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까지 경기도에 있던 군에 대한 내용은 시흥군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현 시흥시 지역 행정구역 변천사 | |||||||||||||||||||||||||||||
년도 | 당시 행정구역 | ||||||||||||||||||||||||||||
1896 | 인천부 신현면 / 전반면 / 황등천면 仁川府 新峴面 / 田反面 / 黃等川面 | 안산군 마유면 / 초산면 / 인화면/ 대월면 安山郡 馬遊面 / 草山面 / 仁化面 / 大月面 | |||||||||||||||||||||||||||
1914 | 부천군 소래면 富川郡 蘇來面 | 시흥군 군자면 / 수암면 始興郡 君子面 / 秀巖面 | |||||||||||||||||||||||||||
1973 | 시흥군 소래면 始興郡 蘇來面 | ↓ | |||||||||||||||||||||||||||
1980 | 시흥군 소래읍 始興郡 蘇來邑 | ||||||||||||||||||||||||||||
1989 | 시흥시 始興市 |
시흥시 당국에서도 공식적으로 아예 대놓고 인천, 안산의 일부였다고 설명한다. "시흥시에는 '시흥'이 없다."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니다. 그 흔적으로 2000년 전국 시외전화 지역번호 개편 이전까지 현 시흥시 지역은 인천권이였던 소래 지역이 032, 안산권이었던 군자+수암 지역이 0345로 나뉘어 있었으며, 현재 천주교 교구 역시 소래 지역은 인천교구, 군자+수암 지역은 수원교구로 나뉘어 있다.
지금의 시흥시 지역을 이루는 소래/대야/신천 지구와 군자/정왕 지구에 대한 1914년(구 군자면, 수암면 지역)~1973년(구 소래읍 지역)까지의 역사에 대해서는 인천광역시/역사, 부천시/역사, 안산시/역사 문서를 참조할 것. 여담으로 당나라 장군 소정방이 백제를 침공할 때 소래에서 상륙해서 '소정방이 왔다→소래'라는 것은 역사적으로 근거가 없다.
참고로 7차 교육과정 초기 시절의 국정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2006년 수정판[3] 부록에 실린 옛 지명 목록(특별시/광역시 산하 자치구를 제외한 기초자치단체별 옛 지명)에 시흥(지금의 시흥시를 가리킴) 옛 지명으로 잉벌노, 곡양 등이 실려있는 오류가 있다. 국사편찬위 관계자도 인정한 오류. 시흥(시)에는 잉벌노, 곡양이 아닌 미추홀, 장항구 등이 실렸어야 했다.
이하에서는 현재 시흥시 지역의 역사에 대해서만 서술한다. 시흥시 승격 이전까지 존재했던 시흥군의 역사와 왜 시흥시에 시흥이 없게 되었는지는 시흥군에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으니 참조바람.
2. 상세
인천광역시 쪽을 좀 더 보완한 주변 지역(지금의 시흥시 지역을 중심으로).
거듭 말하지만 지금의 시흥시 지역은 북부는 인천부, 남부는 안산군 관할로 원래의 시흥과 전혀 연관이 없는 곳이다.
2.1. 시흥시 북부(구 소래읍)
구한말 | 현재 | |||
인천부 仁川府 | 신현면 新峴面 | 대야리·일리 大也里·一里 | 시흥시 | 대야동 大也洞 |
고기동·이리·창동 古基洞·二里·倉洞 | 미산동 米山洞 | |||
방곡리·산정리 芳谷里·山井里 | 방산동 芳山洞 | |||
신촌리·사천리 新村里·蛇川里 | 신천동 新川洞 | |||
삼리 三里 | 은행동 銀杏洞 | |||
포동·국동 浦洞·局洞 | 포동 浦洞 | |||
전반면 田反面 | 검의리·도현동 儉義里·桃峴洞 | 금이동 錦李洞 | ||
도두리·강창리 道頭里·江倉里 | 도창동 道倉洞 | |||
매착리·율동 梅着里·栗洞 | 매화동 梅花洞 | |||
일리가대동·일리송내동·일리양지리·이리장락동 一里家垈洞·一里松內洞·一里陽支里·二里長樂洞 | 안현동 鞍峴洞 | |||
황등천면 黃等川面 | 오리·육리·칠리 일부 五里·六里·七里 | 계수동 桂壽洞 | ||
일리·이리·삼리 一里·二里·三里 | 과림동 果林洞 | |||
칠리 일부 七里 | 무지내동 茂芝內洞 |
- 보통천(미산동, 포동) 주위로 뻥뚫린 간척평야가 있는데, 이를 '호조벌'이라고 한다. 1720년(숙종 26년)에 호조(재무부 격) 산하의 진휼청이 간척공사를 시작해 경종 원년에 완료되었다. 해당 사료에는 깨알 같이 인천과 안산이라는 두 고을의 경계 지역에[4] 둑을 쌓아 간벌했다는 내용이 나온다.[5] 보통천이라는 하천은 간척 이전에는 갯골이었고, 옛 인천과 옛 안산의 자연경계이기도 했다.
