게 알을 쏘고 위로 튀어올랐는데 우연히 황금알을 맞춘 것 때문에 이런 말이 떠돌게 된 듯.
  • 3번 황금알
    • 2-2에 있는 비치볼을 부순다. 안 얻고 싶어도 별 3개 노가다 하다 보면 자동으로 얻어진다. 이 황금알 스테이지는 2분 30초 정도만 가만히 있어도 비치볼들이 서로 부딪혀 알아서 클리어된다. 운이 좋으면 7만점 이상도 받을 수 있는 스테이지.
  • 4번 황금알
    • Poached Eggs을 모두 별 3개 받으면 된다. 황금알은 사운드 테스트를 가장한 퍼즐인데, 별을 얻으려면 모여있는 새 - 새총 - 위의 아무 1개짜리 새 - 아무 블록 하나 혹은 아래의 아무 1개짜리 돼지를 순서대로 누르면 된다.[25]
  • 5번 황금알
    • 엔딩 크레딧 맨 아래에 있다. 왼쪽 구석의 톱니바퀴 누른후 i를 누른 다음 맨 아래로 스크롤하면 된다.
  • 6번 황금알
    • 1-8에 있는 보물상자를 그냥 더블클릭하면 된다. 어차피 보물상자가 지형안이라 아무리 부수겠다고 해봤자 안부숴진다. PC판에서는 보물상자를 클릭한 채 키보드로 open을 입력하면 획득. 여담으로 황금알 스테이지는 어째 돼지 살처분 장면이 연상된다.
  • 7번 황금알
    • Mighty Hoax를 모두 별 3개 받으면 된다. 황금알 스테이지는 라디오로, 기어를 돌려 막대를 3번째 큰 막대와 4번째 큰 막대 사이에 놓으면 된다. 이 때 나오는 배경음악이 듣기 좋다.[26]
  • 8번 황금알
    • 에피소드 선택창 밑에 있는 태양을 더블클릭하면 되었었다. 2013년 7월 3.3.0 업데이트에선 에피소드 선택창의 배경이 이전에 플레이한 에피소드의 배경으로 바뀌면서 태양이 없어졌기 때문에 Mine and Dine 스테이지 선택창의 광산모를 쓴 일반 돼지의 광산모로 이동했다. 2022년 출시된 리마스터 버전은 2012년 당시 시점으로 출시되어 태양이 있지만 획득 방법은 최신 방법과 동일하게 광산모를 터치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 9번 황금알
    • 4-7 스테이지 오른쪽 상단에 있다. 척으로 얻으면 된다.[27]
  • 10번 황금알
    • 6-14 오른쪽 하단에 황금풍선이 있다. 할로 얻으면 된다.
  • 11번 황금알
    • 챕터 8 선택창에서 오른쪽으로 끝까지 스크롤 하면 황금알이 보인다. 멀티터치를 이용해야 한다. 황금알 스테이지는 척 두 마리, 위에 폭탄과 쇠구슬들이 있다.
  • 12번 황금알
    • Danger Above를 모두 별 3개 맞으면 된다. 황금알 클리어 방법은 블루즈 - 레드 - 눈 감은 밤 - 블루즈 - 할 순서대로 누르면 된다. 그러면 앵그리버드 메인 테마가 연주되고는 클리어된다.
  • 13번 황금알
    • 8-15 스테이지 왼쪽 하단에 네모 모양 나무 2개 왼쪽에 황금알이 있다. 척으로 앞쪽의 튜브를 향해 쏴 반동으로 얻거나 할로 얻으면 된다. 황금알 스테이지는 주머니가 흔들리면서 돼지들이 충격을 받아 자멸하기 때문에 새를 전혀 쓰지 않고도 클리어할 수 있다. 하지만, 1마리로 주머니를 지지하고 있는 나무를 제거해 클리어할 때 조금이지만 더 높은 점수를 얻는다.
  • 14번 황금알
    • 9-14 스테이지 오른쪽에 황금알이 안전모를 쓰고 있다. 테렌스는 짧아서 닿지 않으므로 할로 얻어야 한다.
  • 15번 황금알
    • 10-3 스테이지에 있는 오리를 터트리면 된다.
  • 16번 황금알
    • 11-15 스테이지에서 줌 아웃을 하면 왼쪽 하단에 황금알이 보인다. 할로 얻으면 된다.
