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30 13:22:16

암피트리테

네레우스도리스의 자식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네리테스
네레이데스
암피트리테
노호함
갈라테이아
우유빛
테티스
처리자
프사마테
해변 모래
네소
아가우에
고귀함
에우도라 갈레네
차분함
글라우케 퀴모토에
스페이오 토에 할리아 도리스1 에라토2
에우니케 멜리테 에울리메네 사오 도토
페루사 뒤나메네 네사이아 악타이아 프로토메데이아
파시테아3 파노페 힙포토에 힙포노에 퀴마톨레게
퀴모도케 퀴모 에이오네 할리메데 글라우코노메
폰토포레이아 레이아고레 에우아고레 라오메데이아 폴뤼노에
아우토노에4 뤼시아낫사 에우아르네 프로토 페니페
에우크란테 에우폼페 테미스토5 프로노에 네르페르데스
1. 어머니인 도리스와 동명이인
2. 무사이의 일원인 에라토와 동명이인
3. 휘프노스의 아내 파시테아와 동명이인
4. 카드모스하르모니아의 딸 아우토노에와 동명이인
5. 아타마스의 세 번째 아내 테미스토와 동명이인
}}}}}}}}}
<colcolor=#C6E8FF><colbgcolor=#002266>
바다의 여신
암피트리테
Ἀμφιτρίτη | Amphitrite
파일:Amphitrite_Goddess of the Sea.jpg
이름 표기
그리스어 Ἀμφιτρίτη
라틴어 SALACIA
상징
관장 바다, 폭풍, 지진
상징물 돌고래, 물개, 물고기, 히포캄푸스, 삼지창
가족
부모 아버지: 네레우스 어머니: 도리스
형제자매 네레이데스 (49명의 자매들)
테티스
갈라테이아
프사마테
아가우에
네소 등등
네리테스 (남동생)
배우자 포세이돈
자식 슬하 1남 3녀
트리톤
로데
벤테시퀴메
키모폴레이아

1. 개요

그리스 로마 신화바다여신 또는 님프. 어원은 '노호하다, 아우성치다'.

포세이돈의 아내이자 바다의 여왕[1]이다. 네레우스도리스의 딸인 50~100명의 네레이데스(바다의 신들) 중 하나[2]로, 신통기에서 4녀로 언급된다. 남편 포세이돈이 바다의 거침없는 힘과 강력함을 상징한다면 본인은 바다의 아름다움을 상징한다.

로마 신화의 살라키아(Salacia)와 동일시되었으나 로마 신화에서는 존재감이 작다. 마니푸리 신화의 물과 수중생물의 여신인 이라이 레미아(Irai Leima)와 동일시되었다.

2. 상세

암피트리테가 자매들과 즐겁게 놀고 있던 중, 포세이돈은 그 중에서 유독 아름다운 그녀를 보고 첫눈에 반해 청혼했다. 하지만 암피트리테는 포세이돈의 거친 성격이 싫어서 바닷속으로 숨었다. 다른 설에는 포세이돈의 유명한 두 아내인 가이아데메테르 때문에 더 피해다녔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가이아의 딸인 카리브디스도 꽤나 과격하고 아버지 다음가는 바다의 여신 및 적장녀라서 숨막힐 것 같아서 더 피해다녔다고 한다.[3] 포세이돈은 온 세계를 다 찾아다녔지만 그녀를 발견할 수가 없었는데, 이유인즉 암피트리테가 숨은 곳은 다름 아닌 외할아버지인 바다의 신 오케아노스와 가까운 곳이었기 때문.[4]

그런데 돌고래가 포세이돈에게 그녀가 있는 위치를 말해주었고, 포세이돈은 그 자리에서 덮쳐 그녀와 바로 결혼한다. 다른 설로는 돌고래가 암피트리테를 찾아가 포세이돈의 구애를 받아달라고 설득한 끝에 암피트리테가 결국 포세이돈의 아내가 되었다는 전승도 있다. 어쨌든 돌고래는 포세이돈과 암피트리테를 이어준 공적으로 하늘의 별자리가 되었다.

사실 암피트리테는 모든 바다의 지배권을 지닌 여신이었다고 한다. 그런 그녀를 사로잡음으로써 포세이돈이 바다의 신으로서 자리 매김했다고 한다.[5] 그 둘의 결혼식에는 물고기와 문어, 오징어, 게, 바닷가재, 물범 등 모든 바다 동물들과 괴물들이 와서 축하해 주었다고 한다.

그러나 포세이돈도 제우스 못지않게 지독하고 파렴치한 바람둥이에 연쇄강간범이었다. 바로 올림포스 산에서 살고 있는 동서인 헤라제우스불륜 상대 및 그 자식들을 집요하게 괴롭혔고, 하데스의 아내인 페르세포네 역시 하데스가 결혼 이전에 한번 사귀었던 님프 멘테를 밟아죽일 만큼 둘 다 한 성깔하고 내연녀에 대한 복수심이 강했던 반면, 암피트리테는 불륜 상대와 그 자식들에 대한 보복은 하지 않은 대신 혼자서 분노하며 바다를 뒤집어 놓는 것으로 화풀이를 했다고 한다. 덕분에 바다에서는 내내 암피트리테의 분노와 성난 소리가 끊일 날이 없었다고 한다. 상술했듯이 암피트리테라는 이름 자체가 '노호하다'라는 말을 어원으로 하며, 암피트리테는 거친 바다의 위험함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6]

자식으로는 트리톤, 로데, 벤테시퀴메가 있다.[7] 로데는 '로도스'라고도 하며 헬리오스와 결혼해 7명의 자식을 낳았다는 설이라도 있는 반면, 벤테시퀴메(바다의 물결)는 이복동생 에우몰포스[8]를 돌봤다는 전승이 거의 유일하다시피 하다. 이렇듯 비중이 적다 보니 로데와 벤테시퀴메는 대부분의 그리스 신화 작품에서는 언급조차 잘 안 되는데, 학산문화사의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트리톤을 소개하는 일화에서 비교적 비중 있게 등장한다.

