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EMU/DMU/PP | |||||
| 🚄 고속열차 | 🚅 일반열차 | |||||
| | Z-TER | |||||
| TGV Atlantique | BART C1 Series | |||||
| TGV Réseau | Coradia | |||||
| TGV POS | Coradia 1000 | |||||
| TGV Duplex | Coradia Lint | |||||
| TGV TMST | Coradia Continental 1/2 | |||||
| TGV PBA/PBKA | Coradia Duplex | |||||
| Renfe S-100/101 | Coradia Nordic | |||||
| Avelia Pendolino | Coradia Meridian | |||||
| TGV-K | Coradia Polyvalent | |||||
| Acela | ||||||
| Avelia AGV | ||||||
| Avelia Liberty | ||||||
| Avelia Horizon | ||||||
| Avelia Duplex | ||||||
| Avelia Stream | ||||||
| 🚄 시험용 고속열차 | ||||||
| | Project V150 | |||||
| TGV Iris 320 | | |||||
| 🚃 기관차 | ||||||
| GA DE 900 | AM 841 | Nez Cassé Series 코레일 8000호대 전기기관차 | ||||
| PL42AC | HHP-8 | Prima | ||||
| 🚋 광역전철/트램 | ||||||
| R-68 | R-160A | MPM-10 | ||||
| Metropolis Series | 워싱턴 전철 6000호대 | |||||
| 1995년식 런던 지하철 | 1996년식 런던 지하철 | |||||
| Citadis Series | ||||||
| 🚞 객차 | ||||||
| surfliner | Comet Series | |||||
| Viewliner I | ||||||
| 굵은 글자는 생산 중인 차량, 얇은 글자는 현용 차량, 전량 퇴역 차량은 | }}}}}}}}} | |||||
1. 개요
알스톰에서 제작한 동력분산식 전동차/디젤동차 시리즈로, 세계 최초(?)로 수소동차까지 생긴 계열이기도 하다. 그리고 지멘스 데시로 , CAF 시비티, 슈타들러 플러트와 함께 저상열차를 떠올린다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계열이기도 하다. 또한 이 열차들을 한랭지 등의 기후에 대응한 운행을 위하여 특별하계 설계된 차량도 있다.[1]2. 종류
2.1. 코라디아 듀플렉스
2.1.1. SJ X40
2004년에서 2008년 사이에 제작된 스웨덴 수출용 저상 2층형 전동차로, 스웨덴 SJ에서 43개 편성을 보급받아 운행중에 있다. 후술할 프랑스 국철 Z 26500호대와 Z 24500호대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스웨덴 고속철도 서비스에서 예비차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이 열차는 3량 및 2량 편성을 가지고 있으며, 최고속도는 200km/h이다. 겉보기에는 통근열차이나, 자세히 보면 무시무시한 친구인 셈. 보통 운행할 때에는 연결기에 마개를 부착하고 달리나, 마개를 부착하지 않는 경우도 좀 있다. 그리고 이 열차도 특실 및 일반실이 있으며, 에어컨과 라디오, 각 좌석에 부착된 전기 콘센트, 와이파이 공유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승객들은 이 열차에서 무선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이 열차는 스톡홀름 - 린셰핑, 베스테로스/외레브로, 웁살라, 에스킬스투나 등지에서 운행중이며, 강철 재질로 제작된 열차이다. 또한 인테리어 개조를 거치면서, 자판기 철거, 커피메이커 철거 등의 아쉬운 부분도 있다. 스웨덴 최초의 전차량 2층형 전동차다.
2.1.2. 프랑스 국철 Z 26500, Z 24500호대, 룩셈부르크 국철 2200형
당시 SNCF에서는 기존에 운행하던 Z 23500호대를 대체할 열차를 고민하고 있었고, 160km/h에 도달할 수 있는 성능과, 북동쪽 국경의 25킬로볼트 교류전압에 대응하기 위한 성능, 그리고 장애인과 비장애인[2]들을 모두 위한 열차를 필요로 하고 있었기에, 그리고 Z 23500호대의 노후화로 인하여, 대체 차량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결국 이 열차가 탄생하게 된다. 드디어 TER의 2층열차의 기반을 정립한 Z 23500은 물러나고, 후임인 이 열차에게 물려주었다. 이 열차는 각 량수마다 245, 265로 따로 나뉘는데, 앞 3자리가 245인 경우, 2~3량, 265인 경우, 4~5량이다. 또한 출입문 옆에 민트색 띠가 세로로 둘러져 있다.[3] 선술한 SJ X40의 경우, Z 24500호대의 한랭지 사양이라고 보면 된다. 하지만 X40은 200km/h, 이놈들은 160km/h이며, 추진제어장치는 알스톰 VVVF-IGBT다. 그리고 프랑스 현지에선 TER 2N이라고도 알려져있다. 그리고 룩셈부르크 국철(CFL) 측에서 이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SNCF측에 22대를 주문하여 받아오니, 이 열차가 바로 룩셈부르크 국철 2200형인 것이다. 프랑스 소속과의 구별법은, 우선 테두리를 잘 보면 된다. 테두리를 보았을 때, 파란색이면 SNCF, 붉은색이면 CFL 소속이다.
CFL 차량은 최근에 도색이 변경되었다.
2.2. 핀란드 국철 SM4형
2.3. 코라디아 1000
영국철도 175형과 영국철도 180형 문서 참조.2.4. 코라디아 주니퍼 (영국철도 458/0, 458/5, 458/4, 460, 334형)
2.5. 코라디아 린트
2.6. 코라디아 메리디안
2.7. 코라디아 컨티넨탈
| 초기형 | 후기형 |
2.8. Régiolis
2.8.1. 코라디아 폴리발렌트
SNCF에서 TER의 구형 차량들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한 열차. 프랑스에서는 TER 및 스위스 국경 지역의 Léman Express에서 운행 중이고, 알제리와 세네갈에도 수출되었다.
2.8.2. 코라디아 라이너
SNCF에서 앵테르시테 등급으로 운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