  • 17번 황금알
    • The Big Setup을 모두 별 3개 맞으면 된다. 내용은 앵그리버드판 메트로놈. 클리어 방법은 위의 돼지 모양을 모두 눌러 돼지가 모두 나오게 한 다음 테렌스를 한번 누르고 속도기를 제일 오른쪽으로 끌면 클리어다. 이거 계속 들어보면 묘하게 중독성이 있다(...).
  • 18번 황금알
    • 12-12 스테이지에서 중앙 하단 모래시계처럼 생긴 장식을 터트린다. 블루즈로 위의 장애물을 최대한 제거해야 하고 모래시계 장식이 잘 안 터지기 때문에 얻기 제일 힘든 황금알에 속한다.
  • 19번 황금알
    • 13-10 스테이지로 들어가면 오른쪽 상단에 바로 보인다. 마틸다나 척으로 얻으면 된다. 그리고 황금알 스테이지는 밤 6마리다(...).
  • 20번 황금알
    • 14-4 스테이지 오른쪽 상단에 있다. 그냥은 안보이니 줌아웃 해야 한다. 다행히도(?) 이 스테이지는 새가 죄다 척이니 얻기는 쉽다. 황금알 스테이지는 모자 안에 돼지들이 숨어있으니 참고.
  • 21번 황금알
    • Ham 'Em High를 모두 별 3개 맞으면 된다.[28] 황금알 스테이지가 조금 당황스러운데, 그냥 오른쪽 부분을 누르고 오른쪽으로 쭉 당기면 갑자기 리코디언이 오른쪽으로 찢어지고 콧수염 돼지가 괴상한 소리(?)를 내면서 클리어된다.
  • 22번 황금알
    • 13-12 스테이지에서 마틸다를 뒤로 쏴서 알을 쏘면 럭비공알이 얻어진다. 이 황금알(?)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앵그리버드 리오 티저영상을 볼 수 있었던 링크를 클리어창에 띄워준다.[29] 모양이 럭비공인 이유는 이 영상이 슈퍼볼 광고에 나온 광고이기 때문.
  • 23번 황금알
    • 15-12 스테이지 오른쪽 상단에 줌아웃하면 있다. 마틸다나 척으로 얻으면 된다.
  • 24번 황금알
    • 16-9 스테이지 오른쪽 상단에 줌아웃하면 있다. 역시 척이나 마틸다로 얻으면 된다. 황금알 스테이지는 걍 곡괭이 사이에 둘러싸인 돼지를 연결하는 줄을 끊으면 튀어나오는 TNT에 즉사하며 클리어된다.
  • 25번 황금알
    • Mine and Dine을 모두 별 3개 맞으면 된다. 황금알 스테이지는 보라색 보석을 머리에 이고 있는 돼지를 잡고 나면 고드름 비가 내리며 클리어된다.
  • 26번 황금알
    • 17-12 스테이지에서 줌아웃하면 우측 상단에 보물상자가 있다. 척으로 보물상자를 깨면 있다. 황금알 스테이지는 레드로 돌을 매달고 있는 줄을 끊는다.
  • 27번 황금알
    • Birdday Party 에피소드의 7-6 스테이지에서 줌아웃하면 오른쪽 상단에 네모 모양 나무 안에 황금알이 있다. 척으로 공략하면 된다.
  • 28번 황금알
    • Birdday Party 에피소드의 6-14 스테이지에서 TNT 상자 옆의 검은 TNT 케이크를 제거하면 새총 뒤쪽의 풍선이 날아가며 황금알이 등장한다. 할을 뒤로 날려 얻으면 된다.
  • 29번 황금알
    • 24-8 스테이지에서 공중에 떠 있는 엔진을 제거한다.
  • 30번 황금알
    • 알 지키기 챕터와는 관계 없이 Red's Mighty Feathers을 모두 별 3개 맞으면 된다.
  • 31번 황금알
