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4 23:43:47

알파타우리 AT04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10500><tablebgcolor=#E10500> 파일:포뮬러 1 로고 (화이트).svg2023 포뮬러 1
[[틀:2023 포뮬러 원 팀 차량|{{{#fff {{{+1
참가 팀 차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C33C3,#1C33C3><tablebgcolor=#fff,#1c1d1f>
파일:RB 심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color: #000,#fff; word-break: keep-all; min-width: 33.3%"
{{{#!folding [ 토로 로쏘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rowcolor=#fff,#fff> 시즌 차량 엔진 제조사 엔진
2000년대
<colbgcolor=#012055> 2006 STR1 코스워스 TJ2005 (3.0 V10)
2007 STR2 스쿠데리아 페라리 056 2006 (2.4 V8)
2008 STR3 056 2007
2009 STR4 056 2008
2010년대
2010 STR5 스쿠데리아 페라리 056 2009 (2.4 V8)
2011 STR6 056 2010
2012 STR7 056 2011
2013 STR8 056 2012
2014 STR9 르노 F1 팀 르노 에너지 F1-2014 (1.6 V6 T)
2015 STR10 르노 에너지 F1-2015
2016 STR11 스쿠데리아 페라리 060
2017 STR12 르노 F1 팀 토로 로쏘
2018 STR13 혼다 RA618H
2019 STR14 RA619H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color: #000,#fff; word-break: keep-all; min-width: 33.3%"
{{{#!folding [ 알파타우리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rowcolor=#fff,#fff> 시즌 차량 엔진 제조사 엔진
2020 AT01 혼다 RA620H (1.6 V6 T)
2021 AT02 RA621H
2022 AT03 레드불 파워트레인스 RBPTH001
2023 AT04 혼다 RBPTH00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color: #000,#fff; word-break: keep-all; min-width: 33.3%"
{{{#!folding [ RB 포뮬러 원 팀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rowcolor=#fff,#fff> 시즌 차량 엔진 제조사 엔진
<colbgcolor=#fff> 2024 VCARB 01 레드불 파워트레인스 혼다 RBPTH002 (1.6 V6 T)
2025 VCARB 02 }}}}}}}}}}}}

파일:알파타우리 AT04_1.jpg파일:알파타우리 AT04_2.jpg파일:알파타우리 AT04_3.jpg파일:알파타우리 AT04_4.jpg

1. 개요2. 시즌 행보
2.1. 전반기: 독자노선의 한계와 성능 부진2.2. 후반기: 전략 전환과 드라이버 교체
3. 기타4. 제원5. 성적

1. 개요

알파타우리 AT04는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2023 시즌 포뮬러 1에 참가하는 차량이다. 스폰서십에서 큰 변화가 있었는데, 직전 시즌까지 알파 로메오의 타이틀 스폰서였던 올렌과 계약함으로써 팀의 새로운 스폰서로 맞이하였다. 드라이버 라인업에서도 변화가 있었는데, 토로 로쏘 시절부터 거의 6시즌 가까이 뛴 피에르 가슬리알핀으로 보내주었고, 그를 대신하여 2020-21 시즌 포뮬러 E 월드 챔피언이자, 지난 해 이탈리아 GP에서 윌리엄스 소속으로 깜짝 데뷔전 포인트 피니쉬를 기록한 닉 더프리스와 정규 시트 계약을 맺었다. 츠노다 유키는 올해도 잔류함으로써 3번째 시즌을 함께 한다.

2. 시즌 행보


2.1. 전반기: 독자노선의 한계와 성능 부진

2023 시즌 초반,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는 팀의 정체성과 기술적 방향을 분명히 하며 독자적인 개발을 이어갔다. 레드불의 주니어 팀이지만, AT04는 레드불의 섀시 기술과 에어로 디자인을 그대로 도입하지 않고, 자체적인 설계와 셋업에 집중했다. 그러나 이는 초반부터 레이스 페이스에 큰 한계를 드러냈다.

츠노다 유키는 비교적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몇 차례 11위를 기록했고,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에서는 팀에 귀중한 첫 2점을 안겼다. 그로 인해 잠시 윌리엄스를 앞서는 듯한 분위기도 연출되었다. 그러나 윌리엄스가 초고속 서킷에서 강점을 살린 셋업으로 연속적인 포인트 획득에 성공하면서 알파타우리는 다시 하위권으로 쳐졌다.[1]

특히, 첫 풀타임 시즌을 시작한 닉 더프리스[2]는 테스트 및 레이스에서 지속적으로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고, 팀의 포인트 획득에 전혀 기여하지 못했다.[3] 업데이트는 연달아 적용되었지만 성능 향상은 미미했고, 경쟁 팀들의 발전 속도와 비교해 점점 더 뒤처지는 모습을 보였다.

2.2. 후반기: 전략 전환과 드라이버 교체

시즌 중반을 지나며 알파타우리 내부에서는 위기감이 고조되었다. 더 이상 독자적인 개발 노선이 효과를 발휘하지 않는다는 판단 아래, 팀은 레드불과 보다 밀접한 기술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전략적 방향 전환을 발표했다. 이는 섀시, 서스펜션, 공기역학 등의 업데이트에 있어 레드불과 유사한 형태를 도입하겠다는 결정이었다.

