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0:01:28

아나스타시오스 두비카스

<colcolor=#000> 2 켐프 · 3 살라 · 4 코네 · 5 골다니가 · 6 알레시오 · 7 스트레페자 · 8 바젤리
9 가브리엘로니
C
· 10 파트리크 · 11 두비카스 · 12 볼키니 · 13 도세나 · 14 자심 · 15 펠리피 · 16 파데라
18 모레노 · 19 조르코 · 20 S. 로베르토 · 22 비고리토 · 23 페로네 · 25 [[페페 레이나|레이나
VC
]] · 26 엥겔하르트27 브라우뇌더
30 뷔테즈 · 33 다쿠냐 · 36 마치텔리 · 38 디아오
40 델레 · 41 알렉스 바예 · 77 이그나스 · 79 파스 · 80 카케레 · 90 베르디 · # 보이보다
파일:UEFA EURO ESP.png 세스크 파브레가스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아나스타시오스 두비카스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에레디비시 로고.svg
파일:FC 위트레흐트 로고.svg
파일:코파 델 레이 로고.svg
베스트팀
}}} ||
파일:Douvikas Como.png
<colbgcolor=#0F4169><colcolor=#ffffff> 코모 1907 No. 11
아나스타시오스 두비카스
Αναστάσιος Δουβίκας | Anastasios Douvikas
출생 1999년 8월 2일 ([age(1999-08-02)]세)
출생지 그리스 아테네
국적
[[그리스|]][[틀:국기|]][[틀:국기|]]
신체 186cm / 체중 79kg
포지션 스트라이커
주발 오른발
유소년 클럽 아리스테아스 아르고우스 (2008~2015)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 (2015~2017)
소속 클럽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 (2017~2020)
볼로스 FC (2020~2021)
FC 위트레흐트 (2021~2023)
RC 셀타 데 비고 (2023~2025)
코모 1907 (2025~)
국가대표 15경기 1골 (그리스 / 2021~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개인 수상
6. 여담7.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그리스 국적의 코모 1907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

2. 클럽 경력

2.1.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

파일:Douvikas Asteras Tripolis.jpg
2017년 8월 19일, 1-2로 패한 PAS 지아니나 FC와의 홈 경기에서 교체로 들어가 프로 데뷔전을 치렀다. 10월 26일, 그는 2-1로 이긴 하니아 FC와의 2017-18 그리스 컵 홈 경기에서 프로 데뷔골을 기록했다. 11월 26일, 그는 2-0으로 이긴 레바디아코스 FC와의 홈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해 팀의 3연승에 기여했다. 12월 2일, 그는 4-0으로 이긴 플라타니아스 FC와의 홈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해 팀의 기량을 유지했다.

2.2. 볼로스 FC

파일:Douvikas Volos.jpg
2020년 8월 10일, 두비카스는 볼로스 FC와 자유 계약을 맺었다. 그의 데뷔전에서, 그는 아트로미토스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선제골을 넣어 2-0 승리에 일조했다. 2020년 10월 5일, 두비카스는 2-1로 이긴 PAS 라미아 1964 원정 경기에서 2골을 넣었다. 2020년 10월 31일, 그는 1-1로 비긴 라리사 FC과의 홈 경기에서 막판에 득점을 기록했다. 2020년 11월 30일, 두비카스는 3-3으로 비긴 아폴론 스미르니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후반전 초반에 3골 차로 밀렸음에도 불구하고 한 골을 득점하며 팀의 복귀를 알렸다.

2021년 1월 17일, 두비카스는 1-1로 비긴 PAS 라미아 1964와의 홈 경기에서 멋진 발리슛으로 득점하였다. 그 다음 주, 그는 1-0으로 이긴 PAS 지아니나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득점하였다. 그는 그리스 컵에서 OFI 크레타 FCAEK 아테네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연속으로 골을 넣었고, 2-1로 이긴 OFI 크레타 FC와의 원정 경기에서도 득점을 기록했다.

2.3. FC 위트레흐트

파일:Douvikas Utrecht.jpg
2021년 4월 23일, FC 위트레흐트는 100만 유로를 넘는 이적료에 4년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FC 위트레흐트 선수로서의 첫 성명에서, 두비카스는 이적에 대한 기쁨과 팬들과의 만남에 대한 열망을 드러냈다. 2021년 8월 15일, 두비카스는 FC 위트레흐트 유니폼을 입고 첫 데뷔골을 터뜨렸고, 3-0으로 이긴 스파르타 로테르담과의 에레디비시 1차전에서 팀의 4-0 승리를 자축했다. 2021년 9월 19일, 그는 2-2로 비긴 RKC 발베이크와의 홈 경기에서 페널티킥으로 득점하였다.