    • 26-15에서 느낌표가 있는 곳으로 할을 날려 안의 버섯들을 모두 제거하면 황금알이 튀어나온다. 황금알 스테이지는 앵그리버드 역사상 최초로 백만단위의 스코어를 기록할 수 있는 곳으로 파란 물약을 유리에 가려진 돼지 세 마리에다 잘 떨궈주면 된다. 그러나 이게 말이 쉽지 무지막지하게 어렵다. 로비오도 이걸 노린건지 구조물 자체도 쉽게 무너지게 만들어 놓았다. 어쨌든 성공만 하면 지금까지 봤던 중 가장 많은 수의 돼지가 화면을 가득 메우는 걸 볼 수가 있을 것이며, 거기에 주황색 물약까지 들어갔다면 엄청난 렉까지 걸린다. 3.4.0 버전에선 사실 잘만 하면 200만 이상도 찍을 수 있긴 하다.[30] 4.0.0 버전에선 밸런스를 위해 파란 물약이 5개에서 3개로 줄어들어 더 이상 백만점을 낼 수 없게 됐다. 여담으로 이 황금알 스테이지는 중력이 거꾸로 작용하며, 그것을 반영해 배경도 위아래가 뒤집혀 있다.
  • 32번 황금알
    • 30-15에서 우측 상단에 매달려 있다. 의외로 얻기 어려운 편인데 매달린 부분이 고무지우개 패널이기 때문에 튕기는 속성이 있기 때문. 그래서 척으론 얻기 힘들고 세 번째에 배치된 마틸다를 이용해 각도를 잘 맞추면 된다. 황금알 스테이지는 무중력 스테이지로, 앵그리버드 스페이스를 해봤다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을 정도. 하지만 밑으로 옮겨져서 이제 얻기 쉬워졌다.
  • 33번 황금알
    • iOS 한정. 에이즈 퇴치 캠페인 차원에서 앵그리버드 스테이지 선택 하단에 'Learn About (RED)' 옆의 황금알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풀린다. 이후 RED 아이콘과 그 옆에 있던 황금알 아이콘이 사라져서 따로 획득할 수 없게 되었으나, 현재는 그냥 자동으로 획득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Android에서는 원칙적으로 플레이가 불가능하다. 그런데 Android 버전에서도 총 황금알 갯수는 36개로 표시되어서 모두 클리어를 해도 35/36으로 남는 문제가 있다. 다만, 게임 데이터 상으로는 그대로 포함되어 있어서 억지로 불러오면 플레이가 가능하고 클리어까지 되기는 한다. 실제로 관련 버그가 있어서 이걸 이용해서 Android에서 33번 황금알을 플레이한 사례가 있다.[31] 버그 시연 영상 플레이 영상 로비오 계정을 통해 플레이 데이터 연동이 가능했던 시절에는 iOS에서 해당 황금알을 클리어 후 계정 연동으로 Android에서 실행하면 그 자리에 별만 떠 있어서 진입은 못하지만 클리어된걸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현재는 로비오 계정 서버가 내려가서 이 방법은 더 이상 이용할 수 없다.
  • 34번 황금알
    • 이 황금알은 처음 7개의 황금알처럼 힌트가 있다. 처음 화면에서 마이티이글 리그에 진입후 우측하단 트로피 버튼을 누르고 6번실루엣[32]을 누르면 그림 옆에 있다. 황금알 스테이지는 고무지우개 패널로 감싸져서 풍선위에 안착되어 있는 돼지들을 밤3마리로 잡아야 한다! 팁을 주자면 새총 위에 고무지우개 패널로 감싸진 폭탄을 조심히 떨어뜨려 맵 아래에 박혀있는 폭탄을 터트리는 것.
  • 35번 황금알
    • 34번 황금알과 비슷하다. 마찬가지로 마이티이글 리그에 진입후 별버튼을 누르고 22번실루엣[33]을 누르면 그림옆에 있다. 황금알 스테이지는 벽으로 전부막혀있다. 밤과 척으로 나무를 부수고 밤으로 돌들을 날리는 것.
  • 36번 황금알
    • 마이티리그 진입전 보이는 전세계1등유저를 클릭시 좌측상단에 있다. 여담으로 이 황금알은 앵그리버드 클래식의 마지막 황금알인데 혼자 3페이지에 덩그러니 있다.

