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EMU/DMU/PP | |||||
🚄 고속열차 | 🚅 일반열차 | |||||
| Z-TER | |||||
TGV Atlantique | BART C1 Series | |||||
TGV Réseau | Coradia | |||||
TGV POS | Coradia 1000 | |||||
TGV Duplex | Coradia Lint | |||||
TGV TMST | Coradia Continental 1/2 | |||||
TGV PBA/PBKA | Coradia Duplex | |||||
Renfe S-100/101 | Coradia Nordic | |||||
Avelia Pendolino | Coradia Meridian | |||||
TGV-K | Coradia Polyvalent | |||||
Acela | ||||||
Avelia AGV | ||||||
Avelia Liberty | ||||||
Avelia Horizon | ||||||
Avelia Duplex | ||||||
Avelia Stream | ||||||
🚄 시험용 고속열차 | ||||||
| Project V150 | |||||
TGV Iris 320 | | |||||
🚃 기관차 | ||||||
GA DE 900 | AM 841 | Nez Cassé Series 코레일 8000호대 전기기관차 | ||||
PL42AC | HHP-8 | Prima | ||||
🚋 광역전철/트램 | ||||||
R-68 | R-160A | MPM-10 | ||||
Metropolis Series | 워싱턴 전철 6000호대 | |||||
1995년식 런던 지하철 | 1996년식 런던 지하철 | |||||
Citadis Series | ||||||
🚞 객차 | ||||||
surfliner | Comet Series | |||||
Viewliner I | ||||||
굵은 글자는 생산 중인 차량, 얇은 글자는 현용 차량, 전량 퇴역 차량은 | }}}}}}}}} |
TGV iNOUi | |
<colbgcolor=#fff,#191919> 24000호대 28000호대 | 38000호대 Dasye | P-Duplex | 2N2 384000호대 | |
시험용 열차 도입 예정 퇴역 차량 선로 검측 차량 |
| |
Lacroix 도색[1] | Carmillon 신도색[2] |
1. 개요
TGV Réseau프랑스 SNCF TGV의 고속철도 차량. 1992년에서 1996년까지 알스톰에서 제조되어 1993년부터 운행을 개시했다.
TGV 아틀랑티크(TGV-Atlantique)의 개량형으로 2세대에서 3세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차량이다. 그래서 2.5세대 차량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레조(Réseau)는 프랑스어로 네트워크를 뜻한다. 아틀랑티크와는 달리 2량의 동력차와 8량의 객차가 한 편성을 이루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견인전동기도 아틀랑티크의 STS 44-39-6과는 다른 SM-47[3] 인데 기본적인 성능은 거의 같으나 내열성이 더 높아 고속주행에 더 적합하고 35‰ 급구배 대응이 가능하다.[4]
릴 방향인 LGV 북선(LGV Nord)을 비롯해 LGV 전 노선에서 운행하고 있으며 파리와 밀라노를 연결하는 TGV 역시 이 열차이다. 설계최고속도는 아틀랑티크보다 빠른 320 km/h이나 도입당시 영업최고속도는 300 km/h였으며 2003년에서야 영업최고속도가 320 km/h로 올라갔다.
교류 25kV 50Hz와 직류 1,500V에만 대응하는 프랑스 국내용 28000호대와, 교류 25kV 50Hz와 직류 1,500V에 더해 직류 3,000V에도 대응하는 국제열차용 38000호대가 있다.
2. 수출
2.1. TGV PBA
2.2. TGV-K
다만 KTX는 차체만 레조에 가깝지 기술적 사양은 사실상 TGV 듀플렉스와 더 유사하다.
3. 등장 매체
- 웹툰 갓 오브 하이스쿨에서 잠깐 등장한다. 열차의 외형이 레조에 KTX-1의 도색과 전면부 형상을 합친 형태로 표현되었다. 오딘이 자신의 애마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프랑스 니스에서 철도선로 위를 폭주하다가 TGV 레조 열차와 정면 충돌하지만 오히려 열차가 탈선해버리고 만다.
4. 기타
[1] 레조는 아틀랑티크와 함께 고속열차 치고 연식이 꽤 된 차량이기 때문에 2002년 부터 기계적인 보수와 이중전압 차량으로 개조를 하면서 객실의 칙칙한 인테리어와 외관 도색 등을 세련되게 바꾸는 TGV Est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는데 3곳의 프로젝트 참여 팀 중 프랑스 패션 디자이너 크리스티앙 라크루아(Christian Lacroix)와 협력하는 MBD Design(디자인 회사)이 채택되어 차량 인테리어 개조와 도색등에 참여해 비공식적으로 이렇게 불린다.[2] 현재는 대부분의 편성에 이누위(InOui) 로고가 랩핑되어 있다.[3] KTX-1의 견인 전동기가 이것의 개량형인 SM-47K다.[4] 이런 견인 전동기 성능 때문에 TGV 레조의 경우 무게와 출력이 같은 AVE S100보다 영업최고속도가 20km/h더 높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