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25 13:12:02

외레브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ECC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373a3c,#ddd
주 (län)
파일:고틀란드 주장.svg
고틀란드
파일:노르보텐 주장.svg
노르보텐
파일:달라르나 주장.svg
달라르나
파일:베름란드 주장.svg
베름란드
파일:베스테르노를란드 주장.svg
베스테르노를란드
파일:베스테르보텐 주장.svg
베스테르보텐
파일:베스트라예탈란드 주장.svg
베스트라예탈란드
파일:베스트만란드 주장.svg
베스트만란드
파일:블레킹에 주장.svg
블레킹에
파일:쇠데르만란드 주장.svg
쇠데르만란드
파일:스코네 주장.svg
스코네
파일:스톡홀름 주장.svg
스톡홀름
파일:예블레보리 주장.svg
예블레보리
파일:옌셰핑 주장.svg
옌셰핑
파일:옘틀란드 주장.svg
옘틀란드
파일:외레브로 주장.svg
외레브로
파일:외스테르예틀란드 주장.svg
외스테르예틀란드
파일:웁살라주 문장.svg
웁살라
파일:칼마르 주장.svg
칼마르
파일:크로노베리 주장.svg
크로노베리
파일:할란드 주장.svg
할란드
}}}}}}}}}}}}}}}
<colbgcolor=#006aa7><colcolor=#fecc00> 파일:스웨덴 국기.svg
‎외레브로
örebro
행정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웨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웨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외레브로 주
시간대 UTC+1/+2
인문 환경
인구 155,989명
인구밀도 2,172명/km²
면적 50.6355km²
기후 냉대 습윤 기후(Dfb)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볼거리4. 경제5. 스포츠6. 자매도시7. 출신 인물

1. 개요

스웨덴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외레브로주의 주도다. 스웨덴에서 7번째로 큰 도시로 인구는 2020년 기준 155,989명[1], 면적은 50.6355㎢이다.

2. 역사

외레브로(Örebro)라는 이름은 스웨덴어 "ör" (자갈이 많은 강가)와 "bro" (다리)에서 유래한다. 이는 도시가 위치한 스베르틀레(Svartån) 강을 가로지르는 교통 요충지로서의 기능을 반영한 지명이다. 이 강은 멜라렌 호수로 흘러들며, 지역 교역과 농업에 필수적인 수자원 기반을 형성해 왔다.

중세 시대부터 상업의 중심지였으며 13세기에 처음 언급된다. 1260년대에는 이미 상업과 정치의 중심지로 기능하기 시작했으며, 스웨덴 내륙에서 중요한 가도인 바르베리덴(bergslagsvägen)이 통과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성장하였다. 이는 베르그슬라겐 지역의 철광석 및 금속 제품이 외레브로를 통해 유통되었기 때문이다. 중세대 외레브로는 수많은 분쟁에 휘말렸다. 14세기에 요새는 성으로 확장되었고 여러 차례 포위 공격을 받았다.

외레브로는 스웨덴의 개신교 종교개혁과 구스타브 바사의 중앙집권 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외레브로는 여러 차례 의회가 개최된 도시로 유명하다. 1529년 열린 의회에서는 종교개혁의 중요한 이정표인 외레브로 국회에서 루터교가 스웨덴의 실질적 국교로 공인되었다. 이는 가톨릭교회로부터의 독립과 구스타브 바사의 종교적 정당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1810년 열린 의회에서는 프랑스인인 장 바티스트 베르나도트가 이 도시에서 스웨덴 왕세자로 선출되었다. 18세기 외레브로는 여전히 내륙 교통의 중심지였으며, 19세기 들어 철도 교통이 발달하면서 산업화가 가속화되었다. 1856년 외레브로와 스톡홀름을 연결하는 철도가 개통되며, 외레브로는 수공업과 중공업의 중심지로 도약하였다. 19세기 후반까지는 소규모 도시였으나 신발 산업의 중심지가 되며 성장했고 1896년에 외레브로 비스킷 공장이 세워졌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 신발과 비스킷 공장이 폐쇄되었다. 이는 외레브로가 "신발과 비스킷의 도시"로 알려졌던 도시 역사의 한 시대가 끝났음을 의미했다.

2025년 2월 5일 이민자들이 주로 교육받는 성인 교육센터에서 총기난사로 11명이 사망하고 5명이 중상을 입었다.#

3. 볼거리

비르예르(Birger Jarl 1210~1266)[2]가 세우고, 구스타브 1세 바사가 개축한 외레브로 성이 유명하다. 시청사 앞에 서있는 동상은 칼마르 연합덴마크 출신 국왕 에리크 13세의 폭정에 맞서 항거했던 엥엘브렉트 엥엘브렉손(Engelbrekt Engelbrektson 1390~1436)[3]이다.

4. 경제

19세기 말, 최초의 신발 공장들이 설립되었습니다. 1873년 이후 외레브로에는 365개의 다양한 신발 공장과 제조업체가 있었다. 1901년에 설립된 외레브로 제지공장은 이 도시의 중요한 고용주였지만 이 공장은 2010년 문을 닫았다. 오늘날 외레브로의 주요 산업은 무역, 물류, 산업, 교육, 그리고 공공 행정이다. 그래서 현재 외레브로에는 스웨덴 통계청, 스웨덴 교통청, 스웨덴 세무청, 스웨덴 검찰청이 위치해 있다.

5. 스포츠

스웨덴 2부 리그 수페레탄 소속 축구단 외레브로 SK의 연고지이다.

6. 자매도시

7. 출신 인물


[1] 광역권 인구는 2021년 기준 196,304명[2] 아들 발데마르(Valdemar Birgersson 1239~1302)를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시켰다. 스톡홀름 시청사에는 그의 황금 세노타프(cenotaph)가 있다.[3] 이 사람도 스톡홀름 시청사에 동상이 세워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