1주 후, 그는 5-1로 이긴 PEC 즈볼러와의 홈 경기에서 또다시 페널티킥으로 득점하였는데, 이는 FC 위트레흐트에레디비시 2,500호골이었기 때문이다. 2022년 1월 23일, 두비카스는 3-0으로 이긴 스파르타 로테르담과의 에레디비시 원정 경기에서 FC 위트레흐트에서의 4개월 만에 골을 넣었다. 두비카스는 9월 25일에 마지막으로 골을 넣었고, 이후 리그 결승전에서 28골을 기록했는데, 산데르 판 데 스트릭의 어시스트로 선제골을 넣었다. 2022년 2월 5일, 그는 미문 마히의 2번의 어시스트를 받아 2골을 득점하였고, 헹크 페이르만의 어시스트를 기록하였고, FC 위트레흐트는 2-0으로 패한 SC 캄뷔르와의 홈 경기에서 3-2 승리를 거두었다. 그는 에레디비시 올해의 재능 선수로 뽑혔다.
파일:22-23 에레디비시 득점왕 아나스타시오스 두비카스.jpg
2022-23시즌 에레디비시 득점왕을 수상한 아나스타시오스 두비카스
32경기 19골 4어시스트 라는 대기록을 세우면서 FC 위트레흐트 입단 후, 커리어 하이를 찍었다. 이후 사비 시몬스와 22-23시즌 공동 득점왕 수상을 하게 되었다.

시즌 종료 후 여러 클럽들이 두비카스에게 관심을 보이고 있고, 그 중에서 레인저스 FC, AFC 아약스와 링크가 뜨고 있다.

이후 추가적으로 SS 라치오,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갈라타사라이 SK와 링크가 뜨고 있으나 3팀 모두 소극적으로 나오고 있어 FC 위트레흐트 잔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1]

그러나 이후 RC 셀타 데 비고가 두비카스한테 접근하였고 이후 거액의 이적료로 양팀이 이적 합의하였다.

2.4. RC 셀타 데 비고

2023년 8월 28일, RC 셀타 데 비고와 5년 계약을 체결했다.# 이적료는 €12M. 이는 위트레흐트의 방출 레코드라고 한다. 등번호는 12번을 배정받았다.

2.4.1. 2023-24 시즌

라리가 4R UD 알메리아전에서 89분 교체로 출전하면서 데뷔전을 치렀다.

6R FC 바르셀로나전에서 66분 교체로 출전하였고 76분 페널티 박스 안으로 쇄도해 들어가면서 이아고 아스파스의 스루패스를 받자마자 로날드 아라우호가 붙기 전에 반박자 빠르게 마무리하며 바르사를 상대로 데뷔골을 기록했다.

코파 델 레이에서 3경기 연속 멀티골을 터뜨리며 총 6골로 대회 득점왕에 등극했다.

하지만 리그 경기는 대부분 후반 교체로 출전하고 있다.

첫 시즌 리그 32경기 7골 1도움, 코파 델 레이 5경기 6골 2도움, 총합 37경기 13골 3도움을 기록했다.

적은 출전 시간이 아쉽지만 출전 시간 대비 빼어난 공격포인트 생산력을 보여주며 성공적인 데뷔 시즌을 보냈다.

2.4.2. 2024-25시즌

12번에서 9번으로 등번호 변경하였다. 그러나 보르하 이글레시아스와 주전경쟁에서 완전히 밀려나 교체로 간간히 출전하고 있고, 결국엔 팀을 떠날것으로 보인다.

2.5. 코모 1907

2025년 2월 4일, 2029년 6월 30일까지 코모 1907와 계약을 체결했다.# 이적료는 €13M.

3. 국가대표 경력

파일:Douvikas Greece.jpg
2021년 3월 24일, 스페인과 조지아와의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전을 앞두고 존 판트스힙 감독에 의해 그리스 성인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었다.

2021년 3월 28일, 그는 온두라스와의 친선경기에서 교체로 들어가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4. 플레이 스타일


천부적인 득점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발리 슛이나 바이시클킥 같은 원더골들의 비율도 꽤 높은편이다. 비교적 어려운 자세에서도 슈팅 임팩트를 매우 잘 맞추는 편이고 오프 더 볼 상황일 때도 좋은 위치를 순간적인 판단으로 재빠르게 선점해 골을 넣거나 어시스트를 하기도 한다.