2.2. 시흥시 남부(구 수암면·군자면)
구한말 | 현재 | |||
안산군 安山郡 | 대월면 大月面 | 거모포동·석곡동 去毛浦洞·石谷洞 | 시흥시 | 거모동 去毛洞 |
마유면 馬遊面 | 구정리·산북리 九井里·山北里 | 군자동 君子洞 | ||
월동리·월서리 月東里·月西里 | 월곶동 月串洞 | |||
장하리·응곡리·조촌리 長下里·鷹谷里·鳥村里 | 장곡동 長谷洞 | |||
장상리·조현리 長上里·鳥峴里 | 장현동 長峴洞 | |||
정왕리·오이리 正往里·烏耳里 | 정왕동 正往洞 | |||
죽율리 竹栗里 | 죽율동 竹栗洞 | |||
인화면 仁化面 | 능곡리·북곡리 陵谷里·北谷里 | 능곡동 陵谷洞 | ||
화정리 일부[6] 花井里 | 화정동 花井洞 | |||
초산면 草山面 | 광석리·하하리 廣石里·下下里 | 광석동 廣石洞 | ||
논곡리 論谷里 | 논곡동 論谷洞 | |||
목감리·율포리 木甘里·栗浦里 | 목감동 木甘洞 | |||
물왕리·상직리 物旺里·上職里 | 물왕동 物旺洞 | |||
산현리·궤곡리 山峴里·潰谷里 | 산현동 山峴洞 | |||
조남리·제청리 鳥南里·祭廳里 | 조남동 鳥南洞 | |||
하상리·중직리 下上里·中職里 | 하상동 下上洞 | |||
하중리 下中里 | 하중동 下中洞 |
- 연성동[7]에 강희맹이 조성한 것으로 알려진 관곡지가 있으며, 이 곳에서 연꽃을 길렀다고 한다. 그래서 옛 안산군의 별호(別號)가 '연성군(蓮城郡)'이었으며, '연성동'이란 행정동명 역시 여기에서 따온 것.
2.3. 1970년대 이후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현재 시흥시의 남부 지역이 안산군에서 시흥군으로, 현재 시흥시의 북부 지역이 인천부에서 부천군으로 통폐합된 이후, 1970년대까지 별다른 행정구역 상 변화는 없었다. 그러던 중 1973년, 부천군의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되면서, 부천군이 해체되어 부천군 남부에 있던 소래읍이 시흥군에 편입된다.1981년 시흥군 행정지도(1982년).[8]
1980년에는 소래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3년에는 소래읍 옥길리가 광명시와 부천시에 분할 편입되었고, 계수리 일부가 부천시에 편입되었다.[9]
1986년에는 시흥군에 위치한 반월출장소[10]가 안산시로 승격되면서, 군자면과 수암면의 일부 지역이 뜯겨 나갔다. 이로서 최종적으로는 시흥군에는 3읍(소래, 군포, 의왕)과 2면(군자, 수암)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1986년의 시흥군.
결국 1989년 시흥군 서부 지역인 소래읍, 군자면, 수암면이 시흥시로 승격[11][12]되면서 시흥군은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시 승격 당시 행정동 관할 구역 | ||
행정동 | 법정동 | 인구[13] |
대야동 | 대야동, 계수동 | 21,903명 |
신천동 | 신천동 | 25,422명 |
신관동 | 방산동, 포동, 미산동 | 5,352명 |
은행동 | 은행동, 안현동 | 12,799명 |
매화동 | 매화동, 도창동, 금이동, 무지동, 과림동, 하중동, 하상동, 광석동, 장현동, 장곡동, 능곡동, 화정동 | 7,939명 |
목감동 | 목감동, 논곡동, 물왕동, 산현동, 조남동 | 10,801명 |
거모동 | 군자동, 거모동, 월곶동 | 10,850명 |
정왕동 | 정왕동, 죽율동 | 4,143명 |
안산동 | 수암동, 장상동, 장하동 | 7,967명 |
시흥군 해체 직전, 인천직할시는 소래읍의 인천 편입을 내무부에 요청했지만, 소래읍 주민들은 인천 편입이 아닌, 소래시 독자 승격을 원했다고 한다. 또한 부천시에서도 역사성과 생활권을 들어 소래읍의 부천 편입을 요구하기도 했다. 다만 당시 경기도는 소래읍의 인천 편입에 당연히 반대했고, 내무부도 소래읍의 인천 편입에 부정적인 입장이었다고 한다.
1992년에 신관동을 신현동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995년에는 안산 생활권이었던 안산동(수암동, 장상동, 장하동)[14]과 화정동 일부[15]가 안산시에 편입된 이래[16], 현재의 행정구역을 유지해 오고 있다. 1995년 내무부 주도의 인천 추가 확장 차원에서 시흥시도 인천 편입 대상으로 거론되었으나 시청과 시의회의 거센 반발로 인천 편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당시의 김포군과 달리 주민투표 회부조차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변화를 지도로 보고 싶다면 이 블로그 참조.