  • 황금 킹 피그
    • 최초로는 아이패드 한정으로 앵그리버드 2.2.0 업데이트에서, 안드로이드 및 PC에서는 2012년 10월 9일자로 패치 된 2.3.0버전에서 등장한 새로운 황금 스테이지. 클리어 여부와는 상관없이 황금알을 모두 모으면 열리고, 이전 버전에서 얻은 경우 다음 버전에서 추가된 황금알을 얻지 않아도 사라지지 않는다.

    • 랜덤으로 정해진 스테이지 하나를 넷 중 하나의 형식으로 플레이하게 되는데 10초 내에 터치를 통해 스테이지를 무너뜨리는 Total Destruction, 새와 돼지가 돼지와 알로 변경된 King Pig, 구조물의 재질이 서로 바뀌는 Material Mix-up,[34] 일정 시간 내에 랜덤으로 주어지는 새들로 돼지를 잡는 Bird Frenzy[35]로 구성되어 있다.

    • 여담으로 King Pig 스테이지를 제외하고는[36] 패배 시 킹 피그가 웃으며, 승리 시 킹 피그가 운다.(...)


이와는 별개로 18-15 스테이지에 있는 지형에 갇혀 있는 무지개케이크를 먹는 방법이 존재한다. 우선 척이나 버블을 이용해 오른쪽의 도넛을 터트린다. 오른쪽에 있는 폭탄을 터트리면 쉽다. 그러면 새총 왼쪽에서 풍선 2개가 위로 떠오르는데 이건 무시하고 마틸다로 그 풍선이 떠오른 곳에 있는 보물상자를 터트린다. 그럼 무지개케이크를 막고 있는 지형이 뚫려서 무지개케이크와 통하는 구덩이가 뚫리는데, 마지막 할을 그 구덩이에 넣어서 무지개케이크 오른쪽에 있는 폭탄을 터트리면 무지개케이크가 얻어진다. 말은 쉬워보여도 모든 새를 써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혹은 편법으로, 킹 피그 아래의 나무를 척으로 부숴서 절묘하게 공간을 남긴 다음 버블을 킹 피그 아래의 움푹 패인 지형에 정확히 꽂아넣으면 바로 얻을 수 있다.버블이 부풀어오르면서 폭탄과 케이크까지 전부 닿기 때문. 얻는다고 보너스 스테이지가 생기는 건 아니고 도전과제용이다.[37] 이 과정을 따르기 귀찮다면 Total Destruction에서 무지개케이크 주변을 터치해서 얻을 수도 있겠지만 Total Destruction 자체도 4번 중 1번꼴로 나오고 그것도 확률이 매우 낮은 18-15 스테이지가 나와야 하니 운이 좋아야 한다.