스트라이커치고 온 더 볼이 뛰어나 개인 돌파 후 득점할 수 있는 능력까지 갖췄다. 큰 신장에 비해 매우 유연하고 신체 균형이 아주 뛰어나다. 반사 신경도 매우 뛰어나고 FC 위트레흐트 입단 후 몸을 만든 결과, 두꺼운 몸과 허벅지에서 나오는 체력과 피지컬까지 좋아져서 온 더 볼 상황에서나 볼 경합을 할 때도 몸싸움이 밀리지 않는다. 거기다가 극도로 불규칙적인 타이밍과 리듬에 특유의 턴 동작이나 페인트를 시전해 상대 수비수를 농락하는 장면도 심심찮게 나온다. 꽤나 모험적인 온더볼 플레이를 시전하는데 그게 또 상당히 잘 먹히는 편이다.

가장 유사한 선수는 루이스 수아레스이다.

5. 기록

5.1. 개인 수상

  • 수페르리가 엘라다 올해의 영플레이어: 2017-18
  • 그리스 올해의 선수: 2017-18, 2020-21
  • 수페르리가 엘라다 시즌의 팀: 2020-21
  • 볼로스 FC 올해의 선수: 2020-21
  • 에레디비시 이달의 재능: 2023년 1월
  • 에레디비시 이달의 팀: 2023년 1월, 5월
  • 에레디비시 득점왕: 2022-23
  • 그리스 최우수 해외파 선수: 2022-23
  • 코파 델 레이 득점왕: 2023-24

6. 여담

  • 현재 쓰고 있는 이름인 "아나스타시오스 두비카스"라는 이름이 상당히 길어서인가 타소스 두비카스[2]라고 불리기도 한다.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코모 1907 2024-25 시즌 스쿼드
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2 파일:독일 국기.svg DF 마르크올리버 켐프 Marc-Oliver Kempf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마르코 살라 Marco Sala
4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MF 벤 코네 Ben Kone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에도아르도 골다니가 Edoardo Goldaniga
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알레시오 이오비네 Alessio Iovine
7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가브리엘 스트레페자 Gabriel Strefezza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다니엘레 바젤리 Daniele Baselli
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알레산드로 가브리엘로니 Alessandro Gabrielloni 주장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파트리크 쿠트로네 Patrick Cutrone
11 파일:그리스 국기.svg FW 아나스타시오스 두비카스 Anastasios Douvikas
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피에르 볼키니 Pierre Bolchini
1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알베르토 도세나 Alberto Dossena
14 파일:이라크 국기.svg MF 알리 자심 Ali Jasim
15 파일:브라질 국기.svg DF 펠리피 잭 Fellipe Jack [1]
16 파일:감비아 국기.svg FW 알리우 파데라 Alieu Fadera
1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알베르토 체리 Alberto Cerri
18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알베르토 모레노 Alberto Moreno
20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세르지 로베르토 Sergi Roberto
2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마우로 비고리토 Mauro Vigorito
2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MF 막시모 페로네 Maximo Perrone [2]
25 파일:스페인 국기.svg GK 페페 레이나 Pepe Reina
26 파일:독일 국기.svg MF 야니크 엥겔하르트 Yannik Engelhardt
2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F 마티아스 브라우뇌더 Matthias Braunöder
30 파일:프랑스 국기.svg GK 장 뷔테즈 Jean Butez
33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뤼카 다쿠냐 Lucas Da Cunha
3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루카 마치텔리 Luca Mazzitelli [3]
38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아산 디아오 Assane Diao
4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MF 델레 알리 Dele Alli
41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알렉스 바예 Álex Valle [4]
77 파일:벨기에 국기.svg MF 이그나스 판데르브렘트 Ignace Van Der Brempt [5]
7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MF 니코 파스 Nico Paz
80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막상스 카케레 Maxence Caqueret
9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시모네 베르디 Simone Verdi
9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페데리코 바르바 Federico Barba
<colbgcolor=#002f6c> 구단 정보
구단주: 자럼 그룹 / 감독: 세스크 파브레가스 / 구장: 스타디오 주세페 시니갈리아
출처: 공식 웹사이트,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2월 4일

[1] SE 파우메이라스에서 임대[2] 맨체스터 시티 FC에서 임대[3] 프로시노네 칼초에서 임대[4] FC 바르셀로나에서 임대[5] FC 레드불 잘츠부르크에서 임대

