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3 19:15:59

FC 위트레흐트


파일:에레디비시 로고(화이트).svg
, 2025-26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고 어헤드 이글스 로고.svg
파일:NEC 네이메헌 로고.svg
파일:NAC 브레다 로고.svg
파일:스파르타 로테르담 로고.svg
파일:포르튀나 시타르트 로고.svg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파일:SBV 엑셀시오르 로고.svg
파일:AZ 알크마르 로고.svg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
파일:FC 위트레흐트 로고.svg
파일:PEC 즈볼러 로고.svg
파일:SC 텔스타 로고.svg
파일:FC 트벤터 로고.svg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svg
파일:FC 폴렌담 로고.svg
파일:헤라클레스 알멜로 로고.svg
파일:SC 헤이렌베인 로고.svg
파일:FC 흐로닝언 로고.svg
에이르스터 디비시 참가 구단 ▶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프랑스 국기.svg 리그 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에레디비시
파일:벨기에 국기.svg 프로 리그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십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내셔널디비전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프리미어 디비전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프리미어십파일:웨일스 국기.svg 컴리 프리미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파일:FC 위트레흐트 로고.svg
FC 위트레흐트
FC Utrecht
<colbgcolor=#fff><colcolor=#000> 정식 명칭 Football Club Utrecht
창단 1970년 7월 1일 ([age(1970-07-01)]주년)[1]
소속 리그 에레디비시 (Eredivisie)
연고지 네덜란드 위트레흐트주 위트레흐트
(Provincie Utrecht, Utrecht)
홈구장 스타디온 할헨바르트 (Stadion Galgenwaard)
(23,750명 수용)
구단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프란스 판쇠메런 (Frans van Seumeren)
회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스테이프 클롭 (Steef Klop)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론 얀스 (Ron Jans)
수석 코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롭 펜더스 (Rob Penders)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케빈 판페인 (Kevin van Veen)
주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닉 피에르헤버르 (Nick Viergever)
영구 결번
4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다비드 디 토마소 (David di Tommaso)[2]
공식 웹사이트 파일:FC 위트레흐트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우승 기록
에레디비시 (1부)
(1회)
1957-58[3]
KNVB 베이커
(3회)
1984-85, 2002-03, 2003-04
요한 크루이프 스할
(1회)
2004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웨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웨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알렉산더 게른트 (Alexander Gernt)
(2011년, From 헬싱보리 IF, 480만 €)
최고 이적료 방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그리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그리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아나스타시오스 두비카스 (Anastasios Douvikas)
(2023년, To RC 셀타 데 비고, 1,200만 €)
최다 출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레오 판페인 (Leo van Veen) - 427경기 (1970~1982 / 1983~1984)
최다 득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레오 판페인 (Leo van Veen) - 169골 (1970~1982 / 1983~1984)

1. 개요2. 스쿼드3. 역사
3.1. 2024-25 시즌3.2. 요약
4. 유명 선수

1. 개요

FC 위트레흐트 (FC Utrecht)는 네덜란드의 위트레흐트 시를 연고지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

2. 스쿼드

파일:FC 위트레흐트 로고.svg
FC 위트레흐트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5-26 시즌 FC 위트레흐트 1군 스쿼드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GK 파일:그리스 국기.svg 바실리스 바르카스 Vasilis Barkas
2 DF 파일:벨기에 국기.svg 지베 호레만스 Siebe Horemans
3 D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이크 판데르호른 Mike van der Hoorn
5 DF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콜베인 핀손 Kolbeinn Finnsson
6 M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데비 판덴베르흐 Davy van den Berg
7 MF 파일:덴마크 국기.svg 빅토르 옌센 Victor Jensen
8 MF 파일:독일 국기.svg 잔 보즈도안 Can Bozdogan
9 FW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다비트 민 David Min
10 FW 파일:프랑스 국기.svg 요안 카틀린 Yoann Cathline
11 FW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노아 오하이오 Noah Ohio
14 MF 파일:이라크 국기.svg 지단 이크발 Zidane Iqbal
15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드리안 블레이크 Adrian Blake
16 DF 파일:모로코 국기.svg 수피안 엘 카루아니 Souffian El Karouani
17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에미르한 데미르잔 Emirhan Demircan
19 FW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예시 판 데 하르 Jesse van de Haar
20 M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다니 더 비트 Dani de Wit
21 M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지바이 제히엘 Gjivai Zechiël
22 FW 파일:스페인 국기.svg 미겔 로드리게스 Miguel Rodríguez
23 DF 파일:덴마크 국기.svg 니클라스 베스테를룬 Niklas Vesterlund
24 D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닉 피에르헤버르 Nick Viergever 주장
25 GK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미하엘 브라우베르 Michael Brouwer
26 FW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밀리아노 요나탄스 Miliano Jonathans
27 MF 파일:벨기에 국기.svg 알론조 앙과ں다 Alonzo Engwanda
33 GK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케빈 가델라 Kevin Gadellaa
38 MF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이바르 제너 Ivar Jenner
40 DF 파일:벨기에 국기.svg 마티스 디든 Matisse Didden
43 MF 파일:모로코 국기.svg 라피크 엘 아르귀우이 Rafik El Arguioui
44 D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이크 에어르트헤이전 Mike Eerdhuijzen
55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데리 존 머킨 Derry John Murkin
91 FW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세바스티앵 알레 Sébastien Haller