4.5. 강화 아이템

앵그리버드 페이스북 버전(현 앵그리버드 프렌즈)에서 처음으로 도입되고 나서 2.2.0버전 2012년 8월 업데이트부터 강화 아이템 사용이 가능해졌다. 게임 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은 다음과 같다.
  • 슈퍼 씨앗(Super seed) → 파워 포션(Power Potion) - 새의 크기가 2배로 커진다. 당연히 화력도 증가. 4.1.0 업데이트에서는 한 마리에게 먹이면 대기 중인 모든 새들의 크기가 커지고 화력이 증가한다. 4.2.0 업데이트에서는 앵그리버드 리오부터 슈퍼 씨앗이 파워 포션으로 아이템이 바뀌었고, 대기 중인 모든 새들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 아니라 각 새들마다 각각 적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 왕새총(King sling) - 새총이 금속 재질로 바뀌면서 발사했을 때의 속도가 2배로 빨라진다. 탄속이 빨라져 척의 목재파괴력이 극대화된다.여담으로 자세히 보면 독수리 모양이 보인다.
  • 스코프(Sling scope) - 새를 발사할 때의 궤도가 표시된다. 앵그리버드 스페이스스타워즈, 후속작의 모든 캐릭터들은 스코프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굉장히 유용한 아이템으로 밤, 쇼크웨이브, 테렌스, 마이티 이글조차 이 조준경 아이템이 있어야 효과를 100% 발휘할 수 있다.
  • 버드퀘이크(Birdquake) - 맵에 지진이 일어나 돼지들이 쓴 보호막이 모두 파괴되고, 일부 불안정한 구조물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 쇼크웨이브(Shockwave) - 전기충격파를 날리는 밤을 소환한다. 스타워즈의 클론처럼 +1으로 나오기에 스코어링 할 때 상당히 유용한 녀석.스테이지 클리어가 안 될 땐 이녀석을 부르자.쇼크웨이브 +파워포션으로 모든판을 쓸어버릴 수 있다.
  • 점수 2배(중국판) - 중국판 한정의 아이템. 블럭의 점수를 2배로 얻게 해준다.

윙맨이 쇼크웨이브로 바뀐 것을 제외하면 모두 앵그리버드 프렌즈와 동일하다.

이 강화들은 모두 1회용이며 유료템이다. 계속 쓸려면 코인으로[38] 지불해야 한다. 혹은 매일 한국 기준 자정(밤 12시)에 랜덤으로 하나씩 추가해준다.[39]

4.1.0 업데이트에서는 강화 아이템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테이지가 추가되었다.

5. 메인화면

파일:Zyxwv.jpg
극초기에 쓰였던 메인사진[40]
파일:timthumb.jpg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쓰인 메인사진
파일:attachment/Loading_screen.png
이 메인사진은 2011년 말부터 2016년 초까지 쓰였고
2017년 하반기에 다시 쓰이기 시작했다.[41]
파일:external/bajkowymaluch.pl/unnamed.png
극장판 개봉 이후 쓰이는 메인사진[42]
파일:external/assets-production.rovio.com/angrybirdsclassic_mightyleague_postimage_keyart_1920x1080_tagline2.png
마이티이글 리그 이후 약간 변경된 메인사진

6. 여담

  • 플레이 스토어에선 평가가 괜찮은데 리뷰를 보면 별 한개를 주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광고 때문[43]에 별 한개를 주는데 이럴때는 그냥 와이파이나 데이터를 꺼야만 해결이 된다. 참고로 앵그리버드[44]는 2011년부터 계속, 데이터와 와이파이를 연결하면 광고가 나오기 때문에 이 때문에 플레이 스토어 리뷰에는 불만이 많은 유저들이 있는 모양. 앵그리버드를 하고 있으면 꼭 참고하길 바란다. 그러나 와이파이를 끄고 광고를 보지 않으면 코인을 못 받으니 주의. iOS버전은 유료로 판매한 대신 광고가 없었지만 무료로 풀리고 나서 마찬가지로 광고가 추가되었다.
  • 카카오 버전도 런칭했는데, 평가가 영 좋지 않다.
  • 정식 후속작인 앵그리버드 2가 2015년 7월 30일에 발매되었다. 후속작은 여러 기능이 추가되었으나, 오히려 과금이 더욱 비싸지고 현질유도가 잦아져서 유저들의 평가가 엇갈린다. 이런 이유로 앵그리버드 팬들도 대부분 기본에 충실한 원작이나 난이도 좀 높은 시즌스후속작보다 더 낫다고들 하기까지도 한다.
  • 마이티 리그의 BGM이 Darude - Sandstorm과 앵그리버드 BGM의 매쉬업이다.
  • 타이틀에서 날아가는 새들을 터치하면 새총으로 발사될 때 날아가는 소리를 낸다.