}}}}}}}}} ||

파일: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rowcolor=#FFFFFF>포지션 등번호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그리스 문자 성명 생년월일 출장 득점 클럽
GK 1 오디세아스 블라호디모스 Odysseas Vlachodimos Οδυσσέας Βλαχοδήμος 1994년 4월 26일 31 0 SL 벤피카
12 알렉산드로스 파스찰라키스 Alexandros Paschalakis Αλέξανδρος Πασχαλάκης 1989년 7월 28일 5 0 올림피아코스 FC
13 요르고스 아타나시아디스 Giorgos Athanasiadis Γιώργος Αθανασιάδης 1993년 4월 7일 0 0 AEK 아테네 FC
DF 2 조지 발독 George Baldock Τζορτζ Μπάλντοκ 1993년 3월 9일 7 0 파나티나이코스 FC
3 요르고스 차벨라스 Giorgos Tzavellas Γεώργιος Τζαβέλλας 1987년 11월 26일 48 3 AEK 아테네 FC
4 콘스탄티노스 마브로파노스 Konstantinos Mavropanos Κωνσταντίνος Μαυροπάνος 1997년 12월 11일 17 0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5 라자로스 로타 Lazaros Rota Λάζαρος Ρότα 1997년 8월 23일 7 0 AEK 아테네 FC
6 파나요티스 레초스 Panagiotis Retsos Παναγιώτης Ρέτσος 1998년 8월 9일 6 0 올림피아코스 FC
17 판텔리스 하치디아코스 Pantelis Chatzidiakos Παντελής Χατζηδιάκος 1997년 1월 18일 25 0 AZ 알크마르
21 코스타스 치미카스 Kostas Tsimikas Κωνσταντίνος Τσιμίκας 1996년 5월 12일 26 0 리버풀 FC
디미트리스 야눌리스 Dimitris Giannoulis Δημήτρης Γιαννούλης 1995년 10월 17일 23 0 노리치 시티 FC
콘스탄티노스 쿨리에라키스 Konstantinos Koulierakis Κωνσταντίνος Κουλιεράκης 2003년 11월 28일 8 0 VfL 볼프스부르크
MF 10 코스타스 포르투니스 Kostas Fortounis Κώστας Φορτούνης 1992년 10월 16일 56 9 올림피아코스 FC
11 아나스타시오스 바카세타스 (C) Anastasios Bakasetas Αναστάσιος Μπακασέτας 1993년 6월 28일 55 11 트라브존스포르
14 디미트리오스 펠카스 Dimitrios Pelkas Δημήτριος Πέλκας 1993년 10월 26일 30 2 헐 시티 AFC
15 야니스 파파니콜라우 Giannis Papanikolaou Γιάννης Παπανικολάου 1998년 11월 18일 3 0 라쿠프 쳉스토호바
20 페트로스 만탈로스 Petros Mantalos Πέτρος Μάνταλος 1991년 8월 31일 52 6 AEK 아테네 FC
23 마놀리스 시오피스 Manolis Siopis Μανώλης Σιώπης 1994년 5월 14일 23 1 트라브존스포르
안드레아스 부할라키스 Andreas Bouchalakis Ανδρέας Μπουχαλάκης 1993년 5월 5일 35 1 올림피아코스 FC
디미트리스 쿠르벨리스 Dimitris Kourbelis Δημήτριος Κουρμπέλης 1993년 11월 2일 30 1 파나티나이코스 FC
FW 7 요르고스 마수라스 Giorgos Masouras Γεώργιος Μασούρας 1994년 1월 1일 31 5 올림피아코스 FC
8 요르고스 야쿠마키스 Giorgos Giakoumakis Γιώργος Γιακουμάκης 1994년 12월 9일 13 2 애틀랜타 유나이티드 FC
9 반젤리스 파블리디스 Vangelis Pavlidis Βαγγέλης Παυλίδης 1998년 11월 21일 29 6 SL 벤피카
14 탁시아르키스 포운타스 Taxiarchis Fountas Ταξιάρχης Φούντας 1995년 9월 4일 16 1 트라브존스포르
16 아나스타시오스 하치조반니스 Anastasios Chatzigiovanis Αναστάσιος Χατζηγιοβάνης 1997년 5월 31일 11 0 MKE 앙카라귀쥐
22 아나스타시오스 두비카스 Anastasios Douvikas Αναστάσιος Δουβίκας 1999년 8월 2일 15 1 RC 셀타 데 비고
}}}}}}}}}}}} ||


[1] 레인저스 FC다닐루를 영입하면서 무산되었고 AFC 아약스 역시 소극적으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2] 그리스어:Τάσος Δουβίκα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