}}}}}}}}} ||

3. 역사

1970년 7월 1일에 위트레흐트를 연고지로 하는 세 구단 (VV DOS, USV 에일린크바이크, 벨록스)의 통합으로 창단되었다. 이 중 VV DOS는 1958년에 에레디비시를 우승하기도 했다. KNVB컵도 3회 우승했으며 1996부터 시작된 요한 크루이프 쉴드를 우승한 팀들 중 유일한 '빅 3' 에 포함되지 않는 팀이다. 또한 빅 3를 제외한 클럽들 중 에레디비시에서 2부리그인 에이르스터 디비시로 강등된적도 없다.

AFC 아약스 감독이자 현재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감독을 맡고 있는 에릭 텐하흐 감독이 2018년 1월에 떠남으로서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을 맡아 우리에게도 친숙한 딕 아드보카트 감독이 현재 감독직을 수행하고 있다. 물류회사 마모에트의 전 오너인 프란스 반 세우메렌이 2008년 4월에 FC 위트레흐트의 지분 51%를 구매하며 AZ 다음으로 투자자가 소유한 두번째 네덜란드 축구 클럽이 되었다.

1980년대에는 UEFA컵에 자주 출전하였으나 1992년 이후 올라오지 못했다. 그리고 10년 뒤 2001년에 UEFA 컵에 다시 출전했고 2010년에는 UEFA 유로파 리그 조별리그도 진출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플레이오프에서 탈락을 반복하며 저조한 성적을 내고 있다. UEFA 클럽 랭킹에서는 SBV 피테서 바로 아래인 177위를 지키고 있다.

2019-20 시즌 KNVB 베이커 결승전에 페예노르트 로테르담과 맞붙게 되었으나 코로나 19로 인해 우승자를 가리지 못한채 종료된 비운의 팀으로 남게되었다. 이 때 2004년 이후로 16년 만에 컵우승이라는 목표를 갖고 있었다.

2020-21 시즌에는 리그 창립 50주년 기념으로 기존에 있던 엠블럼 아래에 '50 JAAR'이라고 표기를 해 엠블럼을 바꾸었다.

2021-22 에레디비시 8라운드에서 AFC 아약스를 1:0로 꺾고 아약스의 8경기 연속 무패 행진을 저지하였다. 그러나 이후 DTD를 반복하여 리그를 7위로 마무리했다.

2022-23 시즌도 7위로 마무리했다.

2023-24 시즌마저 7위로 마무리했다.

2024-25 에레디비시 5라운드에서 빌럼 II를 3:2로 꺾고 리그 5경기 무패 행진 중이다. 이후로 AZ 알크마르 원정, 홈에서 RKC 발베이크를 연달아 잡아내며 무패 행진 기록을 7경기로 늘렸다.

3.1. 2024-25 시즌

1R vs PEC 즈볼러 (홈, 1:0 승)

2R vs SC 헤이렌베인 (원정, 1:1 무)

3R vs NAC 브레다 (원정, 1:2 승)

4R vs FC 트벤터 (홈, 2:1 승)

5R vs 빌럼 II (홈, 3:2 승)

6R vs AZ 알크마르 (원정, 1:2 승)

7R vs RKC 발베이크 (홈, 3:2 승)

8R vs FC 흐로닝언 (원정, 0:1 승)[4]

9R vs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홈, 0:2 패)

10R vs 스파르타 로테르담 (원정, 1:4 승)

11R vs 헤라클레스 알멜로 (홈, 1:0 승)

3.2. 요약

4. 유명 선수


[1] #[2] 2005년에 심장마비로 인하여 2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3] VV DOS 시절[4] 무패 행진 기록을 8경기로 늘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