[1] 이 돼지들은 영상처럼 처음엔 풀을 뜯어먹고 있다가 새들의 알을 보고 먹고 싶어서 이들이 방심한 틈을 노리며 시작한 거였다.[2] 실제로 돼지는 잡식동물이다.[3] 다만, 앵그리버드 스타워즈 1편에서 알하고 다스 베이더가 알이 나타난 모니터를 보는 장면이 레벨3 컷신에서 나왔기 때문에 이것도 일부 따른다고 볼 수 있다.[4] 이후 이 부분은 'Egg Defender'로 따로 분류되고, 기존 방식의 스테이지가 새로 업데이트 됨.[5] 별 1개는 코인 1개, 별 2개는 코인 3개, 별 3개는 코인 6개를 제공한다.[6]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조각들은 대부분 무시해도 된다. 될 수 있으면 큰 구조물들을 노려서 파괴하면 된다.[7] 다만 버블은 풍선 발동으로 사방으로 퍼뜨릴 수 있고 스텔라는 비누방울로 떠오르게 할 수 있다. 블루즈는 답이 없다.[8] 설정오류가 하나 있는 게, 이 물약에 닿은 돼지들은 블루스처럼 3마리로 분열한다. 여기까지는 이상할 게 없지만, 사실 블루스의 능력은 3마리로 분열을 하는 게 아니라 삼 형제가 뭉쳐져 있던 게 흩어지는 것이다. 즉, 블루스에게는 분열 능력이 없는 것이 되고, 그럼 돼지들은 도대체 누구에게서 분열 능력을 추출했단 말인가?라는 의문이 생긴다.[9] 허나. 앵그리버드 트릴로지에선 킹피그가 밤에게 응징당해버리고 만다(...).[10] 할이 처음 나오는 스테이지인 6-5는 대놓고 할 사용법 익히는 스테이지다.[11] 하면서 지형들을 잘 보면 "어라? 이거 어디서 많이 봤는데?"라는 말이 충분히 나오게 된다. 당장 9-1스테이지와 1-1스테이지가 미묘하게 닮았다.[12] 클리어 이후 앵그리버드 친구들이 갇힌 철장에 킹 피그가 있다.[13] 페이스북을 통해 열리는 3개의 보너스 스테이지도 포함된다.[14] 실제로 보면 18-1 이런게 아니라 물 모양 그림-1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일반 에피소드로 인정된다.[15] 마틸다로만 진행하는 35 (20-5)스테이지는 그야말로 알까기 컨트롤의 진수를 보여줘야 한다.[16] 알 지키기 챕터는 보너스 챕터로, 깃털-1 등으로 표시된다. 그런데 Short Fuse가 챕터 26~28인 걸 고려하면 알 지키기 챕터를 25챕터로 취급하는 것 같다.[17] 기본적으로 시간 제한은 없지만 돼지들이 알을 훔쳐가면 클리어에 실패한다.[18] 초기에는 레이저 척과 달리 날리는 위치가 돼지로 고정되었으나 너무 어려운 탓에 후에 수정되어 스페이스의 레이저 척의 능력을 완전히 카피했다.[19] 예를 들어 26-15같은 경우엔 밤으로 분홍색 물약을 날려 파란색 물약2개를 쳐낸 다음 그 너머에 있는 돼지 네마리을 맞추면 파란색 물약의 효과로 최대 36마리(!!!)로 증식을 하게 되는데 여기에 분홍색 물약이 들어가면 렉과 함께 맵 전체를 가득채운 핑크빛 돼지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20] 특히 2주년 챕터 8스테이지의 경우 처음에는 이걸 어떻게 깨는가 감도 잡기 힘들 정도로 어렵고 별 3개는 더 어렵다.