1995년 11월 15일, 무지동을 무지내동으로 개칭하였다. 이유는 무지라는 이름이 원래는 '茂芝', 지초가 우거진 곳이라는 지명으로 뜻은 좋지만 발음은 無知, 즉 아는 게 없다는 뜻으로 연상된다고 해서다.
1997년에는 시흥시청이 대야동[17]에서 현 위치인 장현동으로 이전했으며, 시 휘장도 현재의 것으로 바뀌었다.
1999년에는 정왕동이 정왕1동과 정왕2동으로, 2002년에는 정왕2동이 정왕2동, 정왕3동, 정왕4동으로 분동되었으며, 2004년에는 정왕1동이 정왕본동과 정왕1동으로 분동되었다.
2010년 시흥시청 일대 개발이 진행되면서 연성동이 연성동과 능곡동으로 분동되었다.
2014년에는 군자동에서 월곶동이, 연성동에서 장곡동이 각각 분동되었다.
2018년 배곧신도시의 개발로 정왕4동에서 배곧동이 분동되었다. 이후 2021년에는 법정동 배곧동이 정왕동에서 분리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행정동 배곧동이 배곧1동과 배곧2동으로 분리되었다. 이로써 시흥시는 총 19개의 행정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2023년 시화 MTV 개발로 정왕2동이 거북섬동으로 분동되었다. 이로써 시흥시는 총 20개의 행정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2.4. 통화권 변천사
- 1979년 이전: 소래면, 군자면, 수암면 각 자체 통화권
- 1979년~2000년 (구 소래읍 지역): 1979년 부천전화국 관할로 편입되어 인천통화권(032)
- 1979년~2000년 (구 군자면, 수암면 지역): 안산통화권(0345)
- 1978년~현재 (과림동): 서울통화권(02)
- 1996년~2000년 (거모동 매립지, 월곶동, 연성동): 인천통화권(032)
- 2000년~현재(과림동 제외 전 지역): 안산통화권(031)
[1] 옛 시흥군의 중심지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이다. 이름 자체가 옛 시흥군의 중심이었다는 것을 말해준다.[2] 다만 지금의 광명시 북부인 철산리, 광명리, 하안리가 서울특별시로 편입되었더라면 시흥군 서면 잔여지역 중 노온사리와 가학리가 소래읍으로 편입되었을 수도 있었다.[3] 2002년 초판에는 옛 지명에 대응되는 현 행정구역 목록이 간단히 실렸다. 그런데 거기에는 금천이 지금의 안양이었다고 나와있는 오류가 있다. 이 경우에는 광명으로 수정해야 하며, 안양의 경우 과천과 함께 과천으로 넣는게 옳다.[4] 포동과 매화동은 인천도호부, 연성동, 장현동은 안산군이었다.[5] 지역 야사에는 조선 정조 때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인 현륭원에 행차하는데 따른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쌓았다고 알려져있으나 역사적으로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6] 1914년 화정리와 광곡리가 합쳐져 화정리가 되었는데, 시흥시의 화정동은 모든 영역이 옛 화정리에 속하고, 바로 옆에 붙어있는 안산시의 화정동은 옛 화정리의 나머지와 옛 광곡리의 영역이다.[7] 행정동명으로, 법정동 하중동, 하상동, 광석동, 장현동을 관할한다.[8] 다만 소래면의 읍 승격이 반영되지 않은 오류가 있다. 또한 반월출장소 지역은 표기는 되어있으나 도 직할 출장소인 관계로 시흥군이 직접 관할하지 않는 것을 고려해 누락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9] 옥길동이 광명시와 부천시, 계수동이 시흥시와 부천시 양쪽에 존재하게 된 계기가 여기서부터였다. 이뿐만 아니라 경기도 곳곳에는 이렇게 해당 리의 전 지역의 아닌 일부를 타 지역으로 편입하고 해당 이름을 그대로 쓰는 사례가 많다.[10] 군자면, 수암면과 화성군 반월면의 각 일부로 구성되었다.[11] 다만 수암면 일부의 경우 1995년 경기도 안산시 안산동이 되었다.[12] 같은 해에 남양주군 미금읍과 광주군 동부읍, 서부면, 중부면 상산곡리, 화성군 오산읍도 각각 미금시, 하남시, 오산시로 승격되었다.[13] 1990년 인구총조사 기준. 당시 시흥시 인구는 107,176명이었다.[14] 즉, 1995년까지 안산동은 안산시가 아닌 시흥시에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안산동은 조선시대 안산군 관아가 있던 곳이다.[15] 화정동이 시흥시와 안산시에 모두 존재하는 이유이다.[16] 군자권(거모동, 정왕동 등) 역시 지속적으로 안산시 편입론이 있었으나, 결국 편입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거모동의 경우는 아예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시흥시-안산시 행정구역 경계선이 지나며, 안산시 선부동, 원곡동, 신길동 시가지와 매우 가깝다.[17] 현재 시흥시 보건소. 시 승격 전부터 소래읍사무소가 위치한 곳이었다.