3. 대중매체에서

3.1. 만화

3.1.1.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신들의 계보에서 이름만 알려지고 얼굴은 아예 안 나온다.

3.1.2. 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

파일:홍은영의 그로신.암피트리테.jpg
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
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흑발녹안 미녀로 나온다. 첫 등장은 1권의 포세이돈을 소개하는 챕터로 낙소스 섬의 바닷가에서 자매들인 네레이드와 같이 춤을 추다가 포세이돈의 눈에 띄어 갑자기 납치당하는 수모를 겪는다. 자신을 어께에 둘러맨 포세이돈이 청혼하자 "이건 결혼하자는 게 아니라 납치하는 거잖아요."라고 팩트폭력을 날리고, 어쨌든 함께 가자는 포세이돈에게 "쫓아오지 말아요! 당신은 꼴도 보기 싫으니까 난 세상 끝까지 도망갈 거예요."라고 일갈하며 바닷속으로 도망쳤다.

이 막무가내의 납치혼에 자매들도 어이없었는지 그 중 하나가 '나라도 도망가겠다, 이 불한당아.'라고 속으로 포세이돈을 깠다. 아틀라스가 하늘을 떠받치는 세상 끝까지 도망쳐서 숨지만 돌고래의 설득에 넘어가 포세이돈의 청혼을 받아준다. 위에서 말한 덮쳤다는 설과 구혼을 받아들였다는 설을 적당히 절충한 듯. 이후는 아폴론 에피소드에서 다른 여신들과 같이 아폴론을 낳지 못하고 고통받는 레토를 동정했고, 에일레이튀이아에게 황금 목걸이를 줘서 데려오자고 제안했다. 2권에서는 자매인 테티스갈라테아가 소개될 때 잠깐 재등장했다.

3.2. 애니메이션

3.2.1. 올림포스 가디언

최종화 별자리편에선 인어 미소녀로 등장. 포세이돈이 첫눈에 반해 보자마자 청혼을 하지만 당연히 암피트리테는 기겁을 하며 도망친다. 이후 포세이돈이 부하인 돌고래의 조언을 듣고 차근차근 그녀에게 작업(?)을 걸어서 결국 결혼에 성공한다.

3.2.2. 기간테스 대역습

파일:이거핵예.jpg
이미 포세이돈과 결혼하고 트리톤의 어머니로 등장하며 모습도 아름다운 여신으로 등장한다.

3.3. 웹툰

3.3.1. 로어 올림푸스

3.3.2. 아테나 컴플렉스

파일:아테나 컴플렉스.암피트리테.jpg
  • 포세이돈의 아내로 언급만 되었다가 2부 42화에 직접 등장한다.

3.4. 게임

3.4.1. 라스트오리진

파일:3P_Amphitrite_0_O.png 파일:3P_Salacia_0_O.png
엠피트리테 살라시아


[1] 단순한 왕비가 아니라 바다의 지배권을 가진 여왕이며, 포세이돈과 공동 통치자이다.[2] 또는 오케아노스테튀스의 딸인 오케아니데스(대양의 신들) 중 하나로 보기도 한다.[3] 막장 족보를 견딜 수 없어서 피해다녔다고 해도 어울린다. 가이아에 이어 데메테르까지 모자라 자신이 바다를 재패한다고 쳐도 막강한 카리브디스까지 그걸 순순히 납득하긴 어려웠을 것이다.[4] 또는 포세이돈이 암피트리테를 찾기 위해 온갖 바다생물들을 풀어놓고 수배하러 다녀 바다에 더 이상 숨을 곳이 없자 결국 아틀라스를 찾아가 그에게 부탁하여 몸을 숨겼다는 설도 있다.[5] 본래 포세이돈이 대지/말의 신이었음을 생각하면 아주 틀린 말은 아닌 듯하다. 그래도 카리브디스가 있고 그 가이아를 이미 아내로 둔 이상 어느 정도의 영향력만 제공해 준 것 같다.[6] 이 탓에 '공사판 그리스 로마 신화'로 유명한 한 유저의 해석에서 포세이돈에게 파도가 잠잠해지게 해 달라고 뱃사람들이 제사를 지내는 것이 "야 이놈의 남편네야! 마누라 속 좀 그만 썩여라!!"라고 화내는 것처럼 들려 기분이 복잡하다는 신박한 해석을 내놓았다.[7] 로데는 포세이돈과 아프로디테의 딸이라는 전승도 존재하며, 경우에 따라선 브리아레오스의 아내 키모폴레이아도 암피트리테의 딸로 볼 때도 있다.[8] 포세이돈이 북풍의 신 보레아스의 딸 키오네를 강간하여 낳은 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