[21] Mighty Hoax 다음에 Flock Favorites가 온다든지 또 Danger Above 다음에 Short Fuse가 온다든지 등[22] 앵그리버드 오리지널 및 시즌 버전에서는 날아가는 새를 눌렀을 경우 특유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다. 다만 멀리 있어서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나오지 않는다.[23] 몇몇 버전들 기준 순서가 조금 다를 수 있다.[24] 세 번째 챕터가 없기 때문.[25] 스테이지 시작 - 새총 당기기 - 새 발사 - 블록 파괴 혹은 돼지 척살을 사운드 테스트로 재현하는 것.[26] 잘 보면 레드가 펄쩍펄쩍 뛰면서 춤을 추고 있다.[27] 운이 좋다면 TNT가 폭발하며 날려버리는 잔해를 이용하거나 버드퀘이크 강화 아이템을 사용해 척 없이도 얻을 수도 있다.[28] 보너스 페이스북 챕터도 포함.[29] 그래서 이 황금알 스테이지의 벽돌 모양도 아예 Rio다.[30] 파란 물약이 모두 유리 아래의 돼지들에게 떨어질 경우 이론적으로 3,690,000((3×3×3×3×3×3+9)×5000점) 이상 낼 수 있으며, 팬사이트에서 공식적인 최고 기록은 2,970,820점이다.[31] 황금알 2페이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홈화면으로 빠져나갔다가 최근 앱을 통해 다시 접속하면 33번 황금알이 노출된다. 물론, 이탈하면 다시 사라져있고 들어가서 클리어까지 한 경우 그 자리에 별만 떠 있다. 다만, 이 방법이 안먹힌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32] 또는 골드 리그 그림[33] 또는 7이라고 적힌것[34] 플레이하는 스테이지가 한 가지 구조물로만 이루어진 경우 유리는 나무로, 나무는 돌로, 돌은 유리로 바뀌며, 두 가지 구조물로 이루어진 경우 두 가지가 서로 바뀌고, 유리, 나무, 돌이 모두 사용된 경우 스테이지에서 구성 비율이 큰 두 가지가 서로 바뀐다. 단, 블록의 재질이 바뀌어도 추락에 대한 내구력은 원래 블록의 내구력을 따른다.[35] 원래 스테이지에 주어지는 새의 수 × 10초[36] 이건 정 반대.[37] 다만, 이 도전과제도 iOS에서만 지원되고 안드로이드에서는 도전과제가 따로 추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말로 얻는 의미가 없다.[38] 업데이트 이전에는 미화로 지불했었지만 언젠가 업데이트로 코인 시스템이 추가되어서 코인으로 지불할 수 있게 되었다. 현질 없이 살 수 있게 되었지만 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39] 원래는 2012년 8월에 강화 아이템이 출시 후에는 자정(밤 12시)에 랜덤으로 하나씩 추가되었으나, 언젠간 코인이 생기면서 더이상 랜덤으로 추가되지 않았다. 그대신 코인 무료로 100개나 주지, 로비오 주제에.[40] 맨 앞에 있는 회색 새는 밤의 초창기 디자인이다.[41] 2022년 유료버전으로 판매된 이후에도 이용약관 동의하기 전에 나오는 사진이기도 하다.[42] 고화질+타이틀 없는 사진은 여기서 참고.[43] 최근에는 로비오 사정이 더욱 어려워서 광고를 자주 트는 모양.[44] 앵그리버드 시즌이나 리오, 스페이스, 스타워즈 1, 2도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