이와 함께 성적 부진이 지속된 닉 더프리스를 전격 방출하고, 레드불의 서드 드라이버인 다니엘 리카도를 레드불에서 임대 형식으로 영입했다는 소식은 F1 팬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리카도는 이미 베테랑 드라이버로서 F1 무대에서 강한 인상을 남긴 인물로, 알파타우리에 새로운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자원으로 평가되었다.

리카도는 복귀 직후 헝가리 GP에서 안정적인 주행을 선보였지만, 네덜란드 GP 프리 프랙티스 2 세션에서 손 부상을 입으며 몇 경기를 결장하게 되었다. 이 공백을 메운 인물이 바로 뉴질랜드 출신의 레드불 리저브 드라이버 리암 로슨이었다.

로슨은 갑작스러운 데뷔에도 불구하고 인상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첫 레이스였던 네덜란드 GP에서는 13위로 완주하며 팀 동료 츠노다를 앞섰고, 이탈리아 GP에서는 11위로 포인트권에 근접했다. 그리고 싱가포르 GP에서는 9위를 기록하며 자신의 첫 포인트를 획득, 이는 알파타우리의 시즌 최고 성적이기도 했다.

특히 싱가포르 예선에서는 챔피언 막스 베르스타펜을 Q2에서 탈락시키는 이변을 연출하며 존재감을 확실히 드러냈다.[4] 이후 일본 GP와 카타르 GP에서도 안정적인 주행을 이어갔고, 총 5경기 출전 중 1회 포인트 획득, 2회 11위 완주라는 성과를 남겼다.

로슨은 시즌 종료 후에도 많은 팬들과 전문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2024 시즌에는 리저브 드라이버로 남게 되었고, 정규 시트는 리카도와 츠노다가 유지하게 되었다.

후반기에도 AT04의 페이스 자체는 개선되지 않았지만, 리카도의 합류는 팀에 새로운 시선과 데이터를 제공했고, 이는 향후 차량 개발 및 팀 구성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시즌 막바지로 갈수록 알파타우리는 “리셋” 단계에 접어들었고, 2024 시즌을 위한 준비에 본격적으로 돌입하게 된다.

3. 기타

파일:at04_5673.png
이탈리아 GP에서 알파타우리 팀의 역사를 담은 "Whatever it Takes - the Race before the Races" 영화 홍보 문구를 부착하였다.

파일:AlphaTauri-Livery-Vegas-GP.jpg
라스 베이거스 GP에서 스페셜 리버리를 공개했는데, 패션 브랜드 다운 얼룩말 포인트가 특징이다.

4. 제원

Scuderia AlphaTauri AT04
차급 포뮬러 1
컨스트럭터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이전 모델 알파타우리 AT03
후속 모델 VCARB 01
기술 제원
섀시 카본 파이버 모노코크
서스펜션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 레드불 테크놀로지 카본 컴포짓 위시본
엔진 혼다 RBPTH001 1.6L V6 직분사 터보차져
변속기 레드불 테크놀로지 시퀀셜 8단 변속기
브레이크 브렘보 6 피스톤 리튬 캘리퍼
타이어 피렐리 P 제로(슬릭) / 신투라토(트레드)
BBS
<colcolor=white> 경기 기록
<colbgcolor=#23395d> 운용 팀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드라이버 2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츠노다 유키
2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닉 더프리스[5]
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다니엘 리카도[6]
4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뉴질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뉴질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리암 로슨[7]
데뷔 2023 바레인 그랑프리
경기 수 22회
우승 -회
포디움 -회
폴 포지션 -회
패스티스트 랩 1회
컨스트럭터 순위 8위
드라이버 종합 우승 -회

5. 성적

번호 드라이버 점수 총점
<colbgcolor=#fff><colcolor=#23395d> 2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츠노다 유키
17 25
2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닉 더프리스
0
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다니엘 리카도
6
4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뉴질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뉴질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리암 로슨
2



[1] 사실 셋업보단 윌리엄스 FW45 자체가 직선에서 강점을 보이는 차였다.[2] 작년에 윌리엄스 FW44를 타고 몬자에서 포인트 피니시를 했으며 메르세데스의 포뮬러 E 드라이버이자 리저브 드라이버였다.[3] 2023시즌 유일한 노 포인트 피니시 드라이버이다. 동기 로건 사전트나 땜빵좌 로슨도 포인트는 땄다.[4] 그리드에서 최하위의 성능을 가진 차로 전승 기록을 쓰던 레드불의 레이스 카 두 대를 모두 Q2 탈락을 시킨 것이 굉장한 충격이었다.[5] 2023시즌 개막전 바레인 GP부터 영국 그랑프리까지[6] 헝가리 그랑프리부터 폐막전 아부다비 GP까지[7] 리카도의 손목 부상으로 인한 네덜란드 그랑프리부터 카타르 그랑프리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